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examines recent trends in stadium design and construction through a comprehensive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It highlights the innovative use of advanced building materials, such as high-performance composites and sustainable concrete mixes, which enhance structural integrity while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 The integration of smart technologies—including IoT technologie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digital twin—is explored for its role in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safety, and maintenance processes. Additionally, the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engineering techniques like seismic design, advanced AI-based structural analysis, which streamline construction processes and optimize resource usage. Emphasizing sustainability, the paper also discusses strategies for energy-efficient designs and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Overall, the findings demonstrate how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combining material science, smart technology, and sustainable engineering are shaping the future of stadium construction.
도심부 도로에서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해 발생한 홍수 및 물순환 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수블록포장이 도입되고 있으며, 물순환 시스템 강화의 필요성에 따라, 투수블록포장은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투수성 포장의 성능 향상 을 위해서는 교통 하중 지지력을 만족하고, 투수 성능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므로 표층뿐만 아니라 하부 투수기층의 설계 기준과 입도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설계법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고, 국외에서는 AASHTO 93 설계법을 구조설계법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투수성 포장재료의 상대강도계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다양한 재료에 대 한 설계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투수블록포장 하부 투수기층 골재의 물리적 특성과 입도 기준에 관한 고찰을 통해, 내구성 향상을 위한 설계 요인과 투수 성능 간의 관계 분석 결과를 정리함으로써, 두 방향을 모두 고려하여 효율적인 골재 입도 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적합한 방향성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투수성 포장 설계 조건과 성능에 관한 연구를 다루는 문헌을 수집해 투수 블록포장의 하부구조 단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 및 연구 방법론을 정리함으로써 실무 연구자들의 국내 연구 활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Background: Kinesiology taping (KT)’s therapeutic effect on dysphagia is insufficient, and method of KT application is not yet clear.
Objectives: To review the considerations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KT for dysphagia rehabilitation.
Design: A systematic review.
Methods: The present study involved a systematic search of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Embase, CINAHL, and Web of Science) to identify relevant studies published on the use of KT for dysphagia rehabilitation between 2010 and 2020.
Results: Four articles (on child dysphagia, adult dysphagia, and healthy adult) were selected. It was found that when KT was applied with 15% tension to the orbicularis oris, mylohyoid, sternohyoid, and masseter muscles in children with dysphagia, lip closure and sucking function were improved. In addition, when KT with 80% tension was applied below the hyolaryngeal complex in healthy adults, significant activation of the suprahyoid muscle was reported. Application of KT with 50% tension to the digastric posterior bellies and the mylohyoid, geniohyoid, sternocleidomastoid, and upper trapezius muscles in adults with dysphagia showed an immediate improvement in vertical excursion and epiglottis rotation of the hyoid bone. Finally, application of KT with 70% tension to the hyolaryngeal complex in adults with dysphagia showed increased thickness of the suprahyoid and the tongue muscles.
Conclusion: The present review indicates that KT has significant potential as a therapeutic exercise method for patients with dysphagia in the future. However, the application of KT in such patient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hape, design, and degree of tension of the tape and the patient's capability and swallowing function.
현재 바이오 분야에서 분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투과율 및 결합능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띠는 막크로 마토그래피가 수지 크로마토그래피의 대체 분리 공정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증을 기반으로 하여 막 소재가 결정되는 기존 분 리막 공정과 달리, 막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분리하고자 하는 목표 물질에 적합한 분리 메커니즘 이해 그리고 이를 기반한 공정 설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생특이성을 활용하여 선택적으로 거대 분자를 포집하는 친화성 작용, 전하를 활용하여 생분자와 결합하는 이온 교환 작용 그리고 소수성을 활용하여 생분자와 결합하는 소수성 작용과 같은 막크로마토그래피 주요 분리 메커니즘들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단계적 측면에서 또는 소재 측면에 막크로마토그래피 기술 설계 시 고려해야할 변인들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섭식 및 구강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단일대상연구 설 계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한국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활용하여 2011년에서 2020년에 발간된 논문 중 감각통합, 감각통합치료, 감각자극, 구강방어를 주요 검색용어로 검색하였다. 총 7편의 단일대상연구 설계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특성 및 내용, 질적 수준을 확인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는 모두 반전설계였다. 독립변수는 감각통합, 구강 관련 중재를 동시에 적용하였고 종속변 수는 식사, 호흡, 자세, 침흘림, 양치질 등 다양하였으며 중재 후 모든 종속변수가 향상되었다. 치료 회기, 시간, 기간은 다양하였다. 연구의 질적 수준은 대부분 중간 이상이었으며, 변수와 대상에 대한 정의, 시각적 자료 사용 등 기준에 맞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었다.
결론 : 감각통합치료는 섭식 및 구강기능에 효과적인 중재법으로 확인되었다. 단일대상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은 적절하였으며 추후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높은 수준의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새롭게 도입하고자 하는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터미널 플랫폼 시설의 온도하중에 따른 적정 신축이음 간격을 살펴보았다. 터미널 플랫폼의 적정 신축이음 간격 검토는 미국 F.C.C.(federal construction council)에서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지역별 온도변화에 따른 최대 신축이음 간격을 설정하고,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해서 산출된 최대 변위값과 건축구조 수평변위 제한값을 비교하였다. 적정 신축이음 간격은 온도변화로 인한 구조물 최대 변위량이 수평변위 제한값 이하가 되는 슬래브 길이로 선정하였으며, F.C.C 제안식을 통하여 산정한 지역별 최대 신축 이음 간격을 적용하여 구조물 최대 발생 변위를 살펴본 결과, 건축구조 수평변위 제한값 이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변위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DFS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in an effort to reduce the accident rate, cases of DFS in other advanced countries to study their risk detection, risk assessment, risk control measures, and cases in which application of DFS during the designing phase succesfully led to reduction of the accident rate. Till now, the focus has been on incident responses after the occurance of accidents, it describ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afety during the desining process through safety results and cases.
