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문법 영역 문항이 예비한국어 교 사가 갖추어야 할 문법 교육 역량을 평가하기에 타당한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법 영역 문항의 개선 방안을 구체 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어교육능력 검정시험 제1회(2006년)-제18회(2023년)까지의 시험 문항에서 한국어 문 법 영역과 관련이 있는 한국어어휘・형태론, 한국어통사론, 한국어규범, 한국어문법교육론 과목 623개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 으로 이론적인 문법 지식을 묻는 문항으로 출제가 되는 경향이 많았다. 그렇지만 한국어 교사에게는 교실 현장에서 외국인 학생들에게 쉽고 재 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가르치기 위한 지식’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한국 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문법 영역에서도 예비한국어 교사들이 한국어 교 실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접하게 될 교실 현장과 관련이 있는 문항으로 출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예비한국어 교사의 한국 어 문법 교육 능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8,9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standards for selecting language materials during the study of the diachronic grammar of Classical Chinese. The accuracy of language materials is crucial for ensuring the scientific validity of research conclusions. Due to previous limitations in research on the language material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such as posteriority and singular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creasing availability of excavated documents, especially ancient literary texts, provides a reliable research foundation for describing the grammar of Classical Chinese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ich language materials should be used for the study of the grammar of Classical Chinese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2) Why should these language materials be selected? 3) What are the standards for selecting language materials during this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diachronic study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6,000원
        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等级标准』의 중국어 교육문법 요목인 『等级标准(语法)』의 중국어 교육 문법 요목의 체계를 살펴보기 위해 『语法等级大纲(1996)』및 『国际大纲(语法)(2014)』을 HSK과의 연계성, 문법범주 및 문법항목, 등급체계 및 등급 배열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HSK1.0단계는 중국어 요목 기준, 문법 요목과 연계된 평가요목은 별도로 제정되지 않았고, 등급도 일치하지 않는다. HSK2.0단계는 교육 문법 요목과 연계된 HSK요목은 별도로 제정되었고, 6등급으로 일치시켰다. HSK3.0단계의 『等级标准(语法)』에서는 교육 문법 요목과 HSK요목을 3등 9급 체계로 동일하게 일치시켰다. 『等级标准(语法)』의 등급체계 변화는 국내 중국어교육에도 영향이 있다. 특히 큰 HSK 급수 변화에 따른 학습자의 혼란이 야기되고, 중국어 교육과정, 강의, 시험 및 평가 등에도 변화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等级标准(语法)』의 교육문법 체계는 HSK1.0단계의 『语法等级大纲(1996)』과 거의 일치함으로 형태론 및 통사론 중심의 문법항목 중심으로 중국어의 특징이 충분히 반영되었다.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학습자를 중국어교육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적절성, 효율성, 통용성에 대해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语法等级大纲(1996)』, 『国际大纲(语法)(2014)』, 『等级标准(语法)』의 모두 전반적 상대적 등급 배열, 누적식 등급 배열은 전반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학습자 중국어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 3등 9급으로 변화된 체계에 적절한 문법항목의 선정, 난이도 고려, 등급 배열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HSK도 3등 9급으로 시행되기 시작한 현시점에서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중국어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준별 문법항목 선정, 내용, 기술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6,100원
        4.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여러 문법 항목들을 학습하다 보면 하나의 의미에 여러 문법 항목들이 있어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단위는 다르지만 문법 의미가 유사한 표현들이 많아서 한국어 문법 학습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더구나 한국어교재나 한국어문법서에 잘 다루어지지 않는 복합 문법 표현의 경우 교육 현장에서도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겪지 만 교육 현장 밖에서도 학습자들이 접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복합 표현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보 의미가 있는 복합 표현 ‘-다손 치더라도’, ‘-(ㄴ)다고 해도’, ‘-만 해도’, ‘-아/어 봤자’ 등을 대상으로 주어 일치 제약, 선행 용언 제약, 문장 종결 제약, 부정문 제약, 시제 제약 등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 특성을 기반으로 양보 의미 복합 표현 문법 교육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5,700원
        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aspect of vocabulary”, which is used in current grammar education, considering the overlaps between vocabulary categories. For this purpose,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aspect of vocabulary and the way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vocabulary aspect education has not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of “overlapping among the vocabulary categories”. In this study, we set up a category of vocabulary with multiple features and categorized these features using “+” and “-” depending on the case. In this way, aspect of vocabulary is restructured more coherently. More discussion on the future studies and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5,700원
        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교과가 도구교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 한문 문법 교육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한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문 문법 학습 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그 실태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한문 문법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학습자는 한문 문법과 관련하여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문 문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기초적인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한문 독해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어순이나 문장을 구성하는 한자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식자 교육의 강화, 한문 독해에 활용 가능한 의미 중심의 한자 뜻 제시, 언어 학습 경험의 활용, 한문 학습에서 오류 분석의 활성화, 문법 설명 방식의 구체화와 수업 사례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7,800원
        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how they perceive English grammar education with regard to its role in learning English and the need and ways of including grammar instruction into the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23 teachers and 1513 6th grade students. In addition, written interviews with 20 teachers were done through e-mail.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is survey are three-fold.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hey perceived that English grammar knowledge plays a positive role in learning English. Second, majority of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believed that grammar instruction should start in 5th grade,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ith respect to grammar teaching approaches; the teachers prefer the inductive method, while the students prefer the deductive one. Third, many teachers considered that grammar instruction woul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English classes based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but they believed that activities for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well designed in order to keep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re made.
