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99

        2181.
        198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흰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품종 육성된 보급에 활용하고자 1979년부터 1983년까지 5개년에 걸쳐 병원세균의 균형분포를 조사한 결과, 1. 전국의 균형분포비율은 조사된 625균주중 I 균군이 , II 균군 , III 균군 , IV 균군 , V 균군 로 I 균군이 대부분 점유하였고, 품종 피해범위가 넓은 IV균군의 분포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2. 각 도별 균형분포로서는 전라남도에서는 II균군과 III균군의 분포비율이 타도에 비해 매우 높았다. 3. 균형별로 분리된 품종에서는 대부분 밀양 23호품종군에서 각 균군이 분리되었고, 유신품종군에서는 II 균군과 III균군이, 통일품종군에선 III 균군이 많이 분리되었다. 4. 한국에서 본 병의 최초 발병지이며 매년 발병 상습지인 전라남도 해남군내의 균형분포를 조사한 결과 1 균군 , II 균군 , III 균군 , IV 균군 로서 전국의 균형분포화 비교할 때 II 균군과 III 균군에 분포비율이 특히 높았다.
        4,000원
        2182.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변위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SUS 304강 용접열 영향부의 여러 가지 염화 마그네슘용액 중에서의 SCC 발생 특성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CC 발생 잠복기간은 초기 응력강도계수 K 하(Ii) 값은 낮게 함으로써 크게 지연된다. 2) 비등 염화 마그네슘 용액 중에서의 SCC 발생은 부하와 Cl 이온의 농도에 의한 부동태 피막의 파손에 기인된다. 3) SUS 304 강 용접열 영향부의 SCC 발생 감수성은 높은 농도의 염화 마그네슘 용액일수록 온도를 낮게 함으로써 둔화된다.
        3,000원
        2183.
        198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the PDS scanning, isophote maps and surface luminosity distributions for the late type spiral galaxy NGC 6946 were obtained. Surface luminosity distribution showed that this galaxy can be classified as the Freeman's type II, and the deep spheroidal component was caused as a result of the ring structure in the central part of NGC 6946. Physical parameters-total magnitude ( M B T ), effective radius ( R ∗ e ), central surface magnitude U ( 0 ) C D , length scale ( α − 1 ), disk-to-bulge ratio (D/B) and mass-to-luminosity ratio (M/L)-were also calcula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NGC 6946 belongs to Sc I type galaxy according to the DDO classification, and is to be a fair sample of classification statge T=6.
        4,600원
        2184.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엽고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으로 알려진 밀양 30호의 이병화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 밀양, 해남산에 대한 최고분얼기, 출수기엽과 기본식물에 대한 각균군의 균주별 저항성 관계를 조사한 결과 가. 년 전국에서 이병된 밀양 30호의 침해균군 비친화성으로 밝혀진 I, II균군의 균주가 다수분리되었다. 나. 산지 및 생육시기별 저항성 정도의 차는 인정할 수 없었으나 II 균군의 특수균주(병원성 분화형)에 대해 침해받았음이 원인이었다. 다. 밀양 30호의 기본식물에서도 동일 균군 균주에 의해 반응이 일치되므로 품종보다 균주의 병원성 분화에 따른 이병화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185.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ycopodium serratum이 우점된 곳에서는 심한 영향을 받았다. 선점식생(先占植生)에 따른 겉뿌림 초종(草種)의 반응은 시일(時日)이 경과함에 따라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및 Ladino clover와 같은 2~3개의 초종(草種)으로 식생(植生)이 단순화(單純化)되는 경향이었고 Orchardgrass가 우점종(優占種)이었다. 식생변화(植生變化)는 예취회수(刈取回數)에 따라 선점식생(先占植生)은
        4,000원
        2186.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hors identified following seven species of six genera of Dinoderinae and Bostrichinae of Bostrichidae intercepted from imported logs. Keys and descriptions are given for the seven species. The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is outlined Dinoderinae: Rizopertha dominica (Fabricius) Dinoderus minutus (Fabricius) Bostrichinae: Sinoxylon anale Lesne S. japonicum Lesne Heterobostrychus hamatipennis (Lesne) Xylothrips flavipes (Illiger) Xylopsocus castanopterus (Fairmair).
