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Sheridan'과 'Muscat Bailey A' 품종을 전해산성수 가습처리와 오존수 살균처리 및 전해산성수 살균처리하여 0±1℃에서 90±2%의 상대습도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포도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저장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중량감모율, 비정상과 발생률, 탈립율, 당도 및 진균수 억제 효과는 처리구별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전해산성수 가습처리하여 포도를 저장하였을 때 중량감모율이 가장 적게 변화하여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고, 오존수 살균처리 및 전해산성수 살균처리 방법에서 비정상과 발생률, 탈립율, 당도 및 진균수에 대한 억제 효율을 나타내었는데, 오존수 살균방법보다 전해산성수 살균방법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났다. 유리당과 총산 함량은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과피의 anthocyanin 함량도 약간 증가하였다. 본 실험결과 전해산성수 가습방법과 살균방법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odor removal using ultrasonic droplets of electrolyzed water. 91.65% of the injected electrons were converted to oxidizing agents including hypochlorous acid at HCl 2.2%, 3 V, and a retention time of 5 min. The size of the droplets generated by the ultrasound showed a distribution with D25=1.359 μm and D75=2.506 μm. The odor removal efficiency of the electrolyzed water droplets was over 90% for a composite odor composed of acetaldehyde,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while that of tap water droplets was 50%. The electrolyzed water droplets were also effective in removing ammonia generated in full-scale organic waste treatment facilities.
        3.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산 하우스 감귤의 유통전 처리에 따른 선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통 중 가용성고형물은 온도조건이나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산 함량 및 경도는 유통초기에 비해 전체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저온유통처리구가 상온유통처리구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고 상온과 저온유통 조건에서 모두 전해산화수 및 왁스코팅 처리가 대조구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과실 내부의 초기 발생량은 1% 내외였지만 상온유통조건에서는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
        4.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해산화수의 식품가공에의 적용 확대를 위해 51로 냉각한 전해산화수에 아가리쿠스 버섯을 1분간 침지 세정하여 5에 저장하면서 저장중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전해산화수 세정처리에 의해 총균수는 초기균수의 1/88로 대장균군은 cfu/g 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5 저장 중 pH, 산도, 관능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저장 7일까지 전해산화수로 처리한 아가리쿠스가 무처리구에 비해 저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경도의 경우 저장 4일 후부터 전해
        5.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해산화수의 식품가공에의 적용 확대를 위해 전해산화수의 보관, 가열중 특성변화를 검토한 결과 저온 밀폐 용기에서의 보관이 산화환원전위, 차아염소산함량, pH 등의 전해산화 특성을 유지시킴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1개월 이상 1,150 mV의 산화환원전위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가열시 산화환원전위는 5까지는 가열 승온에 따라 점진적인 감소를 보인 후 95까지는 다시 증가하여 95에서는 1,150 mV 수준을 유지하였다. 차아염소산 함량도 산화
        6.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갓과 케일을 시료 중량 50배의 5로 냉각한 전해산화수에 2분 3회 다단침지 처리한 후 저장중의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쑥갓의 경우 총균수는 무처리 쑥갓에 비해 평균 1/130, 대장균군수는 평균 1/1,170, 케일의 경우 총균수는 무처리 케일에 비해 평균 1/870, 대장균구수는 평균 1/47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1 저장 6일후 부터는 무처리, 수도수 침지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저장중 중량감소율은 쑥갓과 케일 모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