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디오SNS는 기존의 SNS가 개방성을 추구하는 것과 달리, 제한적 속성을 주 된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기반으로 제한적 속성이 사용 자의 오디오SNS 수용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제한적 속성을 접근 제한성, 소통제한성, 콘텐츠제한성 변수로 정의해 각 변수가 VAM의 핵심 변수를 매개로 인 지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총 207명의 오디오SNS 사용자 및 잠재 사 용자의 설문 응답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가지 제한성 변수가 인지된 편익 요소인 유용성과 유희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의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본 연구는 가치기반수용모델에 기반한 모형과 새로운 형태의 SNS 성장을 위한 방 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8,400원
        3.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mploying national consumer panels in the US and Korea (N = 767), this research examined how consumer evaluations of graphic sexual ads on social media differ from those of non-sexual ads, and to what extent such evaluations are influenced b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dividualism vs. Confucianism) and sexual self-schema (SSS) levels.
        4.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stomer’s power motivation in the social media context, driven primarily by to extend the theory of how powerlessness induces compensatory consumption (Rucker and Galinsky, 2008). Power motivation refers to a chronic desire to strive and retain power (Maner, Gailliot, Butz, & Peruche, 2007). Given that positions of power are often associated with enjoyment of social and material rewards, naturally some individuals strive to achieve and retain positions of power as a satisfying goal in itself (Cassidy and Lynn, 1989). These ‘power-strivers’ are motivated to achieve status and superiority, and prone towards negative emotional states when confronted with situations that induce a state of powerlessness. The sense of inferiority have been shown to lead to greater desire for status-enhancing goods, such as luxury items with more prominently displayed brand names to restore their sense of wellbeing (Rucker and Galinsky, 2009).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research suggests that longterm exposure to upward social comparisons on social media resulted in lower levels of self-esteem (Vogel, Rose, Roberts, & Eckles, 2014). We argue that observing other people’s ‘highlight reel’ on social media may also negatively influence the consumers’ sense of power. Thus, these type of consumers are likely to be more receptive towards communications that advertise status-enhancing goods. However, this effect should be particularly pronounced in consumers who have high power motivation in the first place. Subsequently, our first proposition is that when exposed to negative social comparisons, power motivation would moderate the consumers’ sense of inferiority and lead to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of luxury goods. Our second proposition points to mindfulness as a palliative to mitigate this sense of inferiority, since exercising mindfulness enables better self-regulation that contributes to behaviors and decisions that positive contribute towards one’s wellbeing (Brown and Ryan, 2003). Two experimental studies confirm our hypotheses that when exposed to upward social comparisons on social media, power-strivers exhibit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of luxury goods, mediated by a sense of inferiority. In the second study we found that implicitly inducing mindfulness mitigates the effects of power motivation. This paper thus enriches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onsumers’ sense of power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Furthermore, we offer a balanced view that (1) unpacks how marketers could exploit social media features to induce desire for luxury goods but also (2) suggests ethical solutions that contributes to positive psychology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usage.
        5.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lobal apparel market is estimated to increase from US$1,105 billion in 2012 to US$2,110 billion in 2025 (Statista, 2014), with women’s wear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55% of the total within the United Kingdom (UK) (Verdict, 2015). In 2013 and 2014 market research performed by Mintel identified the ‘shopping experience’ as one of the key factors in women’s shopping habits, noting that consumers aged 16-24, in particular, tended to browse online but to buy in-store, still seeing shopping for clothes as a day out with friends (Mintel, 2013). Nevertheless, the growing influence of social media was noted, and by 2015 this age group had overtaken the 25-34 year olds to become the main online clothes shoppers. Despite this, young people aged 16-24, all of whom potentially qualify as digital natives, still show a preference for shopping in-store (Mintel, 2015), although preliminary research indicates that more of them are now shopping alone than with friends. This suggests that there has been a shift in consumer shopping habits within the youth sector, with less importance being placed on the shopping experience. Given tha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media behaviours of the youngers aged between 18-24 with a particular focus on fashion consumption. Crowd sourcing has been identified as an emerging practice found in several sectors including fashion (Yeomans, 2013). Preliminary research suggests that the shift is just a perceived one and that technology savvy young fashion consumers are using smart-technology to upload ‘chelfies’ (‘selfies direct from the changing rooms’) to crowd source opinion about proposed purchases (Soar and Torn, 2015), using social media to replace ‘physical friends’ with ‘digital friends’. To explore this phenomenon further, this study employ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uses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ides evidence of crowd sourcing behaviours via social media, as well as indicates the complex communication mechanism that embeds within fashion consumption among the generation of the youth.
