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mbustion method has been widely used in the analysis of 3H and 14C in various types of radioactive wastes since X. Hou reported the analysis of 3H and 14C in graphite and concrete for decommissioning of nuclear reactor. In this work,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validation result of combustion method for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3H and 14C in non-combustible radioactive wastes. To validate the combustion method, 3H and 14C spiked to sea sand and soil were prepared and each simulated sample was combusted with the accordance to a combustion temperature program. The validation of combustion method was assessed by the radioactivity recovery, radioactivity deviation,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measured radioactivity. The results of radioactivity recovery, radioactivity deviation,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14C were 100~105%, less than 7%, less than 5%, respectively. In addition, 3H showed about 90% of radioactivity recovery, less than 20% of radioactivity deviation, and less than 5% of relative standard deviation. It will be provided that the validation results of combustion method in detail.
        2.
        201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rphous agglomerates of carbon nanospheres (CNS) with a diameter range of 10-50 nm were synthesized using the solution combustion method.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revealed a densely packed high surface area of SP2-hybridized carbon; however, there were no crystalline structural components, as can be seen from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RTEM, X-ray diffraction, Raman spectroscopy, and ther-mal gravimetric analyses. Electrochemical and thermo catalytic decomposition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aterial can be used as a potential electrode candidate for the fabrication of energy storage devices and also for the production of free hydrogen if such devices are used in a fluidized bed reactor loaded with the as-prepared CNS as the catalyst bed.
        4,000원
        3.
        2010.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rAl2O4:Eu2+,Dy3+ phosphor powder with stuffed tridymite structure was synthesized by glycine-nitratecombustion method. The luminescence, formation process and microstructure of the phosphor powder were investigated bymeans of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PL). The XRDpatterns show that the as-synthesized SrAl2O4:Eu2+,Dy3+ phosphor was an amorphous phase. However, a crystalline SrAl2O4phase was formed by calcining at 1200oC for 4h. From the SEM analysis, also, it was found that the as-synthesizedSrAl2O4:Eu2+,Dy3+ phosphor was in irregular porous particles of about 50µm, while the calcined phosphor was aggregated inspherical particles with radius of about 0.5µm. The emission spectrum of as-synthesized SrAl2O4:Eu2+,Dy3+ phosphor did notappear, due to the amorphous phase. However, the emission spectrum of the calcined phosphor was observed at 520nm(2.384eV); it showed green emission peaking, in the range of 450~650nm. The excitation spectrum of the SrAl2O4:Eu2+,Dy3+phosphor exhibits a maximum peak intensity at 360nm (3.44eV) in the range of 250~480nm. After the removal of the pulseXe-lamp excitation (360nm), also, the decay time for the emission spectrum was very slow, which shows the excellent long-phosphorescent property of the phosphor, although the decay time decreased exponentially.
        4,000원
        7.
        1998.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착체증합법 및 연소합성법에 의해 Zn0.994Mn0.006Ga2O4녹색형광체 분말을 합성하였으며, 이들의 분말 및 발광특성을 XRD, SEM, BET, PL 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이를 고상반응법에 의하여 합성한 시료와 비교하였다. 착체중합법과 연소합성법에 의해 합성한 시료는 각각 500˚C와 400˚C에서 단일 스피텔 상이 생성되었으며, 이들의 입자크기는 고상반응에 의해 합성된 분말에 비하여 작았다. 한편, 착체중합법에 의하여 합성한 분말의 발광강도는 열처리 온도가 900˚C일 때, 연소합성법에서는 반응온도가 400˚C일 때 각각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8.
        1996.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소화염법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박막합성은 기판의 표면상태에 크게 의존한다. 특히 탄소결합상이 기판에 조재하는 경우 다이아몬드 핵생성과 성장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흡입가스비율(R=O2/C2H2)과 기판온도 조건의 연소화염법을 이용하여 몰리브덴 기판위에 다리아몬드박막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박막의 핵생성에 미치는 기판 탄소화합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b 금속기판표면에 형성된 탄화물로는 Mo2C상과 soot를 택하여 박막합성 전에 Mo기판상에 형성시켰다. Mo 금속기판표면에 형성된 탄화물(Mo2C)상에는 다이아몬드 핵생성과 입자성장이 촉진되어 가장 조대한 양질의 다이아몬드 입자가 형성되었다. 이것은 탄화물상이 반응가스중의 탄소의 확산을 저지함과 동시에 핵생성의 필요한 잠복기간을 감소키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soot를 구성하는 미세한 탄소결합상들이 다이아몬드 핵생성 장소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다이아몬드 수밀도가 가장 크게 관찰된 반면, 입자성장은 Mo2C기판에 비해 작았다.
        4,000원
        9.
        199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소화염법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박막합성시 기판표면온도 및 온도분포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공정변수는 탄화수소량을 결정하는 산소/아세틸렌 가스의 혼합비(R=O2C2H2)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가스비율 변화 (R=0.87-0.98)에 따른 기판표면온도 및 온도분포를 측정하고, 이들 변수에 따른 다이아몬드 박막의 생성 및 결정형상의 변화과정을 SEM관찰, Raman 분광분석 및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혼합가스비율의 증가에 따라 다이아몬드의 생성입자 수밀도는 감소하였고, 이와 동시에 결정형상도 (111)면과 (100)면이 혼재된 cobo octahedron형에서 octahedron인 (111)면으로 변화되었다. 한편, 기판온도증가에 따라 생성입자의 수밀도가 증가하고 성장속도도 빨라져 조대한 결정을 얻었으며, 생성된 입자형성은 (111)면애 지배적이다가 (100)결정면이 점차 많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