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study is designe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wide-shading facilities for the energy-saving and labor-free system in response to the shortage of manpower in rural areas by introducing North American style Ginseng cultivation facility.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Income &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Gyeonggi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located in Shinseo-myeon, Yeoncheon-gun, Gyeonggi-do in 2015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ndards for wide-shading facilities for energy-saving and labor-free system in response to Korea's climate and lack of manpower in rural area. The shading materials used were blue shading net made with coolaroo fabric, aluminum screen (shading rate 40%) and black shading net (shading rate 40%). As for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shading materials, the blue shading nets (200 g/㎡ and 220 g/㎡) were installed on Apr. 1, and then the aluminum screens and black shading net were installed on Jun. 1 when it was hot (with the outside temperature of 30℃ or above.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shading materials, the growth environment in the shading facilitie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light quantity, and water leakage were measured. The growth was investigated for the above-ground part and underground part of the plants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standard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s for the temperature in the shading facilities, the temperature in the aluminum scre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lack shading net, and the humidity in the aluminum screen was lower than that of the black shading net. The light intensity and transmittance were higher in the aluminum screen than those in the black shading net. The water leakage was absent on aluminum screen, but it was 8.1 - 11.5% in the black shading net. Although the growth of shoots above the ground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hading materials, the growth of the shoot underground was better in the black shading net than in the aluminum screen in high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weight of Ginseng root increased by 19.1% in the black light shade compared to that of the aluminum screen.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shading materials suitable for wide shading facilities in Korea in response to the lack of manpower in rural areas due to climate change and rural aging is the combination of "blue shading net + black shading net".
        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labor-intensive task to construct of the traditional ginseng shading system in Korea. In this experiment the selected shading materials was new 6 kinds that HDPE - knitted- monofilament and taped PE Net, with taking into account of the amount of light and the amount of leakage to screen the UV stabilized 0.3% - 0.6%.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hading material, the black-shading material (wt. 200g/㎡) and the yellow shading material (wt. 300g/㎡) was suitable for the ginseng growing environments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 The installation of shading system was the 45 degree slope -2 meter height from the ground with the selected shading materials for the wide structure ginseng cultivation.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was measured with a week interval from the surface to a height of 30cm. The two kinds of the 1st selected materials and the traditional black + blue two layer shading materials, aluminum screen, Canada Gintec shading material, total 5 kinds of materials were installed in wide structure. The growing environmental analysis was measured using data logs (watchdog 1600series). Conclusion : In the first selection of shading materials for Ginseng wide structure, the levels of light intensity were higher in order of blue-shading> Aluminum- shading> black-shading order. The temperatures of the under wide structures were lower in order of the black-shading< aluminum-shading screen< blue-shading order, especially the temperature of the black shading material was lower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For the second selection of shading material of the ginseng wide structure, the black and yellow shading material were superior to the other materials, in the amount of light shading material and growing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leakage etc. The temperatures of mid-May in wide structures of ginseng cultivation were higher in order of aluminum-screen> Canada shading materials (Gintec Co.) 2 layer material> Yellow shading> black shading order, and also the amounts of light intensity also was shown to be with the same manner
        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의 해가림구조에서 차광판 및 차광망의 차광재료 차이에 따른 인삼 재배포의 광량 및 미기상 반응과 광수용체로 작용하는 엽록소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인삼생육에 적합한 해가림 차광재료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차광재료에 따라 맑은 날의 광량은 차광판이 차광망에 비해 70 ~ 76%, 흐린 날은 77 ~ 82% 수준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두둑위치 중 전주의 경우는 하루 총 누적광량에 대비해 맑은 날의 경우 39% 수준, 흐린 날의 경우 51% 누적광량이 높은 양상을 나타내며, 중앙 및 후주행은 맑은 날 및 흐린 날 구분 없이 모두 하루 총 누적광량에 비해 낮은 양상을 나타내므로, 두둑위치에 따른 누적광량의 차이가 분명하였으며, 차광재료에 관계없이 두둑위치에 따라서는 전주 > 중앙 > 후주행의 순으로 광량이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3. 차광재료에 따라 차광망이 차광판에 비하여 높은 온도를 유지하였고, 두둑위치에 따라 차광망이 차광판 보다 1.9~3.1℃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4. 차광재료별 맑은 날의 평균 누적온도는 외부온도 대비차광판의 경우 7.3%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차광망의 경우 0.7%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흐린 날의 평균 누적온도는 차광판의 경우 0.7% 감소하는 양상을, 차광망의 경우 1.6%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5. 차광재료에 따른 두둑위치별 일일 누적온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차광망이 차광판에 비해 맑은 날의 경우 전주, 중간 및 후주행이 각각 7.0, 7.8 및 8.8% 높은 양상을 나타내고, 흐린 날의 경우 각각 1.7, 1.6 및 3.5%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두둑위치에 관계없이 차광판이 차광망에 비해 온도가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6. 엽록소 SPAD 값은 전주와 중앙의 두둑위치에서는 차광판이 차광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후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election of optimal shading material, two-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of new cultivar, 'Cheonpoong' (CP), and native species 'Hwangsookjong' (HS) were cultured under three kinds of shading materials such as three-layered blue and a one-layered black PE (polyethylene) net (TBSB), blue PE sheet (BS), and aluminium coated PE sheet (AS) in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were investigated under three shading materials.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were distinctly affected by intensity and quality of sunlight penetrated through shading materials. Light transmission ratio, air and soil temperature according to shading materials were higher in order of BS, AS, and TBSB. However, ratio of aerial phase and porosity of the soil were higher in order of AS, BS, and TBSB,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ratio of rusty colored root by shading materials. CP showed higher stem length, leaf area, and root weight than that of HS, while the former showed distinctly lower discolored leaf ratio than that the other. Eight kinds of ginsenosides content of CP were higher than that of HS in Rg1, Re, Rf, Rb1 and Rc except Rg2, Rb2, and Rb3. Total ginsenoside contents of CP was distinctly higher than that of HS. Total ginsenoside contents as affected by shading materials was higher in order of BS, TBSB, and AS in CP, while TBSB, BS, and AS in HS.
