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代 印度 因明學에서 기원한 中國 唯識佛敎의 認識論은 인간의 인식상태를 설명하는 現量, 比量, 非量 ‘三量’과 ‘三境’, ‘三自性’으로 구성되어진다. 明淸시대 王夫之는 이러한 유식불교의 인식론 중 ‘現量’이 ‘現在’, ‘現成’, ‘顯現眞實’의 함의가 있다고 해석하며 ‘인식의 時空性’, ‘인식의 直觀性’, ‘인식의 眞實性’을 논증함으로써,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며 분석적인 유식불교의 교리체계를 총체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의 기초 위에 왕부지는 유식불교의 인식론 체계를 중국고전시학 영역에 응용하여, 현량 범주가 창작영감의 찰나적 심미포착, 형상사유 결과의 진실한 투영등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그는 ‘卽景會心’, ‘情景交融’의 함의를 담고있는 ‘마음과 눈(心目)’의 개념을 통해 현량적 시학이상을 힘주어 주장 하였다. 본 논문은 유식불교의 인식론 범주로서의 ‘현량’과 시학명제들을 실증적으로 해석하는 시학범주로서의 ‘현량’에 대한 개념과 양자간의 내재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I had learned from history books that the Renaissance period was referred to a period of light and humancentrism, which succeeded the Medieval ages, a period of God-centrism, also called the dark ages. I questioned why the period of God-centrism had been called the dark ages, and why Luther’s reformation had taken place. Further, if the Renaissance people had been human-centric, whether they had lived without God, or whether they had not needed Jesus. When I had studied a history for God’s glory, He has guided me to a best way spiritually and physically, and most of all let me gain an answer to my academic questions; the following lecture is based on the answer. As a Western history professor, I kept studying about Erasmus and about Renaissance humanism and received a Ph.D. (1995). I also published a book titled, Synthetic Interpretation on the Renaissance Humanism -focusing on Erasmus-like Humanists’ Religious Thoughts (Hye-An, 2011: Korean Version). This article has revised and arranged a paper to lecture at the U. S. Mid-West UBF Staff meeting, in September of 2016.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에 서로 대비되는 두 종류의 지리(지리학)가 공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출발한다. 오랫동안 지리의 위상을 유지해왔던 한국의 전통 지리로서 ‘풍수’와 현재 지리 하면 일상적으로 떠올리는 지리로서 ‘Geography’ (서구의 근⋅현대 지리)가 그것인데, 이들 두 지리 간의 차이나는 지점이 무엇인지 드러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이전 정상적인 지리로 공유돼 왔던 풍수의 위상, 다음으로 풍수와 Geography 간의 인식론적 특징과 그러한 인식의 재현(representation) 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인식론적 측면에서 풍수와 Geography는 생태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라는 서로 대비되는 형이상학적 믿음이자 관점을 바탕에 깔고 있다 할 수 있다. 가령 풍수의 대전제인 인간-환경 간의 동기간(同氣間) 관계 설정은 Geography의 인간중심적 입장과는 구분되는 풍수의 생태중심적 특징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그리고 풍수와 Geography 할 것 없이 지리의 핵심적 요소인 인간, 자연 또는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 등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해 자연과 인간을 ‘동일시’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것으로 인식(‘유사인식’)하는 풍수적 전제와 이 둘을 성격이 다른 별개의 독립적 존재로 보고(이원론적 분할) 이들 간의 인과론적, 결정론적 관계에 관심 갖는 Geography를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식론적 바탕에서 차이를 갖는 풍수와 Geography의 재현 양식의 문제인데, 지리 영역에서의 주요한 재현 수단인 지도를 통해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풍수적 재현으로서 고지도에는 용맥의 흐름이나 명당 구성 등 풍수의 생태중심적 인식이 잘 드러나고 있다. 그에 반해 정확성, 사실성, 객관성을 지도 제작과 평가의 주요 기준으로 삼는 Geography의 인간중심적 입장은 근⋅현대 지도를 마치 자연을 비추는 거울과 같은 재현물로 접근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 등의 철학적 근거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이해력을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참가한 교사양성 프로그램은 구성주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과 일관된 철학적 개념들을 명시적으로 논의 및 검토하였다. 본 교사양성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들이 지닌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들이 과학교사로서의 역할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반성적으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였다. 4회의 심충 인터뷰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는 각 예비 교사들의 존재론, 인식론 및 교수론적 신념에 있어서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이들 예비 교사들의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들이 그들의 과학 교수·학습관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어떤 예비 교사들은 관념론과 상대주의자의 관점을 내면화하였지만 그들은 이러한 상대주의 인식론적 관점을 그들의 수업의 실제상황 속으로 통합하고 있지는 않았다. 