In recent years, advancing technology and growing interest in neuromarketing and neurobranding have led to foundational research that facilitat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sumers’ affective responses and unconscious information processing. However, the areas of aesthetics and design have remained largely unaffected by such advances and i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ystematic review of the neuroscientific evidence aimed at sensible design for design and marketing researchers interested in exploring neuroaesthetics, an interdisciplinary area by nature. Sciencedirect, EBSCO, and the Google Scholar database were searched in February 2014 to select and review previous studies of aesthetics involving neuroscience. Twenty-eight studies were reviewed and divided into two categories: reward system and emotion. In addition to discussions on previous approach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cusing on the process of aesthetic judgments (e.g., design elements, marketing stimuli) are proposed.
PURPOSES : This paper numerically evaluates the contribution of transverse steel to the structural behavior of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s to understand the role of transverse steel. METHODS: Two-lane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s with and without transverse steel were analyz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the aid of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DIANA; the difference in their structural behavior such as deflection, joint opening, and stress distribution was then evaluated. Twenty-node brick elements and three-node beam elements were used to model concrete and steel, respectively. Sub-layers were modele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tensionless spring elements. The interactions between steel and surrounding concrete were considered by connecting their nodes with three orthogonal spring elements. Both wheel loading and environmental loading in addition to self-weight were considered. RESULTS : The use of transverse steel i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s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ructural behavior. The surface deflections change very little with the use of transverse steel. The joint opening decreases when transverse steel is used but the reduction is quite small. The transverse concrete stress, rather, increases when transverse steel is used due to the restraint exerted by the steel but the increase is quite small as well. CONCLUSIONS : The main role of transverse steel i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s is supporting longitudinal steel and/or controlling unexpected longitudinal cracks rather than enhancing the structural capacity.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항공기 충돌에 대한 원자력발 전소의 안전성 평가 및 규제 현황과 연구용원자로의 안 전성 평가 및 규제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현황과 평가와 관련하여 연구용원자로에 적용할 수 있는 항공 기 충돌 안전성 평가 및 대비설계 기준을 원자력발전소 에 적용되는 기준을 기반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되는 연구에서는 연구용원자로에 대한 실질적인 항공기 충돌 안전성 평가 및 대비설계 기준을 도출할 수 있으며, 평가 및 대비설계 방법을 상세히 정 립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를 바탕으로는 항 공기 충돌에 대비한 연구용원자로 건물의 예비개념설 계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oretically reviews vertical grade deriving process in super high speed environment and compares overseas design criteria with Domestic Standardization also draws suitable vertical grade design criteria of high standard for Domestic Circumstances in Korea. METHODS : By researching domestic vehicle registration status, calculating typical vehicle, using Vissim which is traffic simulation program, Speed-distance curve of the vehicle is derived under each design speed condition. Through Speed-distance curve, estimating critical length of grade and considering critical length of grade, maximum longitudinal incline is proposed. RESULTS : The result of domestic vehicle registration status, the typical vehicle for deriving vertical grade is calculated based on gravity horsepower ratio 200 lb/hp. For calculating critical length of grade, according to change speed of uphill entry, speed-distance curve is derived by using Vissim. Critical length of grade is calculated based on design speed 20 km/h criteria which is point of retardation. Estimated critical length of grade is 808 m and based on this result, maximum longitudinal incline was confirmed in the design speed between 130km/h to 140km/h. CONCLUSIONS: The case of the typical vehicle(truck) which is gravity horsepower ratio 200 lb/hp, maximum longitudinal incline 2% is desirable at the super high speed environment in the design speed between 130km/h to 140km/h.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 논문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게재된 31편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이들 논문을 연구 방법의 내용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종속 변수는 행동변화가 가장 많았고, 상지기능, 시지각 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아동과 성인 및 노인이 비슷하였다. 아동 대상자는 뇌성마비와 자폐증이 가장 많았고, 성인 및 노인 대상자는 뇌졸중이 가장 많았다. 설계 형태는 반전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유지 및 일반화보고 비율은 높지 않았다.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31편의 논문 중 4편이 높은 수준이고 나머지는 중간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가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충분한 기술, 독립 변수에 대한 조작적정의, 분석 시 표준적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었고, 종속 변수의 조작적 정의, 설계 방법에 대한 기술과 정확한적용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재 블라인드를 수행한 연구는 없었으며 측정자 신뢰도를 측정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각 구간의 적절한 수의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와 중재 효과의 적절한 반복을 시행한 연구, 적절한 시각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의 비율은 낮았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고, 추후 작업치료 분야의 단일대상연구를 통한 근거 기반의 접근을 위해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최근 국내 해양레저산업은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의 지원과 소득증대에 따른 해양레저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세계 1위의 조선 강국으로서 관련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지만 해양레저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기술 및 관련 산업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 관련 설계 기술개발 및 관련 규정을 재정비하고 있다. 쌍동선 구조설계와 구조해석 평가에 대한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복합 재료를 고려한 구조설계 및 구조강도 평가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