        4,000원
        2187.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예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1976년부터 1981년까지 진흥과 유신을 공시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성숙기의 잎집무늬마름병 피해도는 7월중의 병반높이와 병반고율, 9월 11일의 병반지수에 의하여 추정할 수 있었다. 유신품종에 있어서 7월 11일의 최상위병반 높이와 성숙기의 피해도와는 관계는 이었다. 한편 약제방제시기와 회수시험결과는 잎집무늬마름병의 발병주율과 발병경율이 7월 11일에서 8월 1일 사이에 급격히 높아지는 사실과 7월중의 병반높이와 성숙기의 피해도와는 상관이 높은 것을 감안할 때 7월 15일과 7월 25일 또는 7월 25일과 8월 5일의 10일간격 2회방제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4,000원
        2188.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극전위변화에 따른 고역 내식성 알미늄합금(5083)의 SCC 거동을 연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083 알미늄합금의 K 하(IC)은 134.81~148.38kg/mm 상(3/2)이며, 전위변화에 따라 K 하(Ii)은 75.92~145.78kg/mm 하(3/2)이다. 2. K 하(I)-V의 거동은 양분극시 Region I 과 II가 나타나고, K 하(Ii)/K 하(IC)의 비가 작을수록 crack성장속도도 빠르게 나타난다. 3. 분극전위 -987mV SCE에서 crack성장속도가 가장 지연되므로 122mV SCE을 음분극하면 SCC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입계의 β상의 석출은 분극전위가 클수록 크게 나타난다.
        4,000원
        2189.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래의 thyristor chopper는 reactor가 필수 불가결하여, reactor의 내부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피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main thyristor를 commutation하기 위해, commutation capacitor에 충전된 전압을 main thyristor에 역으로 가하여 main thyristor을 commutation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 종래의 thyristor chopper에 필수불가결한 모든 reactor를 제거하여 chopping 작용을 가능케 할 수 있었다. ii) Commutation capacitor에 의해 부하를 통과하지 않고 허비되는 에너지의 67%를 회수할 수 있었다. iii) 본 thyristor chopper의 turn off time은 T=RC ln2에 의해 계산된다
        4,000원
        2190.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Sorg hum bicolor (L.) Moench)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예취후(刈取后) 그루터기의 고사(枯死)와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에 미치는
        4,000원
        2191.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강원도(江原道) 새마을 '소' 임간공동방목사업(林間共同放牧事業)의 일환(一環)으로 81년도(年度)에 개설(開設)된 105개(個)의 공동방목장(共同放牧場)과 '82년도(年度)에 개설(開設)된 103개(個)의 공동방목장(共同放牧場)의 경영실태와 분석(分析)된 문제점(問題點) 그리고 개선방안(改善方案)에 관한 연구결과(硏究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공동방목(共同放牧) 사업(事業)의 효과 1) 방목기간중(放牧期間中) 1
        4,300원
        2192.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 부패병균(Macrophoma sp.)에 감염된 과일에서 총페놀, flavonol, anthocyanin 함량의 병화를 사과의 여러 발육시기에서 조사하였다. 사과가 성숙됨에 따라 과육, 과피의 총페놀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부패병균에 감염된 과육에서 건전한 과육보다 다소 총페놀함량이 낮았으며 품종밀러보다 더 감수성인 후지의 감염된 과육에서 이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건전한 과피에서 보다 감염된 과피에서 높은 페놀함량을 보였으며 밀러에서 이의 증가가 현저하였다. 부패된 사과에서 flavonol 함량이 건전 사과보다 높았으며 7월 10일에 Macrophoma에 완전 저항성이었던 사과의 감염된 과피에 flavonol이 크게 축적되었다. anthocyanin 생성도 감염된 과피에 상당히 증가되었으며 품종 밀러에서 뚜렷했다. 이들 결과에서 미루어 사과의 페놀대사변동은 사과 부패병진전과 관계가 있을지 모른다.
        4,000원
        2193.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생 조사 및 향나무배나무에 대한 효과적 약제방제방법을 마련코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배나무붉별무늬병균의 동포자퇴 형성은 피라밋드향나무에서 가장 많았으며 참향나무, 향나무, 연필 향나무가 중간, 노간주자무, 둥근향나무는 적었다. 2. 향나무에 대한 살포약제는 Actidione 1000배액의 4월초순중순의 2회 살포가 가장 좋았으며 약해도 없었다. 3. 배나무에 대한 Bayleton 800배액의 4월순5월초순의 회 살포는 병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4. 배나무에 대한 약제살포는 강우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강우후 살포시기가 지연될수록 효과는 감소하였다.
        3,000원
        2194.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자들은 한국산 꽃파리과 곤충의 계통분류학적연구의 일환으로 조사 정리중 새로이 미기록종, Chirosia cinerosa (Zetterstedt, 1845) (양치꽃파리, 신칭), Paraprosalpia billbergi (Zetterstedt, 1838)(밭꽃과리, 신칭), Lasiomma octoguttatum (Zetterstedt, 1845) (소양꽃파리, 신칭), Pegomya cunicularis (Rondani, 1866) (나도시금치꽃과리, 신칭)을 발견하였으며, 그중 Chirosia (양치꽃과리속, 신칭), Paraprosalpia (밭꽃파리속, 신칭) 속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기록된다. 또한 지금까지 시금치류를 가하는 시금치꽃파리는 Pegomya hyoscyami (Panzer, 1809)로 기록되고 있으나, Suwa (1981)에 의하면 P. exilis (Meigen, 1826) 및 P. cunicularis (Rondani, 1866)도 혼동 사용되어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는데 이들 중 현재 P. cunicularis (Rondani, 1866)을 발견하였기에 이에 보고코자한다.
