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silicalite-1 제올라이트 분리막 합성 시에 종결정 코팅용액 pH 변화가 제올라이트 분리층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항을 고찰하였다. 75 nm 크기로 합성된 종결정은 에탄올에 분산된 후 침지코팅법으로 지지체 표면에 코팅되었으며 분산용액의 pH는 2.2, 7.0, 9.3으로 조절되었다. pH가 7인 경우, 균일하고 두께가 3~4 μm인 silicalite-1 제올라이트 분리층이 형성되었고 분리층 결정입 크기는 100 nm로 미세하였다. 반면, pH가 2.2와 9.3인 경우, 분리층 두께가 얇고 불완전하였으며 분리층 결정입 크기도 약 1 μm로 조대하였다. pH 7에서 완전한 제올라이트 분리층이 형성된 것은 침지코팅 중에 지지체와 종 결정이 서로 다른 부호의 전하를 가져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여 균일하고 조밀하며 두껍고 다층의 종결정 코팅층이 형성되었 기 때문이었다. 반면에 pH가 2.2와 9.3인 경우, 침지코팅 중에 지지체와 종결정이 서로 같은 부호의 전하를 가져 정전기적 반 발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불완전한 덮힘에 의하여 불완전한 분리층이 형성된다고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종결정 코팅용액의 pH가 silicalite-1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두께, 결정립 크기 등 미세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종결정 코팅층이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은 평균입경 100 nm 종결정을 다공성 α-알루미나 표면에 진공여과 코팅하고 100˚C에서 24시간 수열처리하여 합성되었다. 이때 지지체 표면에 분포된 종결정 양을 조절한 후 형성된 NaA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두께와 결정입 크기 등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종결정 코팅 양은 지지체를 통과한 종결정 수용액의 여과 양을 조절하여 제어하였다. 종결정을 단일층으로 코팅한 후 합성하였을 경우, 코팅 양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층 단면에서의 두께와 균일도는 증가하였으며, 표면에서의 결정입 크기는 감소하면서 균일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종결정을 다층으로 코팅한 후 합성하였을 경우, 균일한 분리층을 형성하였지만 단일층으로 코팅된 경우에 비하여 불균일하였으며 두꺼운 분리층이 형성되었다. 균일하고 초박형의 결함이 없는 제올라이트 분리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종결정을 균일하고 단일층으로 코팅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종결정의 코팅 상태가 이차성장에 의한 NaA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미세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분자마커를 이용한 목표형질분리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Ivory seed(IVS) 유전자는 bHLH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고, 꽃의 안토시아닌과 종자의 프로안토시아닌의 발현에 관여하는 애기장대의 TT8 및 페튜니아의 AN1유전자와 상동성을 가지는 유 전자로 나팔꽃의 꽃과 종자의 착색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보리 종자로부터 화색이 full purple(FP), pale purple(PP), magenta(M) 및 pale red(PR)인 4가지 계통의 식물체가 분리되었다. 분자분 석을 통해 이 식물체 모두 ivs 유전자의 변이형질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자마커 선발을 위해 고안 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IVS 유전자의 exon 2와 intron 5 영역을 증폭하여, ivs 대립형질인 ivs-stb 및 ivs-pwt을 야생형 IVS로부터 구분할 수 있었다. PCR 결과로 예측한 IVS 유전자의 대립형질 구성 상태는 Southern blot 분석 결과와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PP 와 PR은 ivs-stb에 의한 열성 변이체였으며, M과 FP 계통은 ivs-stb 대립형질에 더하여 각각 야생형 IVS 및 ivs-pwt와의 이형접합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분자마커는 IVS 유전자의 대립형질 구분에 매 우 유용하였다.
        4,000원
        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2-DE) was executed to separate the seed storage proteins from the buckwheat. The proteins extracted from the whole seed proteins were better separated and observed in the use of lysis buffer. Using this method, the highly reproducible isoelectric focusing (IEF) can be obtained from polyacrylamide gels, and IEF from the polyacrylamide gel at all the possible pH range (5.0-8.0) was more easily separated than IPG (immobilized pH gradient) gels. The polyacrylamide gels in the first dimension in 2-DE was used to separate and identify a number of whole seed proteins in the proteome analysis. In this new apparatus using 2-DE, 27cm in length of plate coated with polyacrylamide gel was used and the experiment was further investigated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6.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6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조지방 함량(crude fat content) 측정 및 총 지방산 조성과 위치별 지방산 조성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triacylglycerol(TAG)의 조성과 tocoph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Folch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조지방 함량은 들깨 21.64%, 홍화씨 13.85%, 고추씨 9.60%, 석류씨 8.85%, 녹두 2.25%, 결명자 2.00%로 나타났다. 추출된 종실유의 지방산 분
        7.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mand for the domestic hairy vetch seed production will b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from 2000 fall to 2003 spring at upland field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Suwon, Korea to compare wheat and triticale (TC) as stake crop of hairy vetch (HV), and to know proper seeding rates and ratios between TC and HV for the maximum HV seed production. As supporting crop of HV, TC was superior to wheat at the points of higher HV seed yield, stronger TC stalk for supporting, consistence of ripening stage of two seeds. In seeding method, row seeding was superior to broadcast seeding at the points of less lodging and higher HV seed yield. HV seed yield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C seeding rate in mixture cropping (row seeding), particularly at TC seeding rates over 5kg/10a. HV seed yield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HV seeding rate at the condition of TC seeding rates under 5kg/10a in spite of higher lodging of mixed crops at higher HV seeding rate due to higher HV aboveground dry matter. Maximum HV seed yield was obtained at TC seeding rate of 1~~1.5kg/10a as indicating HV seed yield 176kg/l0a (CV. Madison) at seeding rate of TC 1kg/10a + HV 2 kg/10a in 2001, and HV seed yield 96kg/10a (CV. Common) at seeding rate of TC 1.5kg/10a + HV 4.5kg/10a in 2003. Use of all-purpose combine harvester for harvesting and appliance for separation of mixed seeds using centrifugal force, which are prerequisite for HV seed production, was excellent in the simultaneous seeds production system of HV and TC.
        8.
        197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춘파2조, 춘파6조 급 춘파6조대맥의 각:5품종 계 15품종의 종자단백질을 disc electrophoresis에 의하여 분리하고, 그 결과를 사진, densitometric tracing 급 모식도로 제시했다. 품종에 따라 18∼21 bands를 식별할 수 있었다. 품종은 각각 고유의 pattern을 보이고 있어, electrophoretic patter이 각품종의 유전적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추파대맥은 전부 희박한 B2 band를 갖이고 있고 춘파대맥은 농후한 B2 band를 갖이고 있었으며, 또 B2 band는 대파대맥에서, B3 band는 춘파대맥에서만 볼 수 있어, 춘파대맥과 추파대맥을 electrophoretic pattern에 의하여 구별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