        8,700원
        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 문법 분석에 있어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가장 큰 單位는 문장이다. 그러나 문장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다르고, 그에 따른 문장의 경계도 달라 좀 더 명확한 서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문장은 완정한 의미를 표현하는 독립할 수 있는 언어 단위로, 주어[문두의 NP]가 관할하는 구절까지를 경계로 한다.”라는 정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정의도 문두의 NP가 관할하는 범위가 段落으로까지 길어지는 언어 현상에 대해서는 분석의 한계가 있었다. 그 이유는 문법 분석의 단위를 문장으로 국한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본고에서는 문장으로 조합된, 문장보다 더 큰 단위의 조직인, 단락을 상정하고 단락을 관할하는 ‘주제’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문법 분석 단위를 단락으로 확장했을 때의 효용성을 단어의 문법 성질 파악, 문헌 독해, 한문 교과서 글감 제시 범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5,800원
        10.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학자들이 서구 어학 이론으로 漢文의 語學的특성을 구명하기 시작한 것은 1908년 元泳義의 初等作文法을 시작으로, 1916년에 辛在英이 漢文義讀自解를, 1917년에는 姜邁가 漢文法提要를, 1921년에는 永昌書館에서 實地應用作文大方등이 발간된 후 약 40 년간 공백기를 두고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발간된 문법서는 1960년 丁南洙의 漢文解釋을 시작으로 1971년 6월 許世旭의 漢文通論, 7월 權重求의 漢文大綱, 1973년 文璇奎의 漢文敎疑書,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 1976년 洪寅杓의 漢文文法, 1977년 박지홍의 표준 漢文法등이 발간되었다. 본고는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의 문법이론 분석에 이어서 1976년 洪寅杓의 漢文文法에 수록된 品詞理論을 분석하려 한다. 특히 초기에 간행된 한문 문법서의 문법 이론이 40년간의 공백기를 거친 후 다시 발간된 한문 문법서에 어 떻게 수용․변모 되었는가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이후 발행된 한문 문법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도 거론될 것이다. 漢文文法에서는 단어의 종류를 單詞와 複詞로 나누었는데 크게 5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詞의 種類’에서는 音節數에 의해 분류되는 ‘衍聲複詞’와 두 개의 품사가 연결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合意複詞로 분석될 것이다. ‘品詞의 分類’ 에서는 實辭와 虛辭의 종류와 개념을 설명하고, ‘品詞의 結合’에서는 聯合關係, 組合關係, 結合關係등이 서구 이론의 입장에서 분석될 것이다. 저자는 ‘品詞의 等級’에서 甲級, 乙級, 丙級으로 나누었는데 이는 어떤 품사가 주로 문장의 성분 으로 쓰이는가를 논한 것이다. ‘品詞의 活用’은 品詞의 轉成을 설명한 것으로 제 시된 예문을 통해 統辭的機能에 의해 품사가 변하는 것과 造語的側面에서의 품사가 변하는 것으로 분석될 것이다.
