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70 % 에탄올 추출물에서 추출한 Water Chestnut의 항산화, 항 염증 및 방부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사용하여 조사한 마름열매 추출물의 독성은 세포 생존율의 90 %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폴리페놀 추출물의 총 함량은 353.1 ± 5.6 ㎎ / 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총 함량은 26.2 ± 1.4 ㎎ / g이었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1, 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컬 감소는 마름 열매 추출물 농도 1 ~ 1000 (㎍ / ㎖)범위에서 각각 17.0 ± 2.8 % ~ 88.6 ± 0.6 %의 감소효과를 보였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라디칼의 제거 범위는 각각 2.3 ± 0.8 % ~ 93.9 ± 0.2 %였다. 활성 산소종 (ROS)에서의 효과는 1, 10, 100 (㎍ / ㎖), 100 ㎍ / ㎖ 농도에서 p <.01의 유의 한 감소를 보였다. 1, 10, 100 (㎍ / ㎖) 농도의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 한 결과, 유의 한 (p <.001, p <.01)의 감소가 나타났다. 미생물에의 방부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페이퍼 디스크를 사용하는 항 박테리아 기능과 페트리 필름을 사용하는 방부제 특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유에 율피의 용매분획별(에테르, 부탄올, 물) 추출물과 tocopherol, BHA를 각각 0.02% 첨가한 후 자동산화 및 가열 산화시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다. 1. 자동산화시 과산화물가를 통한 항산화력 비교에서 45℃에서 42일간 저장한 경우 부탄올추출물 〉 에테르추출물 〉 무첨가구 〉 BHA 〉 토코페롤 순으로 항산화력이 있었고, 60℃에서 32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부탄올 추출물이 강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에테르추출물은 무첨가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가열산화의 경우 에테르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3.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성분의 분석결과 에테르추출물에는 ellagic acid, quercetin, morin, naringenin, flavanol로서 주요성분은 ellagic acid이었다. 이들 성분의 총량은 에테르추출물 49.09%(w/w), 부탄올추출물 76.26%(w/w)로서 부탄올 추출물에 폴리페놀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우수한 항산화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부탄올추출물에는 ellagic acid, naringenin, gallic acid, flavanol이 있었으며, 주요성분은 naringenin, gallic acid로서 이들 성분들이 항산화 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chestnut (Trapa japonica Flerow) extract. Methods and Results :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100% methanol extract of water chestnut were investigated. The methanol extract was evaluated for it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reducing power, andeffect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ell viability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The total phenolic content was 438.31 ㎍ allic acid equivalent (GAE)/㎎ extract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61.40 ㎍ quercetin equivalent (QE)/㎎ extract. In addition, results revealed the extract possessed antioxidant activity (DPP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IC50 value of 5.28 ㎍㎖ The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assayed spectro photometrically and showed Abs of 0.71 at 100 ㎍㎖ Furthermore, extracts of water chestnut exhibited no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s. In addition, the NO assay revealed that LPS-induced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following treatment with water chestnut extracts.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protein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water chestnut extract also decreased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release. Conclusion : Therefore,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nutritional potential,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rapa japonica Flerow anddemonstrate its potential use as a functional food forapplication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4.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water chestnut (Trapa japonica Flerow). Methods and Results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pericarp and seed extract was 438.31 ㎎/g and 25.32 ㎎/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showed that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of pericarp and seed extract were 5.28 ㎍/㎖ and 355.51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ericarp extract showed strong reducing power. In the MTT assay, the pericarp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viability of A549, AGS, HeLa, PC-3, HCT116, HT29 and SW620 cell lines compared with the seed extrac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japonica Flerow extracts have significant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5.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침지 저장액에 의한 깐밤의 갈변억제에 따른 저장 효과를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저장초기에 13.36 mg%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무처리구는 저장 17일까지 59.12 mg%로 증가 후 다시 감소하였다. 전해산화수 처리구는 저장 8일에 61.02 mg%로 갑작스런 증가를 보인 후 감소하였고, 그 외의 처리구에서는 저장 초기에 미세한 변화를 보이다가 저장 11일에 갑작 스럽게 증가하는 경량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