또한 오류 가능성이 있고 잠정적인 과학 지식의 본성 측면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이 지니고 있던 인식론적 신념이 그들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로서의 역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교사양성 프로그램 및 예비 교사들의 철학적 신념변화에 주는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과학교사들은 과학에 대하여, 학습자의 학습방법에 대하여, 과학을 가르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하여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취하고 있는 교수방법이 배경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rationale)를 이해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글에서는 전통적 교수/학습관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관,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구성주의의 유래를 논의하였다. 과학교육에서 구성주의는 철학적 구성주의, 구성주의 연구 패러다임, 사회학적 구성주의 및 교육학적 구성주의 등 여러 가지 의미로 광범위한 상황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교육학적(또는 심리학적) 구성주의는 각 형태가 취하고 있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신념에 따라 다시 개인적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 및 사회적 구성주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나아가, 각 교육학적 구성주의는 각각이 취하고 있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관점에 바탕하고 다른 교수/학습관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각의 교육학적 구성주의가 채택하고 있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과학교수/학습적 관점을 논의한다. 끝으로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에 대한 두 가지의 주된 비판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 형태의 교육학적 구성주의가 취하고 있는 연구방법에 대한 시사점도 간단히 제시한다.
We may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fundamental epistemological questions concerning cosmology. Can cosmology at last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universe? Can computers at last create? Can life be formed at last synthetically? These questions are in some sense related to the liar paradox containing the self-reference and, therefore. may not be answered by recursive processes in finite time. There are, however. various implications such that the chaos may break the trap of the self-reference paradox. In other words, Goedel's incompleteness theorem would not apply to chaos, even if the chaos can be generated by recursive processes. Internal relations among cosmology, epistemology and chaos must be investigated in greater detail.
내러티브 연구는 여러 학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독교에서의 내러티브는 설교해석과 성경연구, 성경인물 탐구의 도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내러티브의 의미를 살펴볼 때, 내러티브는 단지 이야기로서의 내러티브는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인식론을 앎의 주체와 대상의 관계성에서 살펴보고, 내러티브 관점에서 기독교 인식론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내러티브 관점에서 기독교적 인식론을 살펴 본 결과 서로 유사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 할 수가 있었다. 첫째, 전인격적인 앎은 내러티브의 사고 즉 인격적 앎과 유사성을 가진다. 둘째, 기독교적 인식론의 공동체적 경험의 성격은 내러티브의 경험의 구조화와 유사하다. 셋째, 기독교적 인식론의 상호 관계적 성격은 내러티브의 구성주의적 사고와 학습의 특징과 비슷하다.
이 연구는 후기 근대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 혼재되어 있는 지금의 시 대에 어떻게 기독교가 사회 전반과 성도들의 삶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 을까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필자는 세속주의, 종교 다원주의, 상대주의, 개인주의, 물질만능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물음 앞에서 현대 기독교가 무기력한 이유들 중에 하나가 신학과 실천, 학문과 사역, 그리고 교회와 세계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와 대화의 부족 에 있다고 확신한다. 근대 이전의 문화와 가치와 함께 근대의 문화와 가치가 혼재 되어 있었 던 영국의 계몽주의 시기에 존 웨슬리는 자신의 신학 방법론을 통해 기독 교의 핵심 가치인 ‘성결과 행복’을 추구 했다. 그는 당시의 세속화 되어가 는 문화와 사회에 함몰되지도 않았고 또한 당시의 문화와 사회를 배척하지 도 않았다. 웨슬리의 신학 방법론은 변화하는 시기였던 그 자신의 시대의 다양한 쟁점들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그의 노력의 결과들 중에 하나였다. 그러한 까닭에 필자는 웨슬리의 경우를 통해서 후기 근대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양측의 도전들 속에 있는 현대 기독교의 문제들에 대한 해 결책을 발견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당시 세속 사회의 문화와 가치체계를 주도했던 영국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대표자 존 로크의 인식론과 그에 대한 대응으로 서의 존 웨슬리 신학의 연구 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이 고찰은 행 복에 대한 관점으로 인간의 삶의 궁극적 목적을 설명하고 있는 행복론 (eudemonism)적 측면에서 그들의 인식론 체계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행복의 본질에 대한 그들 각자의 관점의 조사도 병행한다. 여기서 특별히 필자는 존 웨슬리의 신학 방법론 속에 있는 공동체 내에서뿐만이 아니라 기독교의 타 전통 그리고 세속 사회와의 대화에 대한 개방성에 독자들이 관심을 가져 줄 것을 요청한다.
