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86

        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suring sufficient road surface friction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traffic safety, particularly under adverse weather conditions. However, the current Korean design standards for the longitudinal friction coefficient (LFC) are primarily derived from foreign guidelines with limited empirical validation under domestic road and climatic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generate field-based LFC data across a range of road surface types and vehicle speeds and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LFC values currently adopted in national road design standards. Th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Yeoncheon SOC Proving Ground. The five representative road surface conditions were dry, wet, slush, compacted snow, and icy. Driving tests were conducted for each surface condition at four speeds (30, 40, 50, and 60 km/h) using a test vehicle equipped with continuous friction measuring equipment. Twenty scenarios were tested with multiple repetitions to ensure statistical reliability. Consequently, the average LFC values were 0.748 for dry, 0.615 for wet, 0.232 for slush, 0.173 for compacted snow, and 0.133 for icy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road surface conditions had a significantly greater impact on the LFC than vehicle speed. Moreover, the values measured under low-friction conditions were consistently lower than those specified in the current Korean standard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revise the existing LFC design values to better reflect domestic winter road environments. The data can also inform the development of road safety strategies such as variable speed limit systems, autonomous vehicle control algorithms, and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s suitable for winter operations.
        4,000원
        2.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t pavement friction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water film thickness (WFT), leading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vehicle crashes. The British pendulum test described in ASTM E303-93 is a method used to measure the pavement friction under wet conditions for the input of geometric design and pavement management systems. The British pendulum number (BPN) under wet conditions varies with WFT. Following the ASTM E303-93 standard procedure, WFT was simulated by spraying water onto the pavement surface. However, the measurement of the BPN did not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regarding the WFT present during testing. To address these issues, WFTs and BPNs are measured using artificial rainfall generated by a rainfall simulator across various intensities, drainage lengths, pavement slopes, and pavement surfac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WFT on the BPN for wet pavement friction and provide the WFT corresponding to each BPN measurement for different surface types. The BPNs and WFTs of three test slabs, including diamond grooving and tining surfaces with 16 mm and 25 mm spacing, were measured under wet conditions by spraying water and creating WFTs using a rainfall simulator. Measurements were taken in bo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considering different rainfall intensities (40 mm/h, 80 mm/h, and 130 mm/h), pavement slopes (2%, 5%, and 10%), and drainage path lengths (1 m, 2 m, 3 m, 4 m, and 5 m).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wet pavement friction decreased as the WFT increased that wa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pavement slope, mean texture depth, rainfall intensity, and drainage path length. Specifically, the WFT tended to increase with a decrease in the pavement slope and an increase in the mean texture depth, rainfall intensity, and drainage path length. In particular, surface textur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wet friction performance, with diamond-grooved pavements. Among the tested surfaces, the diamond-groove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avements demonstrated a more effective wet friction performance, maintaining higher BPN values across varying WFT levels. Conversely,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tined surfaces with 25 mm spacing showed a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BPN, reflecting a higher sensitivity to WFT. In contrast, tined surfaces with 16-mm spacing exhibited a more gradual reduction in friction, likely owing to enhanced drainage and better resistance to water-induced friction loss. Additional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longitudinal textures demonstrated a more significant reduction in friction with increasing WFT compared with transverse textures. This demonstrated that the texture type, direction, and spacing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riction loss under wet conditions, with diamond grooving offering the best overall performance. This study highlighted the critical role of WFT in pavement friction design, emphasizing the need to consider the WFT for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wet pavement friction. The WFT wa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pavement slope, rainfall intensity, drainage path length, and surface texture. The diamond-grooved pavements demonstrated a more effective wet friction performance, maintaining higher BPN values across varying WFT levels. In contrast, tined surfaces with larger spacings exhibited more significant friction loss, whereas those with smaller spacings showed a more gradual reduction, likely owing to better drainage. In particular, longitudinal textures showed a greater reduction in friction compared with transverse textures. Overall, the texture type, direction, and spacing played crucial roles in wet friction performance, with diamond grooving offering the best results.
        4,000원
        3.
