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2010 year, an occurring number of grand scale earthquakes which above magnitude 5.0 have increased in the world. Many types of research that deal with reducing the damage to the structure from a large-scale earthquake have proceeded. A system which could mitigate strong vertical earthquake's acceleration might apply to structure, since big earthquake cases that occurred lots of loss in Tokyo and Kobe of Japan. A plenty of bearings have installed to mitigate vibration but many parts of these lack efficient ability what we want. In addition, former vertical isolation bearings to apply for the structure have both price and size limits according to mater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type of device that is made by utilized engineering plastic and improves hitherto used vertical isolation bearing's fault.
        3,000원
        2.
        201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준위폐기물 처분기술 개발과 관련하여 현장실증 연구를 위해 사용될 공학규모 이상의 균질 완충재 블록 을 제작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플롯팅 다이(floating die) 방식의 프레스 재하 및 냉간 등방압프레스(CIP; Cold Isostatic Press) 기법을 국내 최초로 완충재 제작에 적용하였다. 또한 소요 밀도기준을 충족하는 완충재 블록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제작조건(프레스 및 CIP의 소요 압력)과 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기법의 적용을 통해 완충재 블록 내 밀도분포 편차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평균 건조밀도가 소폭 상승하고 약 5%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또한 CIP 적용을 통해 응력이완(stress release) 현상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른 표면균열 발생이 현저히 저감됨을 시험제작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은 공학규모 이상의 균질한 완충재 블럭을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이는 선진핵주기 고준위폐기물처분시스템(AKRS; Advanced Korea Reference Disposal System of HLW)의 완충재 소요 밀도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600원
        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역학적 특성평가를 위하여 15개 시료에 대해 반복재하 삼축압축시험, CBR 시험, 투수계수시험을 수행하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CBR 값은 32~110 범위(평균 81)에서 매우 폭넓게 결정되었으며, 수침조건에서 팽창량은 0.04mm 이하로 나타났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체적응력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았으며 선형체적응력모델의 적용성이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100MPa~600MPa, 모델계수 k1은 80~270, 모델계수 k2는 0.1~0.6 사이에서 결정 되었다. 체가름시험과 다짐시험에서 결정된 지수물성치로부터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를 결정하는 경험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경험모형의 결정계수는 모델계수 k1 결정에 있어서는 0.423, 모델계수 k2 결정에 있어서는 0.920, 응력단계별 탄성계수 결정에 있어서는 0.872로 평가되었다.
        4,000원
        4.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판유리 등의 생산 기초 원료인 소다회 (Na2CO3)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 부산물인 부산석회를 아스팔트 혼합물의 채움재로서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부산석회의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석회를 기존의 석회석분 채움재에서 중량 대비 25%, 50%, 75%, 100%로 대체하여 제조한 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해 간접인장강도 시험, 회복탄성계수 시험, 수분 민감성 시험, 반복하중 간접인장 시험, 휠트래킹 시험을 실시하여 부산석회의 채움재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존 석회석분 채움재를 사용한 아스팔트 혼합물과 소석회 (Hydrated Lime)를 사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부산석회를 재활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증진 효과를 평가하고 본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4,000원
        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광지의 도로, 산책로 등과 같이 중차량이 통과하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로는 큰 내하력을 갖추지 않아도 되며, 인간공학적이고 환경친화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흙을 주재료로 하여 특수한 경화재와의 혼합물을 사용한 도로 포장공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역학적인 해석과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경험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흙-경화재 혼합물의 기본적인 공학적 특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흙-경화재 혼합물의 주재료에 대한 혼합비를 달리하는 일련의 배합을 실시하여 공시체를 제작하고, 이에 대하여 재령별로 강도시험을 실시함으로써 혼합비와 재령에 따른 혼합물의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시멘트콘크리트포장에서는 양생하는 과정에서 수화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지지기반인 흙과의 온도에 따른 거동의 차이로 인한 공학적 문제들이 야기됨으로, 흙-경화재 혼합물과 흙의 온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혼합물은 시멘트의 증가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고, 수화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한된 시멘트량에 대해서는 경화재와 물의 혼합비가 6%~8%일 때 가장 큰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혼합물의 강도는 14일까지는 재령에 따라 비교적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증가율이 감소하여 28일 후에는 증가율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멘트량에 대해서는 수화열이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흙과의 온도 특성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혼합물은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내하력에서는 크게 못 미치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공학적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으며, 흙을 주재료로 사용하므로 경하중이나 교통량이 적은 포장도로에서 환경친화적인 포장재료로서 우수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0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the interrelationship chart between softwar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engineering attributes. The softwar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ir subcharacteristics are excerpted front IS0/1EC 9126 standards, and the engineering attributes are from Deutsch and Willis[4].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subjective judgement, trisected interrelationship(strong, medium, weak) between these two groups are deriv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a table, and can be used as a quick reference guide to the software quality engineering applications such as quality evaluations for software products, selection of key engineering attributes for high-quality software production, and so forth.