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deep meaning beneath the seemingly chaotic opposites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poem seems to insinuate. The fact is that The Waste Land is not so much a post-modern poem as a pre-modern one, provided we acknowledge that pre-modernity has trust as its hermeneutical principle. The Waste Land can be compared with Hopkins’ “God’s Grandeur”, which uses resurrection epistemology, as opposed to the extinct immanent epistemology, to demonstrate to the intellects the providence of God revealed in their lives and their environment. Like the resurrection epistemology of the 19th century, Eliot’s poem demonstrates the existence and working of God among themselves, in spite of the negativity of death and unreality prevalent in the modern world. Broadly speaking, modern scholarships of T. S. Eliot have been made with special reference to post-modern poetry, since there appear a lot of opposites in his poem. Appended for the explanation of the poem, “Notes” to The Waste Land use the languages of philology and impressionism in an exclusively confusing way, twisting the reading of the text into a worse confusion, with the result that it does not shed any light on the explanation of the poem. Chapman’s theory of doubleness the poet frequently resorts to in the making of his poetic works, points to the specific perspective beyond the ambiguity and chaos prevailing in the poem. Special reading strategy is in dire need for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text. Every reader approaching his text must retain the hermeneutics of trust, which is the “leap of faith.” With the hermeneutics of trust, every reader can penetrate into “the third” in the text, which can be identified as Jesus Christ whom the disciples met on the way to Emmaus. Without proper reader’s response, the reading practice itself would be futile and unreal, because the subjects it tackles are concerned aboutthe great proposition, salvatio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epistemology of urbanism and rurality, that is, the justification of certain knowledge claims about how to intervene in understanding of urban and rural way of life and their implications to space. It is not concerned with the search for "truth" as such, but rather with the construction and presentation of knowledge as truth that subsequently lead to interpretation in the form of scholarly arguments. Rural areas vary considerably, and we define it as of a socially constructed category and so does urban as a comparative construction. As with community, rurality has been defined in widely different ways so has urbanism. In identifying and interconnecting these two concepts, we incorporate diverse western epistemologies such as empiricism and pragmatism. In addition, we hee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history of Silhak, a philosophical ideology of Korea,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nd it's effect on social way of life encompassing the realm of rural and urban spaces. We found that Silhak is particularly useful in that it deals with substantive iss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urality and urbanism arising from the discordance between values and perceive conditions of the rural and urban way of liv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epistemology of Silhak is particularly superior to those of western ideologies since it accentuates unity of spaces rather than differentiating urban and rural way of life. We concludes with demanding more studies in the field of urban and rural analyses incorporating more diverse concepts of Korean orthodox epistemolog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Silhak as a Korean epistemology,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Silhak in Korean society, and to discover further environmental implications. The main discussion of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epistemology of environmental philosophy. Epistemology is based on the justification of certain knowledge and social philosophy. Epistemology, from the Greek words episteme (knowledge) and logos (word/ speech) is the branch of philosophy concerned with theories of the sources, nature, and limits of knowledge.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epistemology has been one of the fundamental themes of philosophers, who were necessarily obliged to coordinate the theory of knowledg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ought. It is a general belief that Western ideology is substantially embedded in Eastern ideology due to physical and metaphysical colonial involvement. We argue that ecological crisis may be resulted from western epistemological mechanical view, thus we suggests a Korean epistemology as an alternative. In this paper, we seek possibility of epistemological alternative of nature in the Korean traditional epistemology incorporating the epistemology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Silh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