        202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이 기존 감항능력 개념의 변화를 초래함에 따라 자율운항선박에 요구되는 새로운 감항능력의 요건을 분석하고 그 법적 개 념이 어떻게 재정립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로 인해 발 생할 수 있는 상사법적 분쟁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상사법적 쟁점을 파악하 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선행 연구로서 기여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자율운항선박은 자율운항 수준에 따라 Level 1∼4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감항능력이 상이하여 선원과 원격운항자에 대한 인적 측면 과 인공지능 시스템과 사이버 보안에 대한 물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에 수반되는 주요 상사법적 쟁점에 관한 주 요 법적 문제를 다루었다. 인적 감항능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율운항 기술의 도입으로 선원의 수와 역할이 축소되는 한편 원격운항자의 역할이 강화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상사법 적 쟁점을 자율운항 단계별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Level 2 이하에서는 선원, Level 2 이상에서는 원격운항자에 대한 감항능력 확보 방식과 그 평가 기준 마 련이 중요한 과제로 논의되었으며 국내외 규정과 판례 분석을 바탕으로 적절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원격운항자의 등장은 기존 법적 체계에 존재하 지 않던 인적요소로서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요구됨에 따라 연구 사례 분석을 통하여 원격운항자의 정의와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원격운항자에 대한 자격 신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해상운송인의 인적 감항능력주의의무에 따른 법적 책임과 항해과실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제외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물적 감항능력에 대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항에 있어 소프트웨어 시 스템과 사이버 보안의 감항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상사법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Level 4에서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감 항능력 확보와 평가 부분에서 법적 미비점이 존재하며 상사법적 분쟁의 소지가 많을 것으로 판단하여 소프트웨어 시스템 중에서도 인공지능 시스템을 중심으 로 고찰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제조물 책임 문제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숨은 하자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적용 가능성까지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사이버 보안에 대한 감항능력 확보와 평가에 관해서는 감항능력주 의의무의 이행 시기 및 상당한 주의 정도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기존 해적행 위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7,800원
        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규사 기반의 표면처리 기법이 FRCM 복합체의 인장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은 탄소 및 내알칼리성 유리 직물을 사용하여 표면처리 유무를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총 4개의 실험군(CN, CS, GN, GS)에 대해 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탄소 직물을 적용한 복합체는 유리 직물 대비 우수한 인장 성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표면처리된 탄소 실험군(CS)은 비처리 실험군(CN) 대비 약 73.7%의 인장강도 향상과 66.9%의 인성 증가를 보였다. 또한 유효계수(COE) 분석을 통해 직물의 기계적 성능이 복합체에 기여하는 정도를 정량화하였으며, 표면처리가 계면 부착 성능 및 응력 전달 효율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FRCM 복합체가 실구조물에 적용될 경우 일체화된 거동 확보를 기반으로 구조적 성능의 향상 등의 보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FRCM 복합체의 표준화 및 성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실 구조물 적용 및 수치해석 모델링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During daily activities, stability is maintained to enhance the function of muscles surrounding the lumbopelvic and hip structures. The core muscles such as the rectus abdominis (RA), external oblique (EO), and internal oblique (IO) responsible for this stability. One effective static exercise for strengthening these muscles is the plank. Objec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bdominal electromyographic activation whe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wa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during a standard and a knee plank. Methods: A total of 30 adults (15 males and 15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electrodes were placed on the RA, EO, and IO muscles. Data were collected under six conditions for males, including two plank postures (standard and knee planks) and three unstable surface conditions (a dynamic balance cushion applied to the upper extremities, lower extremities, or no cushion). Female participants performed only the knee plank. A mixed-effects model with a random intercept was used to analyze muscle activation across plank posture and surface posi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et at α = 0.05. Results: In males, the standard plank elicited greater muscle activation than the knee plank across all muscles (p < 0.0001). Additionally, applying an unstable support surface to the upper extrem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muscle activation in both plank postures in EO and IO (p < 0.001). Other muscle, RA, was only affected by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in the standard plank position only. In females, the knee plank with upper limb instability resulted in the highest muscle activation for all muscles.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urface instability in core muscle engagement. However, future studies should further investigate abdominal muscle activation with a more detailed analysis and the inclusion of a control group to enhance comparative validity.
        4,000원
        9.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립가스 표면발산량 조사 결과의 신뢰도와 측정지점 수의 적정성 평가를 위해 수도권 제2매립 장을 대상으로 중심극한정리와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개의 표면발산 경로별 flux에서 매립가스 보다 메탄의 상대편차가 훨씬 크게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두 경우 모두 여름철 상부가 각각 409%, 1,174%로 가장 컸다. 상대오차도 메탄의 값이 전반적으로 컸으며, 4계절 평균시 여름철 메탄이 182.7%로 가장 크고, 매립가스의 봄과 겨울철이 33.0% 내외로 가장 작았다. 20%의 상대오차를 허용할 때 현장 측정 지점 수는 모두 적정 수 대비 100% 미만이었으며, 특히 메탄이 매우 낮았다. 표면발산량이 가장 큰 상부의 경우 측정지점 수의 만족도는 봄부터 겨울까지 매립가스는 각각 26.1%, 9.8%, 17.9%, 22.6% 그리고 메탄 은 각각 2.7%, 1.2%, 5.9%, 3.2%에 불과하였다. 연구결과 매립가스 표면발산량 조사시에 현재의 챔버 방 식은 신뢰도 확보에 한계가 있으므로 대체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300원
        15.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often results in impaired postural control and asymmetric weight distribution, which negatively affect balance and functional mobility. Previous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balance training interventions incorporating proprioceptive stimulation and visual feedback can enhance postural stability in stroke survivors. However, there remains debate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se two approaches. While proprioception-based training emphasizes sensory input from mechanoreceptors to improve postural control, visual feedback-based training leverages external cues to facilitate balance adjustments. Objectives: To investigation the effects of proprioception-based trunk exercise and visual-auditory feedback-based trunk exercise on sitting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 total of 24 participants diagnosed with chronic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proprioception-based trunk exercise group (PTG, n=10) and the visual-auditory feedback-based trunk exercise group (VTG, n=11).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6-week intervention program, five sessions per week, lasting 25 minutes per session.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Limitation of Stability (LOS), the Korean version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K-TIS), and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and independent t-tests to evaluate within-group and between-group differences. Results: Both PTG and VTG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OS, K-TIS, and PASS scores following the intervention (P<.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mount of change observed.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both proprioception-based and visualauditory feedback-based trunk exercis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itting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lack of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dicates that both approaches provide comparable benefit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long-term effects and investigate potential differences in various functional domains beyond sitting balance.
