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Korea has approached the aging society, older Koreans have become an important force in restaurant sales today. To succeed with this silver market, it is important for restaurant managers to know who they are and what factors influence older Koreans' eating-out decision mak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ilver consumers' education level on eating-out decision making process. Data were collected from 178 older consumers above 55 years old and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MANOVA,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consumers' education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determining where to eat o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oblem Recognition Step(Wilks' Lambda=0.817, F=2.991), Information Search Step(Wilks' Lambda=0828, F=2.218), Alternative Evaluation Step II(Wilks' Lambda=0.741, F=3.596), Purchase Decision Step(Wilks' Lambda=0.859, F=2.223), and the Post-Purchase Behavior(Wilks' Lambda=0.885, F=1.780). The higher education level was, the more directly involved in the eating out decision process. The elderly consumers with university education were likely to 'propose to eat out by themselves'(F=9.346), to obtain restaurant information from the 'printed materials'(F=7.452), to go to 'family restaurant'(F=9.057), 'Japanese restaurant'(F=8.7891) and 'fine dining restaurants'(F=3.936), and to directly express their emotion when they had complaints about restaurant service(F=3.206). In conclusion, older Koreans will become more healthy and wealthy which means the dining out activity will be an important part of their life to socialize with people. Therefore, food service operations should consider the elderly consumers' needs and expectation of restaurant services and actively position themselves for this new market segment.
본 연구는 노인소비자의 매체 이용행태와 노인소비자 문제를 연구했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노인소비자는 일반적 정보 습득매체와 제품에 대한 정보 습득매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일반적 정보 습득 매체에서는 TV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제품정보 습득 매체에서는 지인·가족, 노인관련단체 등이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정보원과 제품에 대한 정보원 모두 비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TV, 지인·가족, 라디오, 노인관련단체, 신문, 인터넷, 잡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 및 정신적인 노화로 인해 외출이 부자유스런 노인소비자의 경우 집에서 TV와 라디오 등 일반적인 매체에 의존하는 의존도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외출하는 경우도 지인·가족, 노인관련단체 등 관련되어 있는 개인이나 단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노인소비자의 소비자 문제에 대해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소비자가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소비자보다 소비자 문제가 더 많을 것이라고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는데 분석해 본 결과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소비자가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소비자보다 노인소비자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득이 불안정한 노인소비자가 소득이 안정한 노인소비자보다 소비자문제가 더 많을 것이라고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는데 분석해 본 결과 소득이 불안정한 노인소비자가 소득이 안정적인 노인소비자보다 노인소비자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