        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은 연작지 재배가 불가능하고 주산지의 우량 예정지 고갈로 인하여 제주도를 제외하고 국내 전국에서 재배하고 있다. 지역별 기후형태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해가림 구조로 재배하고 있어 일부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지역에 적합한 표준 해가림 재배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부지역(밀양, 나주, 해남)에서의 적정 해가림구조를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2008년 부산대학교 부속농장(밀양)에 묘삼을 이식하였고 해가림 시설은 차광망(검정 차광망), 차광판(비누수 광반사 차광판), 차광지+망(청색 비누수차광지에 검정색 차광망), 차광지(청색 비누수차광지)를 후주연결식으로 설치하여 삼집내 광량과 온도를 측정하였고(Li-cor사의 LI-2000) 광합성속도와 엽록소 형광반응은 생육하고 있는 2년생 인삼을 이용하여 Li-cor의 LI-6400으로 조사하였다. 해가림 자재별 광량은 차광판과 차광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차광판의 경우 전주에서의 반사광의 유입으로 삼집내 광량이 높은 경향이 있었고, 차광지의 경우 투광량이 높아 광량이 높게 나타냈다. 차광지+망과 차광망에서는 광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온도는 차광판이 가장 낮은 경향이었는데 이는 직접광이 삼집내로 투과되지 못한 원인으로 사료되며, 다음으로 차광망, 차광지+망, 차광지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차광지의 경우 투광량이 높아 인삼에서 고온장해가 생기는 현상이 나타났다. 광합성의 경우, 광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해가림 자재에 따라 비교하면 차광판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차광망과 차광지+망이 높았고, 차광지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엽록소 형광반응에서 Fo는 차광판에서 낮은 경향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차광망, 차광지+망, 차광지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Fv/Fm에서는 차광판에서 높았고, 차광망, 차광지+망, 차광지 순으로 낮은 경향이 있었다. ETR은 차광판에서 가장 높은 경향이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차광망, 차광지+망, 차광지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6.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누수 해가림 재배가 인삼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삼의 차광재료를 비누수 해가림과 차광망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재료에 따른 맑은 날의 광량은 비누수해가림이 차광망에 비하여 낮은 경향이었고, 온도는 비누수해가림이 차광망에 비하여 3~5℃ 낮게 나타났다. 2. 차광재료에 따른 3, 4, 5년근 인삼의 생존본수는 비누수해가림에 비하여 차광망이 낮게 나타났다. 3. 차광재료에 따른 인삼의 경태는 비누수해가림에서 증가하였고, 생근중도 비누수해가림이 차광망에 비하여 3년근에서는 5.0 g, 4년근에서는 10 g, 5년근에서는 8 g 높았다. 4. 차광재료에 따른 3, 4, 5년근 모두 수삼의 수량은 비누수해가림이 차광망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5. 차광재료별 3, 4, 5년근 수삼의 크기는 비누수해가림이 차광망에 비하여 대편이 많이 분포하였으며, 진세노사이드 함량도 비누수해가림이 차광망에 비해서 높았다
        7.
        198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복내의 광환경과 포장상태에서의 물질생산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5년근 개체군의 층별(상, 중, 하층), 재식립치별(1, 3, 5행)로 맑은 날 및 흐린날 각각 일복내외의 조도를 측정하고 대상조도를 구하였으며 포장에서의 광합성 호흡속도를 측정하였다. 1. 개체군 상부와 조도는 1행이 상대적으로 높고 3, 5행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중앙부의 경우는 1, 3, 5행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 쾌청일에 비해, 맑으나 산광이 많은 날은 일복내 조도가 높고 흐린날은 낮았으나 외부조도에 대한 비율은 양자 모두 쾌청일보다 높았다. 3. 광합성속도는 행별로 차이가 커서 후행일수록 낮았다. 그러나 전행에서도 광합성 최대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