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중재 충실도의 정의와 이론적 배경 및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문헌 고찰을 통하여 작업 치료의 중재 충실도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문헌고찰 연구로서 2000년 1월 이후부터 2020년 12월까지 최근 20년 동안 국외 학회지에 게재된 문헌 중 작업치료 중재 충실도와 관련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문헌은 중재 충실도의 구성 요소 측면과 작업치료 분야에 따른 중재 충실도 경향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문헌은 총 5편이었으며, 대상 문헌을 분석한 결과 중재 디자인과 중재 제공자 교육, 중재 전 달이 포함된 문헌은 총 5편이었으며, 중재 수렴이 포함된 연구는 3편이었다. 마지막으로 중재 효과의 전 이가 포함된 논문은 한 편도 없었다. 작업치료 분야에 따른 중재 충실도의 경향성 분석 결과 5편의 연구 중 감각통합 중재의 중재 충실도 문헌이 2편, 작업 수행 코칭 문헌이 1편, 메타인지 재활 중재 문헌이 1편, 노인의 우울증 향상 중재가 1편이었다. 결론 : 작업치료 분야의 중재 충실도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감각통합 중재를 중심으로 한 중재 충실도 평가 개발과 이를 적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후로 여러 분야에서 중재 충실도를 개발한 연구가 지속되었다. 최근에는 중재 충실도의 구성 요소가 많은 부분에서 반영된 연구가 있었으며, 이는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중재 충실도에 관한 높은 관심과 중요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국내 작업치료의 여러 분야에서도 중재 충실도 개발 연구가 증가해야 하며, 중재 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는 중재 충실도 측정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500원
        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students’ and examiner’s assessment scores of students’ simulated performance. Methods: For two years, 46 teams of 183 senio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simulated emergency. The examiner assessed the students’ reactions during simulation using the Nursing Competency Scale in Simulation (NCSS). The students assessed their own performance using the same scale after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paired t-test, a one-way ANOVA, a Kruskal-Wallis test, an independent t-test, and a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 students’ NCS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xaminer. The difference of students’ self-rated and examiner’ scores was larger in the lower third group of actual NCSS scores as compared to the difference for those in the upper third group. The students’ self-assessment accuracy improved after exposure to the NCSS, but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 findings can be suggest various strategies to promote more realistic self-appraisals among students.
        4,000원
        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W. B. 예이츠의 두 소포클레스 번역극, 『오이디푸스 왕』과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에 포함된 선택과 방법을 분석한다. 예이츠가 그리스 원전을 얼마나 자유롭고 자의적으로 활용하는가와 얼마나 충실하게 번역하는 가를 설명하게 위해서, 로렌스 베누티, 피터 로빈슨, 그리고 매듀 레이놀즈와 같은 학자들의 당대 번역이론과 독일의 해석학을 활용한다. 애비극장이 고전과 외국 극을 레버토리로 사용한 것도 이 극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문맥으로 다루어진다. 특히,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예이츠의 작업이 더 적절해 보인다. 그가 보다 자유롭게 번역한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는 그의 친구이며 협력자인 에즈라 파운드의 번역에 영향을 받은 것이 보인다. 이 두 번째 번역을 자세히 검토하면, 보통 러처드 젭의 번역에서 출발하는 예이츠의 번역문구가 얼마나 크게 차이가 나는지를 보여준다. 이 논문의 마지막 부분은 기형과 지하에 관한 은유법을 검토하는데, 이 번역극들에서 무엇을 다루는가와 어떻게 다루는 가(형식) 사이의 미묘한 관계를 보여준다.
        5,500원
        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D 화면과 3D화면으로 각각 제시된 운전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운전자의 종적 차량통제, 주관 적 피로감 및 지각된 현실감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참 가자들은 미리 정해진 네 가지 수준의 목표속도(60, 80, 100 및 120km/h)를 유지할 때 3D 조건보다는 2D 조건에 서, 그리고 목표속도가 낮을수록 목표속도에 비해 더 빠르게 운전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목표속도 조건과 상관없 이 일정하였다. 둘째,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 유지수행에 대한 분석 결과, 2D 조건에 비해 3D 조건에서 실험참가 자들은 선행차량과 더 근접한 차간거리를 유지하며 주행하였는데, 특히 선행차량의 주행속도가 비교적 느렸던 조건(즉, 60km/h)에 비해 비교적 빨랐던 조건(즉, 80 및 100km/h)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셋째, 속도 유지 과제와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 유지수행 모두에서 2D 조건에 비해 3D 조건에서 실험참가자들이 경험하는 피로 감의 수준이 더 높았으나 주관적 현실감에 대한 평가에서는 두 가지 과제 모두에서 2D와 3D 조건에 따라 유의 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4,900원
        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irst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eam based high-fidelity simul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students were place in a setting of high-fidelity simulation to manage neurological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3 to September, 2013,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Five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s that were as follows 1) Thoughts about patients through the training manikin 2) Feeling of being engaged in practical training 3)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team and teammates 4)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 content 5) Prospects of improving the capacity for nursing practice. Conclusion: Although the students experienced simulation practicum for the first time, it was noticeable that they tried to actively utilize their theoretical knowledge on the training high-fidelity manikin during simulation practicum.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ng with their teammates through team role-playing, assuming a professional attitude as a result. Furthermore, analysis o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and self-evaluation would help foster the capacity to provide total care for patients.
        4,500원
        10.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supply of and demand for medical services continue to increase as the current social environment changes. Consequently, competition among medical institutions is intensifying and hospitals must establish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medical services they provid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uthenticity of doctors is a factor in improving medical-service quality and examines the effect authenticity has on the affective trust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Design, methodology, and approach: The study utilized previous studie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potential variables, established hypotheses and used a questionnaire to confirm thes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patients who had visited a hospital in the previous six months. Responses were analyzed empiricall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The analysis found that a physician’s authentic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ffective trust of patients. While patients’ affective trust does not have a similar strong impact on patient satisfaction, physician authenticity do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of authenticity, affective trust, and patient satisfaction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s in the medical services field.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physician authenticity is a prerequisite for patient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