        4,000원
        7.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ftware quality character and engineering attributes. The softwar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ubcharacteristics are excerpted from IS0/IEC 9126 standards, and the engineering attributes are from Deutsch and Willis〔4〕.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 subjective judgement, trisected interrelationship(strong, medium, weak) bet these two groups are deriv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a table, and can be used as a quick reference guide to the software quality engineering application such as quality evaluations for software products, selection of key engineering attributes for high-quality software production, and so forth.
        4,000원
        8.
        2015.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ement industry, a large amount of CO2 is emitted from the first production step, and moreover the most of secondary products go through a variety of curing processes in which fossil fuels are used, causing additional CO2 emissions. Thus there is need for developing technology so that the secondary cement products are to be processed with no or less frequent curing in the manufacturing stage, helping not only reduce CO2 emissions but als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Thus, this study seek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extruded panels which are manufactured using CSA, calcined kaolins and CAMC inorganic binder, and those of traditional extruded cement panels, and then to use the results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LEC extruded panel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unit weight and density of extruded panel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traditional mix of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that the ratios of the former’s water content and water absorption were 2~3% higher than those of the latter. On a material age basis of 28 days,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shown to be about 4.5 N/mm² more with 64.6 N/mm² for the 35 mm thickness, and 24.9 N/mm² more with 84.2 N/mm² for thr 50mm thickness, while the flexural strength was shown to be 2.4 N/mm² less with 14.1 N/mm² for the 35 mm thickness and 1 N/mm² less with 13.9 N/mm² for the 50 mm thicknes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ix. These conflicting results in the cases of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are though to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LEC binder had caused the greater volume expansion of the hydration products resulting from the hydration of the binder under the closely-knit structures thanks to the vacuum extrusion, necessitating future observation of the length changes and the fine structure. In addition, there were some cases where the 35 mm thickness had 1.0 N/mm² more than the 50mm thicknes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panel.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hydration ratios incurred by the different caloric values per unit area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panel when going through a short period of curing process.
        9.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engineering characteristic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hich incorporated various amount of recycled aggregate(0%, 30%, 50%, 100%). For the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 compressive stress and air content, slump were evaluated. Evaluated results of compressive stress was shown that compressive stress and slump decreased depending on amount of recycled aggregate increased. On th other hand, air contents increased depending on amounts of recycled aggregate decreased.
        1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반공학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고유기질토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실내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고화제는 산업부산물을 재이용한 고화제(NSB)이며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고로슬래그시멘트(GSC)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점토는 카오리나이트이며, 휴믹산을 유기물로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시험 결과 pH는 유기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양생일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일축압축강도는 휴믹산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으며, 파괴시 축 변형률은 휴믹산이 증가할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아이슬란드 남부의 화산폭발은 유럽지역에 항공대란을 야기하였으며, 또한, 일본의 가고시마 화산 폭발은 대량의 화산재를 분출하여 도로 및 농작물에 많은 피해를 발생시켰다. 국내에서도 2002년 백두산 지역을 중심으로 강진에 의한 지표면 팽창현상이 관찰되면서 백두산의 화산폭발 위험성이 점증하고 있다. 백두산 화산폭발이 발생하는 경우 화산재의 처리에 따른 막대한 국가적 손실이 유발되므로, 화산재 처리 및 활용방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공학적 특성 분석 시험이 선행되어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SEM, XRD등의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화학성분 및 화산재의 내부구조를 고찰하고. 비중, 함수비, 입도 등의 시험을 실시하여 백두산 및 한라산 화산재를 친환경 건설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공학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12.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지역은 울산시 울주군의 양산단층대를 통과하는 터널(복안터널) 구간으로서 터널 상부에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35호선이 위치한다. 기존의 조사결과 양산단층대 통과 터널 구간은 최대 폭 100 m에 이르는 단층비지와 단층각력암이 넓게 분포한다. 연구결과 양산단층 동측부에는 셰일로 대표되는 퇴적암이 분포하는데 이들은 기계적인 파쇄작용이나 열수변질작용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양산단층 서측부에는 데사이트질응회암이 분포하며, 양산단층의 영향으로 기계적 파쇄작용과 열수변질작용이 진행되었다. 양산단층 구간은 단층운동과 관련된 기계적 파쇄작용과 녹니석화작용, 견운모화작용, 고령석화작용으로 대표되는 열수변질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폭 50~130m에 이르는 단층대가 발달한다. 기계적 파쇄작용과 열수변질작용의 특징에 의해 양산단층대는 지질공학적으로 비변질대, 변질대, 변질.파쇄대, 단층비지대 등 4개의 구간으로 구분된다. 이들 구간은 기계적 파쇄작용과 변질작용의 정도 및 양상을 달리하며, 공학적 특성을 달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