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고려엉겅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수확시기에 따른 고려엉 겅퀴의 항산화활성 및 항비만 활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2016년 6월, 7월 그리고 8월에 수확한 고려 엉겅퀴를 이용하여 지표성분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ORAC assay 및 지방축적과 ROS 생성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지표성분 pectolinarin 함량은 수확시기별로 43.13 ± 0.22 ~ 95.65 ± 0.34 mg/g 로 수확 시기 가운데 2016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2016 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에서 40.43 ± 0.35 mg RE/g로 수확시기 가운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수확시기에 따른 활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ORAC 지수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지표성분 함량의 결과와 유사하게 2016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에서 6월 수확시기보다 2.4배가량 높은 ORAC 지수를 나타내었다. 수확시기별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은 50~200 μg/mL의 농도에서 지방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수확시기별 고 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 량과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고려엉겅퀴는 비만 등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4,000원
        4.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obesity effect of commercial kochujang and fermented wheat grains in Sprague-Dawley (SD) rats was studied.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6 groups. Normal, high fat diet (HFD), HFD+raw wheat grains, HFD+first fermented wheat grains (FFWG, with Aspergillus oryzae) HFD+final fermented wheat grains (FiFWG, fermented more for 30~40 days), and HFD+ commercial kochujang. The results showed that final body weight,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and adipose tissue weight were markedly decreased by the commercial kochujang and the fermented wheat grains, whereas non-fermented raw wheat grains had no such effect. Lipid contents such as total lipid, total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decreased in the serum and organs of liver and adipose tissues by the commercial kochujang and the fermented wheat grains as well. Thes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fermented wheat grains exhibited more suppressive effects on high fat induced-obesity than raw wheat grains. Increased fermentation time and adding the red pepper powder resulted in increased the anti-obesity effect. Especially, commercial kochujang showed higher antiobestic effects than fermented wheat grains. These in vivo findings suggested that well-fermented end products of the wheat grains and red pepper powder in kochujang could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obesity.
        4,000원
        6.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besity activity of the Cucubita moschata Duch. extracts was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n triglyceride accumulation was shown in 3T3-L1 preadipocyte. The lipid accumulation of the ethanol extract in 5 mg/mL concentration was shown to be 75.4%, where as that of water extract was shown to be 85.2%. The survival rate of the cell in the viability test was shown to be 86.5% in the 0.5-5 mg/mL concentr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water extract(46.54 ± 0.02 mg).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cubita moschata Duch. extracts have a potential as anti-obesity material by reducing the lipid accu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