        6.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uxury brand marketers have recently turned their attention to luxury brand consumers and their social brand communities devoted to the brands. Luxury brands appeal to customers by enhancing their images regarding heritage, quality, and artistic value. Luxury fashion brands also establish social media communities to communicate their images more effectively. This study uses the key concepts of integration and interactivity to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s to investigate luxury brand communities (LBCs) in the social media context. A survey was given to 252 members of Facebook fan pages for luxury brands from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interaction as a process on perceived interactivity of LBCs in social media, and consequences, attitude, purchase intentions, and brand loyalties, hence offering implications for luxury brand management academics and practitioners
        7.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사회 갈등 뉴스의 선정성이 시청자의 정서 반응, 인지 반응, 뉴스 평가, 사회 갈등 지각 등 네 가지 의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회 갈등에 대한 사전 지식과 태도 등을 통제하기 위해 네 개의 해외 갈등 이슈(유럽 난민 갈등, 미국 에너지 갈등, 중국 농민공 갈등, 이집트 종교 갈등)를 선택하였고, 각 이슈를 선정적으로 보도한 뉴스와 선정적이지 않게 보도한 뉴스를 선정하여 두 개의 실험 조건을 만들었다. 피험자 중 한 집 단은 선정성이 높은 사회 갈등 뉴스를 시청하였고, 다른 한 집단은 선정성이 낮은 사회 갈등 뉴스를 시청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갈등 뉴스는 본질적으로 부정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기 마련이지만 여기에 선정성이 더해 지면 시청자의 부정적 감정을 방향(극성)과 강도(각성)의 모든 측면에서 강화시킬 수 있다. 둘째, 사회 갈 등 뉴스에 선정성을 더하면 뉴스가 전달하는 세부적인 정보에 대한 기억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 셋째, 사회 갈등 뉴스의 선정성과 뉴스에 대한 신뢰성 및 흥미성 평가는 모두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선정성이 강화되면 뉴스 신뢰도는 하락하고 흥미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일반의 통념과 배치된다. 넷째, 동일한 사회갈등이라도 뉴스가 자극적으로 보도하면, 시청자들은 그 갈등을 더 해결하기 어렵고, 복 잡하고, 강렬하고, 심각한 것으로 인식한다.
        4,500원
        9.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재범자에 의한 범죄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재범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국내에서도 재범요인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시작되었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체로 재범에 관한 탐색적인 연구들로서 재범요인의 영향력을 일관성있게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더욱이 이전 연구에서 중요하게 언급된 일부 요인은 국내의 연구에서는 다뤄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범죄자의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초점을 재범억제를 위한 사회통제에 두고, 공식기관에 의한 형벌과 사회적 결속에 의한 비공식적인 통제를 다루었다. 이밖에도 범죄유형과 범죄경력, 개인적 특성 등의 재범요인을 분석에 도입하였다. 분석자료는 형사정책연구원이 범죄경력연구를 위해 수집한 재소자 공식자료와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생명표와 사건사분석법(Cox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생명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범죄자들의 재범은 40%가 재범가능 한 시점부터 1년 이내, 80% 가량이 3년 이내의 짧은 시간에 발생하며, 배우자가 있는 기혼자는 독신자에 비해, 구금형을 받은 경우는 비구금형을 받은 경우에 비해 천천히 재범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범요인에 대한 회귀분석결과도 구금형과 결혼을 통한 사회적 결속이 재범억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재범억제를 위한 형사정책에는 강한 형벌을 통한 공식적인 사회통제와 가족을 통한 사회결속과 비공식적인 사회통제 둘 다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6,300원
        10.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게임이 가지는 사회적 역할을 탐색하고자 협동성을 요구하는 게임과 오프라인에서 목격되던 대인간의 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속성들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 로 협동성을 요구하는 게임 이용이 심리적 속성인 자기노출과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 펴보고, 이러한 심리적 속성들과 오프라인 사회 참여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한 결과, 협동성을 요하는 게임을 많이 이용할수록 자기노출과 친밀감이 증가하고, 자기노출과 친밀감이 커질수록 오프라인 사회참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나 논의점이 본문에 제시되었다.
        1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acit knowledge sharing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The transmission of Tacit Knowledge is crucial for organizations to ensure that TK will be passed throughout organization, rather than stored in single employe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investigate organizational,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on TK sharing. To test hypothesizes, the survey method was chosen. Sample size was 100 but 74% of questioners returned. Results -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related to influence of personal, social cultural and behavioral factors on tacit knowledge sharing. According to extracted data all factors have influence on tacit knowledge sharing except Emotional stability that was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to tacit knowledge sharing. That may means anxiety and stress level of workplace applies negative enhance on tacit knowledge sharing. And finally results show that social environment, team oriented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strongest influences on tacit knowledge sharing.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personal, social cultural and behavioral factors influence on tacit knowledge sharing. And also indicates that, soci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enhance strongly on tacit knowledge 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