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first detection of the African swine fever (ASF) virus in the Republic of Korea in 2019, the Korean government has applied interventions, including fencing, increasing the biosecurity level at domestic pig farms, and the capture-and-removal of wild boars. In particular, wild boars ar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ASF control because they can spread disease among susceptible animals, such as wild boars or domestic pigs. A capture-and-removal method aims to reduce the likelihood of ASF transmission from wild boars to domestic boars or among wild boars by decreasing the number of susceptible wild boars. This study estimated the required number of wild boars captured and removed for ASF control using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opulation factors, such as a life span, sex ratio, or an inbreeding depression with different capture-and-removal proportions of wild boa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en scenarios with different capture-and-removal proportions of wild boars and different periods of culling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sults, a method in which 75% of wild boars are captured-and-removed for at least three years showed long-term effectiveness for more than ten years. The current ASF control method, in which 33% of wild boars are captured-and-removed, decreased the number of wild boars for three years, after which the wild boar population increased to more than its initial number. Given the limit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controlling ASF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s recommended that resources be prioritized to increase the capture-and-removal proportion of wild boars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ASF-control effectiveness.
        4,000원
        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compared the morphology, physiology, and stem-count change of natural versus transplanted endangered orchids (Cypripedium japonicum) undergoing habitat management (repeated removal of competing understory vegetation) during 2009 and 2013 in South Korea. The restored site had lower transmitted light and soil humidity than the natural site. The natural and restored populations differed in leaf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 (natural: total chlorophyll = 1.00 ± 0.04, restored: total chlorophyll = 0.53 ± 0.06). No recruitment occurred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Population viability tended to decrease in the restored population (λG=0.97,μ=– 0.05, σ2=0.036) and increase in the natural population (λG=1.07,μ = 0.03, σ2=0.075). In conclusion, restored C. japonicum have poor long-term viability compared with plants in the natural habitat, a difference caused mainly by inappropriate transplant-site selection. Repeated removal of competing vegetation differed in its effects on character, abundance, and reproductive properties in both populations. Notably, habitat management increased stem count and flowering rate in natural C. japonicum, but these changes did not cause an increase in fruit-setting rate.
        3.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우는 한국에서 1980년대 이후로 절멸된 것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현재는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1급 동물로 지정되어 소백산국립공원에서 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우복원사업에 필요한 적정 모델링과 방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VORTEX 프로그램을 이용한 개체군 생존력 분석(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VA)을 수행하였다. 초기 개체군 0에서 매년 10개체(암5, 수5)를 향후 10년간 지속적으로 방사할 경우, 개체군의 이입으로 50년간 개체군 성장률은 0.018±0.204였으며, 절멸확률은 0.354로 나타났다. 최초 방사 후 16년차에 116.34로 최대 개체군 크기를 보였으나, 17년차부터 매년 1.22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방사된 여우의 지속적인 성장과 절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초 방사 17년 이후 추가적인 방사가 필요하며, 장기적인 여우 존속을 위해서는 매년 12개체 이상을 방사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연간 6개체 이하일 경우 50년 후의 절멸 확률은 8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최소한의 개체군 성장을 위해서는 8개체 이상의 추가 방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정된 조건값에서 매년 10개체씩 암수의 성비를 변화하여 6:4 로 10년간 방사할 경우 1:1 비율보다 안정적인 개체군 성장률을 보였으나, 암컷의 비율이 7:3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재난요인으로 설정된 road-kill과 밀렵은 여우복원사업의 성패에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초기 적용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요인이 3% 감소할 경우에는 절멸 확률은 30%로 낮아졌으며, 3% 이상 증가할 경우 50년 후의 절멸 확률은 약 90%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is a representative wetland species distributed across East Asia. The species has been declined to face the threat of species extinctions with estimation of at about 3000 individuals. In order to re-introduce the endangered storks in the field, we developed a baseline model using the program VORTEX, performed sensitivity test, and finally suggested an ideal model based on results of the sensitivity test. The baseline model predicted 12.5% extinction probability with mean time to first extinction of 82.0 year. Sensitivity test revealed that two demographic variables (first-year mortality and percent of adult female breeding) had the greatest impacts on population persistence. Thus, corrected model improved the population persistence, where the extinction probability decreased to 1.0% in 100 years by changing values of two variables within a range of applicable to the population. Our models for stork re-introduction suggest this population will be stable by improving first-year mortality and adult female fecundity.
        4,000원
        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장미 재배종은 오랜 기간 동안 종간교잡과 종내교잡을 통해 선발되어 온 것으로서 대 부분이 이형잡종의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어 발아율이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배를 위해서는 화 분의 활력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염색액과 발아배지를 이용하여 7품종의 화분 임성율과 발아율 검정하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화분의 크기, 배수 성 및 교배조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화분 임성율은 ‘스칼렛미미’가 82%로 가장 높았으며 ‘피노키오’가 39%로 가장 낮았다. 발아율 관찰 결과 ‘스칼렛미미’가 41%로 가장 높았으며 ‘미니로사’가 1%로 가장 낮았다. 화분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 화분은 큰 화분 과 작은 화분으로 구분되었으며 화분의 직경은 각각 41.3- 45.4 μm과 30.7-37.4 μm로 관찰되었으며 화분의 크기는 10-40%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의 크기 와 염색체 전체 길이의 합을 비교한 결과 염색체 크기와 화분의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배조합 검정 결과 착과율과 발아율은 화분 발아율, 임성률 및 배수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Rana chosenica)개체군의 존속 가능성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보전 대책의 마련과 야생복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충북 청원군에 서식하는 개체군을 대상으로 개체군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금개구리의 개체군은 30년간 1,000회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0.113의 낮은 성장률을 가지고 존속해 나갈 것이라 예측이 되었으나 절멸가능성 또한 81.1%로 매우 높아 환경적으로 민감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금개구리 개체군의 개체군 성장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