        4,000원
        2195.
        198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DS was used to get the structure of two barred spiral galaxies NGC 1313 and NGC 1365. The result shows that NGC 1365 has both a deep spheroidal component and an exponential disk, but NGC 1313 has only an prominent exponential component. The luminosity profiles indicate that KGC 1313 is in type I and NGC 1365 belongs to type II. The length scales ( α − 1 ) were derived from the exponential luminosity distributions as 1.64 kpc for NGC 1313 and 2.49kpc for KGC 1365.
        4,000원
        2196.
        198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the basis of observational constraints,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l abundance and cumulative stellar mass, a simple two-zone disk-halo model for the chemical evolution of our Galaxy was investigated, assuming different chemical processes in the disk and halo and the infall rates of the halo gas defined by the halo evolution.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model calculations are: (i) The halo formation requires more than 80% of the initial galactic mass and it takes a period of 2 ∼ 3 × 10 9 yrs. (ii) The halo evolution is divided into two phases, a fast collapse phase ( t = 2 ∼ 3 × 10 8 yrs) during which period most of the halo stars ( ∼ 95 are formed and a later slow collapse phas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enrichment due to the inflow of external matter to the halo. (iii) The disk evolution is also divided into two phases, an active disk formation phase with a time-dependent initial mass function (IMF) up to t ≈ 6 × 10 9 yrs and a later steady slow formation phase with a constant IMF. It is found that at the very early time t ≈ 5 × 10 8 yrs, the metal abundance in the disk is rapidly increased to ∼ 1 / 3 of the present value but the total stellar mass only to ∼ 10 of the present value, finally reaching about 80% of the present values toward the end of the active formation phase.
        5,100원
        2197.
        198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구류에 대한 수도품종 저항성 검정방법을 개발하고저 방사성 동위원소 를 이용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전편에서 얻어진 결과를 활용하여 멸구별, 멸구충태별, 접종시간별 벼멸구 흡즙량 차이와 품종별 벼멸구 흡즙량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순으로 흡즙량이 많았으며 암컷이 숫컷보다 공시멸구류 모두 흡즙량이 많았다. 나. 벼멸구의 각태별 흡즙량은 성충, 5령충, 성충), 4령 순으로 많았으며 충접종시간은 접종 24시간48시간에서는 일정한 흡즙령을 나타냈다. 다. 벼멸구의 벼품종별 흡즙량은 저항성 품종인 밀양 47호에서는 839 CPM인 반면 감수성 품종인 TN 1에서는 88,603 CPM을 나타 내었다. 따라서 본시험에서의 검정방법과 유묘집단검정방법과는 일치하였다.
        3,000원
        2199.
        198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지 제18권제2호(1979)에 제1보로 발표된 Evergestiinae와 Pyraustinae(새들명나방아과 및 들명나방아과) 목록에 이어 포충나방아과와 물명나방아과의 목록을 제2보로 발표한다. 포충나방아과는 일명 벼명나방 무리로 불리워지기도 하나 그들의 기주식물이 모두 벼(水稻)와 연관되는 것으로 오인될 우려가 크므로 필자는 전자를 따라 포충나방아과로 명명하였으며 종들의 이름도 이에 준하여 일부 개칭(改稱)하였다. 한국동물명집(2) 곤충편에는 나방아과에 19종이 수록되어 있으나 최근 필자등에 의하여 발표된 종들을 종합하여 본 목록에는 30종이 포함되었으며 물명나방아과에는 13종이 수록되었다.
        4,000원
        2200.
        198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흰빛잎마름병의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와 그 유전양식을 조사하여 저항성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저 몇 가지 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고분얼기와 출수기때의 저항성정도는 품종에 따라 상이한 반응을 보였고 공시품종중에서 IR2061-465-1-5-5, IR2061-553-6-9, IR1561-228-3-3, 밀양 42호는 공시된 3균주에 대해 최고분얼기나 출수기에 모두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2. 질적저항성이 동일한 품종군에 속하는 품종중에서도 저항성정도의 양적인 차이는 크게 인정되었고, 그 차는 품종군별로는 밀양 23호군에서 균주별로는 II 균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3. IR2061-465-1-5-5와 IR1561-228-3-3의 II균군에 대한 저항성의 유전은 및 세대의 분리양상으로 보아 개의 유전인자에 의해 저항성이 지배된다고느 보기 어렵고 상당수의 유전인자가 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