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전통의 계승과 보급은 인류 발전 과정에서 하나의 화두이자 주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와 과학의 발전에 따라 경관 역시 많은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러한 세계화 물결의 배경 아래에서 전통문화는 현대화의 전방위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에 조성된 중국 전통정원의 재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초로 조성된 월화원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 한 경관이미지 특성을 도출하고, 경관이미지 특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월화원의 경관이미지를 설명하는 인자는 심미성, 개방감, 특이성, 친근성, 전통성 등 총 5개의 인자군으로 공간이미지가 함축되어 분석되었다. 둘째, 전체 선호도 평균값은 4.64로 비교적 높게 나 타났으며, 전통재현경관요소와 자연적 경관요소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경관은 월화원 주요 선호경 관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심미성이 월화원 경관이미지의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현대 도시공간에 조성된 중국 전통재현정 원의 유지·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시에 중국 전통정원 조성 시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경관계획을 수립 시 기초재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대상지는 경남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에 소재하고 있는 남사예담촌으로, 전통 농촌경관이 고스란히 보전되어 있는 전통문화마을이다. 남사예담촌의 원경은 양호하나 마을내 일부 돌담으로 가려진 한옥내부가 유휴지나 텃밭으로 이용․방치되어있거나, 돌담 보수처리가 원활하지 못하여 훼손된 경관을 보여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치되어 있는최소공간에 돌담, 마을안길, 전통놀이 시설물 등의 전통정원 요소를 도입하여 전통문화마을의 주거경관 및 환경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통정원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In order to preserve the traditional garden landscape and maintain the harmony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gardens of Inner Mongolia,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the creation and background elements of Inner Mongolia, and reviewed the nature of the people and th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1) the background factor of traditional garden landscapes was nomadic life in plains, which was a lifestyle of adapting to Mother Nature and promoting mutual existence and survival; 2) Shamanism impacted the views of nature among the ancient Inner Mongolian people; 3) traditional garden landscapes could be categorized into landscapes centered around Mother Nature during the Huns era and those centered around the symbolic landscape during the Genghis Khan era; 4) aesthetic elements of traditional garden landscapes included traditional colors of red, yellow, sky-blue, milky-white, and traditional patterns of external knot, cloud, bull horn, and plain grass. These findings may provide basic data for the creati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garden landscape of Inner Mongolia in the application of the green space design of Inner Mongolia.
전라남도 담양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원림인 소쇄원은 1520년대 후반과 1530년대 중반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548년 소쇄원 48영과 1755년 소쇄원도에 등장하는 수목 및 1976년 정동오, 1999년 유재은에 의해 조사된 수목에 대한 시대별, 공간별 수종과 수량의 변화에 대해 비교 조사하였다. 소쇄원 48영과 소쇄원도에는 각각 12종의 수종이 등장하였고, 1976년의 현장조사에서는 25종 73그루, 1999년의 현장조사에서는 24종의 수종이 식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2년 7월의 본 현장조사에서는 공간을 보다 세분화하여 전정(前庭), 원정(垣庭), 계정(溪庭), 오정(塢庭), 후정(後庭), 내정(內庭) 등 총 6개 구역으로 나눠서 조사하여 26종의 99주가 식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300년 전과 비교해서는 수목의 식재가 많이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고 현재와 1900년대에 조사한 자료와 비교하여도 수목의 종류와 수량은 다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소쇄원 원림식생의 전통적 원형유지와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정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정원을 식물 선택 및 배식 기법의 측면에서 고찰하여 당시의 식생 현황을 옛 그림이나 문헌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추하여 자연 천이 및 인위적인 변형 등을 통해 변화된 오늘날의 모습과 비교․분석하여 전통정원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선시대 궁궐정원, 별서정원 및 주택정원을 고찰한 결과, 전통 정원의 전통성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간 구성과 상징적 및 사상적 의미를 가지는 식물종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구체적으로 전통정원의 공간 기능, 배식 의미, 식물 종, 경관 요소 등을 도출하여 식재 유형 예시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 전통정원의 현재 모습의 기록 및 국내․외 한국 전통정원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intended to extract traditional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through survey on theexperts and practitioner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survey form includes questions about representative type of traditional garden, representative elements of traditional garden, and necessary elements for making traditional garden,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are palace and villa gardens. 2) the available traditional facilities should be applicable with contemporary culture only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3) the major traditional facilities are water-scape such as ponds and mountain streams with traditional pavilions. 4) plants should be selected in spontaneous plants in Korea bu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species recorded in old documents. It is difficult to suggest the method of layout and design strategies in this study,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will be helpful to desig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suitable in contemporary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