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ong the Vietnamese customs of early 20th century, besides the documentation written in Sino, there were also not a small number of documentation written in Nôm. To use Nôm script was with a clear purpose for “the ease of the people’s reading and understanding”. Nevertheless, there was a fact that in these documentation written by Nôm, Sinowas also appeared quite a lot. Sino script was used in many levels: word, Phrase, Sentence,Paragraph. Why Sino still appeared in Nôm documentation, while the editors themselves wanted to use Nôm for the readers’ easy understanding, and furthermore in the history context of Vietnamese society, it was the period of Sino declining? In addition to the too great impact of Sino language in Vietnamese language, were there any other reasons for that? Through the studying, the writer has found that the 4 said above levels were not used randomly, instead each level was used in one or some specified cases. The use of Sino in here was formed by 2 reasons: Habit; The fact that Sino was still psychologically more respected than Nôm, this was not erased in the conception of the editors.
본 연구는 최근 3년간의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서 91건을 분석하여 그 작성실태(평가항목별 조사현황과 영향예측 등)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 · 제시하였다. 9개 평가항목 중에서 해양화학, 해양퇴적물 및 해양생태계 부분에서는 현장조사 비율이 높았으나(70 % 이상), 조사자료를 활용한 영향예측은 미흡하였다. 반면, 해양물리의 경우는 현황조사 비율은 낮았지만(조석 7.7 %, 조류 24.2 %), 영향예측 수행비율은 높아 예측결과를 뒷받침할 만한 근거와 검증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사와 예측에 대한 평가가 연관성이 낮아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있어 영향예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주요 외력(조석, 조류 및 파랑 등) 및 중점평가사항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이 필요하나, 현재는 사업유형을 고려하지 않는 일반적인 평가방법과 자료인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향후 사업규모와 지역특성 등을 고려한 중점평가항목과 구체적 평가사항(조사시기, 정점선정)을 사전에 스코핑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현장조사자료의 신뢰성 강화를 위해 해양화학 및 해양퇴적물의 분석에 관한 정도관리체계의 적용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농업에 관한 관심과 농촌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업유산을 보전·계승하고 지정과 개선에 있어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록화 방안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농업유산의 조사 및 기록 항목은 세계중요농업유산과 국가중요농업유산의 지정 기준과 신청서 등으로부터 도출하였다. 농업유산의 발굴에서부터 지정에서의 업무분석을 통해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록내용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록 항목 간의 관계와 중복 및 농업유산과 관련한 주체, 대상, 행위 등을 고려하여 DB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농업유산 DB의 활용은 국가중요농업유산의 지정과 관리 단계를 준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농업유산 DB는 농업유산자원의 발굴과 지정, 관리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현행 정재에서는 도입부와 종결부에 죽간자가 구호를 부르고 물러난 다음 전체 무원이 무 진· 무퇴할 때 두 팔을 옆으로 펴 들고 나아갔다가 다시 물러나는 춤으로 공통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악학궤범』에 수록된 당악정재를 중심으로 내용을 확인하였을 때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당악정재 14종의 도입부와 종결부에 추어진 춤사위는 모두 ‘염수·염수족도·절화무·사수 무·팔수무·퇴수무· 협수무’이다. 도입부와 종결부로 구분하여 무진· 무퇴할 때의 춤사위를 살 폈을 때, 도입부에서 무진할 때에는 절화무· 염수· 염수족도를 추었고, 무퇴할 때에는 염수· 사 수무· 팔수무를 추었다. 그리고 종결부에서 무진할 때에는 염수족도· 협수무를 추었고, 무퇴할 때에는 사수무와 퇴수무를 각각 추었다. 『악학궤범』과 현행 정재의 내용을 비교하였을 때 도입부와 종결부에서 무원들이 무진· 무퇴 할 때의 춤사위가 고정된 것이 아니었다. 정재마다 도입부와 종결부의 무진· 무퇴의 춤사위가 구분되어 차이가 있었고, 중요한 것은 정재마다 도입부의 무진과 무퇴, 그리고 종결부의 무진· 무퇴의 춤사위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