        7,000원
        1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에서는 한문의 어법 체계를 서구의 라틴어 문법 이론으로 분석한 馬氏文通이 1898년에 발행되고부터 自國의 언어 현상을 규명하기위해 서구의 이론을 능동적으로 수용하였다. 한국 역시 10 년 뒤 初等作文法이 1908년에 발행된 후 1921년까지 4 권의 한문문법서가 발행되었다. 상당한 공백기를 거친 후 1975년까지 丁南洙의 漢文解釋을 시작으로 1971년 6월 許世旭의 漢文通論, 7월 權重求의 漢文大綱, 1973년 文璇奎의 漢文敎疑書,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등이 출간되었다.본고는 이들 문법서에 수록된 品詞 理論에 대한 연구에 이어 統辭 理論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초기에 간행된 한문 문법서의 統辭 理論이 40년간의 공백기를 거친 후 발간된 한문 문법서에서 어떻게 收容變貌 되었는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80년대 이후 발행된 한문 문법서에는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도 알 수 있는 지표도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한문 문법사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일조할 것이라 생각된다. 본고는 문장의 성분에서는 主要成分從屬成分獨立成分으로 나누어 분석할 것이며 문장의 종류에서는 주어와 서술어의 결합관계와 주종관계에 따른 構造上 分類와 서술어의 성질행위주체화자가 청자에 대한 의향동작의 진위 여부서술의 범위 등으로 분류하는 性質上 分類를 연구의 대상할 것이다. 4종 문법서 제시된 내용들은 현대 문법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며, 초기문법서에서 연구된 내용들이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도 비교할 것이다.
        7,800원
        1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서구의 문법이론을 기초로 한 한문문법의 연구는 1908년에 시작된 이래 1921까지 4권의 한문문법서가 간행되었다. 그러나 이후 40년간 한문문법서의 간행이 없다가 1960부터 다시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본고는 1960년부터 1975년까지 간행된 4권의 문법서에 수록된 形態論의 이론 중 品詞에 대한 연구이다. 초기간행문법서(1908-1921)에는 11가지로 品詞가 분류 되었는데 實辭(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와 接續詞와 感歎詞등의 品詞는 名稱은 동일하였고, 槪念定義도 언어적 표현을 달랐지만 공통성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분류에는 造語的방법이 수용되어 과도기적 현상이 나타나 있고, 동일한 하위분류도 저자에 따라 각기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혼동을 초래하였다. 심지어 文의 性質上분류인 假定文, 反語文, 漸層文등을 轉詞란 품사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특히 虛辭 (助詞, 助動詞. 介詞)는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 특성이었다. 그 후 40년간의 공백기를 두고 60년대에 들어와 발간된 문법서들이 초기에 간행된 한문문법서에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고 발전시켰는가를 究明하는 것은 漢文 文法書硏究史에 필수적이라 본다. 이러한 검토가 있은 후에야 품사분류와 하위분류에 합리적인 기준이 제시되리라 생각된다. 본고는 ꡔ漢文解釋(1960)ꡕ, ꡔ漢文大綱(1971)ꡕ, ꡔ漢文敎疑書(1973)ꡕ, ꡔ漢文通釋(1975)ꡕ을 대상으로 품사를 검토하였다, 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 接續詞, 感歎詞등은 品詞의 名稱이 동일하고, 槪念定義는 표현적인 차이가 다소있으나 내용은 일치하였다, 품사의 下位分類도 초기문법서와는 달리 용어나 하위 분류에서 상당히 합리적으로 대부분의 분류와 명칭이 후대문법서에 수용되고 있다. 그러나 助詞, 終尾詞, 終結助詞, 助動詞, 補助詞, 前置詞, 後置詞, 介詞, 前後置詞등은 품사의 명칭도 다르고, 개념 정의도 차이가 있으며, 하위분류는 상당한 부분이 견해를 달리하고 있어 여전히 과도기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10,100원
        1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attempt to introduce a new teaching method for Spanish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e Movement theory of the Generative Grammar and we want to show that this new method can explain Spanish grammar phenomenon more easily and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school grammar. For this purpose, we start with some nominal phrases and simple sentences of the Korean and Spanish languages. We find out the basic difference of the two languages by comparing their nominal phrases and simple sentences from the point of view of Movement theory. The difference is that the Korean language does not have movement phenomenon but the Spanish language does. This difference is consistent in all of complex clauses with relative pronouns. We show that with this theory we can teach Spanish nominal phrases, simple clauses, exclamative clauses and relative clauses in a unitary and effective method of explication without a supposition ad hoc.
        5,400원
        1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discussed a methodology for education of German as a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see how grammar and a function of communication should be linked, we investigated the way how grammar is dealt with in a chapter teaching “showing the way” as a communicational situation in 8 different highschool textbook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 specific grammar factor, we tried to establish which one should be linked to this communicational situation. Two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this. Firstly, typical sentences for “showing the way” should be expressed by the grammar factor. Secondly, the grammar part associated with the expressions used for the communication situation should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is one than any other communication situation. We concluded that the most efficient grammar factor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 situation, “showing the way” are dative preposition and imperative, and that imperative can also be effectively associated with other communication situations such as “birthday and invitation”, and “health and treatment”.
        6,300원
        17.
        200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18.
        200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