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d if teaching summarizing skills could improve the summary skills of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nvolved 38 university freshmen in a required English course and were randomly chosen as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hrough summarizing rule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engaged in other lesson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students’ summaries were analyzed as to how effectively the participants paraphrased and integrated the main ideas, the major supporting details, and accurate information from source text into their summaries. The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instruction effect was observed in the summary writing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identifying main ideas and major details and paraphrasing and integrating ide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showed a significant chan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mmaries only on the accuracy measure. The results are also supported by the questionnaire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nstruction.
        5,400원
        2.
        200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3.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 조절적 요약(self-regulatory summarizing) 교육과 연습이 초급 수준의 L2 성인 학습 자들의 동기신념(motivation beliefs) 및 쓰기 수행 (writing performance)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자기 조절 학습 (self-regulation learning), 학습 동기(motivation), 및 쓰기 수행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학습자들의 동기신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 MSLQ 설문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참가한 학습자들의 동기신념이 전체적으로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내적성취목표성향 (intrinsic goal orientation)과 과업가치(Task value)에 대한 신념이 가장 의미 있게 변화하였고, 뒤를 이어, 학습조절신념(control of learning belief)과 학습과 수행에 대한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외적성취목표성향(extrinsic goal orientation)이 가장 작은 변화를 보인 한편, 시험불안(test anxiety)의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기 조절적 요약 연습 이후 쓰기 수행에 있어서는, 문장, T-unit, 및 절의 평균 길이가 가장 의미 있게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문장들은 보다 많은 중문 및 복문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급 수준의 L2 학습자들이 교수자의 안내, 도움 및 피드백과 함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네 가지 단계인 목표설정(goal setting), 자기 모니터링 (self-monitoring), 일반화(generalization), 그리고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를 인지하고 기억함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요약 연습을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로 보여 진다. 이는 자기조절학습 (self-regulated learning)은 학습 동기요소를 독려하여 긍정적 자기 효능감 및 내적 목표성향을 높여 주게 되어 결국 학습자의 인지적 활동 및 수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됨을 증명하는 결과로 보여 진다.
        4.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요약 교육(Summarizing instruction) 및 연습(Practices)이 초급 수준의 L2 성인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와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L2 학습에서 요약하기의 중요성 및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요약 교육과 연습 이후 읽기이해 점수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주었고, 어휘쓰기에 있어서도 전체적으로 같은 단어의 반복이나 기초적인 단어(the 1st 1000) 보다는 다양하고 수준 높은, 즉, the 2nd 1000 list, 아카데믹한 단어(AWL), 및 그 이상 수준의 단어(NLW) 사용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요약 교육 및 연습이 읽기 이해에 주는 긍정적 효과는 주제가 다른 읽기자료(reading source texts with different topics)를 바탕으로 한 상향식(bottom-up) 읽기 및 쓰기 유발(writing output-promoting)의 통합적인 요약단계에 있다고 보여 진다. 즉, 주어진 읽기자료를 요약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은 주요 단어, 구, 혹은 문장 수준의 이해를 하고, 이를 다시 본래의 텍스트보다 짧게 요약하기 위해 문장통합(sentence combination), 바꾸어 쓰기(paraphrasing), 통사적 변형(syntactic transformation), 그리고 만들어 내기(invention) 등의 요약 과정들(summarizing processes)에서 사전 사용 및 교사의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하여 다양한 단어표현에 노출되고 경험하여 어휘 지식을 늘릴 수 있었고, 이후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여 진다.
        5.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Guay, salmoni, 와 Lajoie(1999)의 연구를 바탕으로 KR 간격조건과 요약된 형식의 KR조건의 상호작용효과 및 독립된 방식에서 안내가설의 지지여부를 통한 효과적인 KR 제공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의 KR 간격 조건(20%, 100%)과 함께 세 가지의 요약형식 KR(ST, SUM, AVE)로 구분하여 총 6가지 형태의 KR(ST-20%, 100%, SUM 20%, 100%, AVE 20%, 100%)을 연구하였다. 양궁선수들을 대상으로 KR 간격과 요약 형식의 KR 조건에서 안내가설의 효과를 통한 효과적인 KR 제시 조건을 규명하고자 50m 실거리 과제를 선정하여 연습단계 30회 파지단계 30회를 실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절대오차에서는 파지수행에 있어서 ST조건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변오차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형식의 KR제공 형태보다는 KR 간격의 조건이 학습에 보다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R의 제공은 100%의 제공간격보다는 20%제공간격이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