        4,000원
        17.
        202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에서 소음저감에 대한 대책으로 방음벽, 포장 개선, 차량 속도 제한 등 여러 가지 대책이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차세대 표면처리 공법(Next Generation Concrete Surface, NGCS)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NGCS는 표면을 그라인딩 후 그루빙 공정을 진행하게됨에 따라 포장두께 감소 및 ITZ(Interfacial Transition Zone)의 표면 노출에 따른 내구성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내구성 감소는 교면포장에서 발생 시 안정성에 크리티컬한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본 연구는 교면포장에 주로 사용되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Latex-Modified Concrete, LMC)에 NGCS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내구성 감소 중 염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제 공용 중인 LMC 교면포장의 현장 코어와 라텍스 혼입율(10, 15, 20%)에 따른 실내 배합을 진행하였으며 NGCS를 시험편에 적용하기 위하여 도로공사 표면처리공법 시방서를 기준에 따른 NGCS 모사 공법을 적용하여 염해 내구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현장코어의 경우 높은 수밀성과 염해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NGCS 처리 시 뚜렷한 염해 내구성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수밀성을 가진 LMC 실내 배합의 경우 NGCS 적용 시 소폭의 염해 내구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18.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수용액 환경에서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인 UiO-66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선하고, 합성 조건이 UiO-66의 표면적 및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합성 실험은 금 속 용액과 리간드 용액의 주입 순서 및 계면활성제(Tween 20)의 첨가 유무를 변화시키며 진행하였다. 그 결과, 리간드 용액 을 금속 용액에 주입하고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표면적과 결정성이 더 높은 UiO-66을 얻을 수 있었다. SEM 및 XRD 분석 결과, 계면활성제의 첨가는 입자 크기와 결정 구조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으나, BET 분석 결과 표면적 감소가 확 인되었다. 이는 합성 과정에서 계면활성제가 핵 형성과 결정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수용액 기반 UiO-66 합성법의 최적화, 대규모 제조 공정 및 다양한 산업적 응용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9.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객의 무례행동이 서비스지향 OCB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 향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표면연기와 직무소진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 살펴보았다. 첫째, 고객의 무례행동은 서비스지향적 OCB와 부정적 관 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고객의 무례행동이 서비스지향적 OCB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소진이 주요 매개 변수로 작용 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고객의 무례행동은 서비스지향 OCB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표면연기가 중요한 매개 역할 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20년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약 20일간 국내 공기업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소재 사업장 을 방문하여 고객접점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기존 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의 무례행동은 서비스지향 OCB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표면연기와 직 무소진은 고객의 무례행동이 서비스지향 OCB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 하고,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6,900원
        20.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완도 지역 전복 양식장 주변 표층퇴적물을 대상으로 퇴적물의 입도, 총유기탄소(TOC), 중금속(Fe, Li, Cu, Zn, Pb, Cd, Cr, As, Ni, Hg) 분포와 조절요인을 분석하고, 생태학적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퇴적물은 주로 실트와 점토로 구성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모래와 자갈이 혼합된 퇴적물이 확인되었다. TOC 함량은 평균입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평균값은 0.76%로 나타나 양식 과정에서 발생한 유기물과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퇴적물 내 Ni, Cd, Zn, Cu는 양식장 활동 및 유기물 축적의 영향을 받으며, Cd는 가장 높은 농축을 보임 으로써 주요 오염원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Cd의 축적은 잔류 해조류 침전과 CaCO3 침전 과정에서 치환작용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 되었다. 생태학적 위해도 평가에서는 연구지역 대부분이 중간 위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Cd는 주요 생태학적 위해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