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brand attitude bases between Japanese and Americans. ‘Pride’ was a universal predictor of brand attitudes among both Japanese and American participants. However, Japanese consumers strongly emphasized ‘emotional attachment’, whereas Americans’ brand attitudes mostly derived from product functionality. The reason was discussed in light of Cultural-psychology.
        4,000원
        2.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ssessed how restaurant brand personality affected customer’s awareness/association, emotional-relationship and image,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brand loyalty. As well, the influence of restaurant brand personality to brand loyalty was assessed. The model was tested in family restaurants in the metropolitan cities of Ulsan and Daegu. Between January 1 and February 28, 200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estaurant patrons. A total of 274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at restaurant brand personality increased brand awareness/association, brand emotional?relationship and brand image, and that these attributes increased brand loyalty. Restaurant brand personality affected brand loyalty.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managers of family restauran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motional reaction of customers to their establishment. This involves employee actions that make dining a pleasurable experience.
        4,300원
        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비 시장이 감성 소비 환경으로 바뀌면서 브랜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고, 이를 위한 브랜드 이미지 전략으로서 디자인의 역할이 확장되고 있다. 브랜드와 소비자가 소통하는 지점인 소비자 접점은 체험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가 형성되는 경로이므로, 기업이 지향하는 이미지로 각인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 접점에 대한 총체적인 기획 및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변화된 시장 환경에서 성공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통합 디자인의 구성 방법을 정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브랜드 이미지의 특성, 소비자 체험의 조건, 감성의 역할을 이해하고, 이미지와 감성 처리 모형과의 상관성을 해석하여, 이미지의 3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미지의 특성은 1) 경험적 판단에 근거하며, 2) 감성적 내용을 표현 전달하고, 3)관념적 공감에 의한 심리적 가치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를 창출하는 디자인의 조건을 성공적인 브랜드의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강력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브랜드 아이콘의 역할과 이를 위한 통합 디자인의 필요성을 밝혔다. 이 통합 디자인을 구성하는 방법은 1) 브랜드 이미지 포지셔닝에 의한 이미지 집중화, 2) 브랜드 이미지 플롯에 의한 시각적 주제 활용, 3) 이미지 통합 관리를 위한 Total Identity Program, 4) 브랜드 이미지각인을 위한 Brand Icon 개발 등이다.
        4,300원
        4.
        202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rigorously investigates the multi-faceted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in the emerging retail landscape context and posits a suite of optimization strategies. The paper begins by delineating the current trajectory of the new retail industry, underscoring the pivotal role tha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lay in the transformative processes of enterprises. The study then explores the salient impact of consumer interaction and brand sentiment on purchasing decisions. Consumers are transitioning from focusing solely on material gratification to a heightened emphasi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ulfillment, particularly in the information age. Hence, retail businesses should initiate diversified interaction strategies rooted in authentic consumer needs and efficacious brand anthropomorphism to bolster emotional engagement and allure a broader consumer base. Conclusively, the paper offers targeted strategies designed to invigorat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serving as a substantive guide for optimizing marketing and sales tactics in the novel retail mili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