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수처리장 유출수의 수질 예측은 수질 사고의 사전 대응 및 처리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머신러닝을 활용한 예측 모델링에서 예측 성능 향상과 과적합 방지를 위해 다양한 교차 검증법과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기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하수처리장 데이터는 시간적 의존성과 급격한 변동성이 내재되어 있어 과적합에 취약하고 안정적인 모델 구축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최적의 모델링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XGBoost 모델을 기반으로 유출수 내 총질소 농도를 예측하였다. 예측 성능 평가 지표로는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MSE 오차 개선율(the rate of improvement on RMSE, RIRRMSE) 그리고 계산 시간을 사용하였다. 기본적인 Hold-out 방식의 성능을 기준으로 K-fold, 시계열 교차 검증(Time Series Cross Validation, TSCV), 블록 시계열 교차 검증(Blocked Time Series Cross Validation, BTSCV) 기법의 예측 성능을 분석한 결과, BTSCV는 인접한 데이터만을 고려하는 방식으로 시간적 의존성과 급변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여 가장 높은 RIR(36.37%)을 기록하였다. 또한,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그리드 서치와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과의 다양한 교차 검증법의 조합을 통해 모델 성능과 과적합 방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BTSCV와 베이지안 최적화의 결합은 짧은 계산 시간(364.64초)과 함께 가장 높은 RIR(64.93%)을 보였으며, 훈련 및 평가 데이터 간 성능 차이도 최소화되어 일반화된 예측 모델로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수처리장 시계열 데이터의 특성에 적합한 BTSCV와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을 결합한 모델링 파이프라인 전략을 제안하며, 향후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하수처리장 운영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00원
        2.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most cultural contexts, consuming ethically is socially desirable and reporting favorable attitudes is relatively cost-free. Thus, consumers have incentives to state favorable attitudes toward ethical products despite barriers to actual purchase. This attitude-behavior gap in ethical consumption presents a global challenge to socially responsible marketing (Carrington et al., 2010, 2014, 2016). Several explanations for this gap have been offered. The current research draws from these explanations and—based on literature in psychometrics and attitude formation—develops a novel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 Affect Misattribution Procedure (AMP; Payne et al., 2005). We aim to capture consumers’ implicit ethical product attitudes which have otherwise evaded marketers (Zollo, 2021). Further, using samples of consumers in both the US and Italy,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the predictive power of this measure in predicting consequential ethical consumption choices. We conclude with a proposal for additional studies to further validate the procedure in more ecologically valid contexts.
        3.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sumer arrogance is conceptualized and defined by Ruvio & Shoham (2016) as people's proclivity for demonstrating their social superiority through the acquisition, utilization, or display of consumer goods. This new notion rooted from the symbolic meaning of consumption that suggesting consumers use products as symbols to create self-identity, to maintain their self-concept, to express their self, to convey personal and social achievements and to reflect their social status to others (Holman, 1981; Belk, 1988; Hirschman & LaBarbera, 1990). This research examines the cross-cultural validity of the Ruvio & Shoham‘s (2016) consumer arrogance scale in Turkey and Romania. Data were collected from 192 Turkish and 176 Romanian stud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four-factor solution. The scale demonstrates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within the two countries and across countries. The cross-cultural validation tested via configural, metric and covariance metho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umer arrogance scale is consistent across countries and it can be established as a second order construct. The nomological validity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sults support that consumer arrogance is predicted by materialism in both countries. This cross-national study extended consumer arrogance scale in a collectivist cultural setting and contributes to enriching cross-cultural validation research as well as consumer behavior understanding.
        4.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mer-Based Brand Equity (CBBE) literature has, in recent years, introduced various CBBE models and measurement scal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two prominent CBBE models in the fashion retail industry; those introduced by Yoo and Donthu (2011) based on Aaker (1991)’s CBBE concept and Nam et al. (2011). In order to make this comparison,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285 respondents in Turkey. Research findings show that Nam et al.’s (2011) CBBE model is, in the fashion industry context, the more reliable and valid. When the concept of “brand awareness” is included in this model,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odel are improved.
        4,000원
        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Dunn 등(2006)의 스포츠 다원적 완벽주의 척도(Spor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Sport-MPS)에 기초하여 무용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한국판 척도를 제작하여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총 746명의 남녀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다집단 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최종 확정된 4요인 25문항(개인적 기준, 실수에 대한 염려, 부모의 압박, 교사의 압박)에 대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가 학교, 무용경력 및 무용전공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시간적 안정성도 양호한 측정도구로서 확인되었다. 집단 간 잠재평균분석의 결과 대학생과 경력이 많은 학생이 고등학생과 경력이 적은 학생보다 교사의 압박과 실수에 대한 염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Elliot와 McGregor(2001)의 2×2 성취목표 모델을 스포츠 맥락에서 검증하기 위해 한국형 2×2 스포츠 성취목표 검사지를 개발하여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교와 대학의 남녀 운동선수 1,743명(남자=713명, 여자=6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스포츠 맥락에서 2×2 성취목표의 요인구조를 뒷받침하였으며, 2×2 스포츠 성취목표 검사지와 스포츠 목표성향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수렴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성별, 학교급 및 종목특성별에 따른 구인 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잠재평균분석 결과 성별과 학교급별간 하위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종목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2×2 성취목표 검사지는 남녀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와 관련된 다양한 동기적 변인을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적절한 측정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8.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의 핵심개념인 인간의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를 체육수업 상황에서 측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박중길과 김기형(2008)이 개발한 운동선수의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에 기초하여 중고등학생용 체육 기본심리적욕구 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일련의 문항수정과 예비검사를 통해 중고등학생들의 체육에 대한 기본 심리적 욕구를 측정할 수 있는 3요인 12문항의 최종 척도를 구성하였다. 남녀 중고등학생 1,033명에게 두 차례의 본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로 각각 척도에 대한 내외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 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척도와 일반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본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한 다집단 분석의 결과 체육 기본심리적욕구 척도가 남녀 중고등학생에게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개념적 구조를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평균분석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세 가지 욕구 수준이 높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자율성과 유능성 욕구가 낮지만 관계성 욕구는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