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is examined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s,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Method: A quasi-experiment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Simul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by utiliz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to teach the following topics to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4th grade in S city: respiratory, circulatory, and nervous syst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2 week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Paired t-test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Learning attitude and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Among the sub-areas of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problem recognition (p<.001), information gathering (p<.001), confident thinking disposition (p<.001), acceptance to carry out an adventure (p<.001), evaluation (p=.027), and feedback (p<.001). In addition, learn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iterative studies and simulation scenario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training.
목적 : 본 고찰연구는 정형외과 노인 케어 모델(orthogeriatric model of care)을 중심으로 정형외과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검색엔진 Google과 논문데이터베이스 CINAHL, Cochrane, Embase, Web of Science에서 정형외과, 관절 치환술 받은 노인 그리고 작업치료 검색어를 조합하여 문헌을 확인하고 영어권 선진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작업치료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결과 : 선진국에서는 정형외과에서 수술 받은 노인을 위한 케어 모델을 정형화하여 정형외과에서 수술한 노인환자의 빠른 회복과 지역사회 복귀를 위해 다학제 팀을 이루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잇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학제 팀은 의사, 간호사와 더불어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로 구성된다. 케어 모델의 효과는 사망률 감소, 수술 후 합병증 예방, 섬망 발생 비율 감소, 중환자실 입원율과 요양원 입소 감소, 빠른 회복, 입원기간 단축, 기능적 회복 증진, 그리고 비용 효과 면에서도 우수하다. 정형외과 노인 케어 모델에서 작업치료는 수술 전 평가 및 교육, 수술 후 섬망 관리, 수술 후 조기 움직임, 관절 주의사항 교육, 낙상 예방, 재활, 퇴원계획, 퇴원 후 관리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우리나라 정형외과 노인들의 입원기간이 선진국에 비하여 길며 재입원율도 높아 정형외과 노인을 위한 다학제간 접근 한국형 케어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형외과에서 작업치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건강보험수가 현실에서 정형외과 작업치료를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커뮤니티 케어를 통해 지역사회 전문보건의 역할이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병원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작업치료의 역할이 정형외과에서 꼭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to August 31, 2019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es who worked in tertiary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Braun & Clarke’s thematic analysis method. Results: Four themes and eighteen sub-themes emerged as follows. ‘Falls resulted in fatal consequences, the importance of precaution education’, ‘Errors occurred due to incompliance to verification protocol’, ‘Responsibility for catching other people's errors’, ‘Hospital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patient safety’.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on the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hich may have serious consequences and are not easily addressed. Programs to prevent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systems to guard against these incidents should be establishe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lso needs to be improv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urnover experience of nurses who moved from a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to a general hospital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ove for them. Methods: This is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using Colaizzi's (1978) method.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11 nurses within 3 years after turnover to a general hospital at a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between April, 2018 to September, 2018. Results: The four theme clusters and thirteen themes emerged. The core theme licited I was “the journey to find-balance and leave.” Four theme clusters were; “advance to a dream job”, including ‘expectation for my work’, ‘my confidence and family pride’, “unstable my dream job” including ‘stand alone in a desert’, ‘crushed by extra work’, ‘torn protection’, ‘invisible future’, “my job that I wish to keep” including ‘unconditional patience for growth’, “I can't be a loser” is desperate selfinspiration’, ‘leaning on comfort and support', and finally “my place I found again.” including ‘being prepared to be by my side’, ‘restoring work-life balance’, ‘revealed my existence’, and ‘unsatisfied with new work’. Conclusion: Participants choose of turnover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stead of the romance of th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Thi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at values the comfort and relaxation in one's life prior to professional vision of nursing care as a nurse, and success. The result is meaningful as an understanding of effective job management for current-generation clinical nurses.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도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이를 통해 치매 환자 간호실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요양병원에서 치매환자 간호에 종사하는 219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감도(ECRS)를 이용하여 요인구조 탐색과 확인요인분석(CFA)을 통 한 기초모형 추출 및 모형 수정, 모형 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치매환자에 대한 공감도는 타인 정서의 수용, 자신의 부정정서 억제, 정서의 교류 및 상호작용 등 3개요인 49개 문항으로 구성요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공감도 측정 도 구는 향후 치매환자 간호실무현장에서 간호사의 공감도를 확인하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코칭역량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00구 대학병원 1곳, 서울특별시 00구 종합병원 1곳, 경기도 00시 00구 대학병원 1곳, 경기도 00구 00시 종합병원 1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불성실한 17부를 제외하고 313부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수준과 심리적 복지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조직몰입 수준에서는 연령, 결혼여부, 종교, 학력, 재직기간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심리적 복지감 수준에서는 성별과 학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간호사의 코칭역량, 조직몰입, 심리적 복지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간호사의 코칭역량과 조직몰입 및 심리적 복지감간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사의 코칭역량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호사의 코칭역량은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간의 관계를 파악하 고 이를 기반으로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는 전라 남도 3개 도시에 위치한 요양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수행하였으며,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9.1 ver. 을 사용하였다. 간호사 자신의 정신적, 업무적 스트레스가 임종간호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간호사는 임종환 자를 자주 경험하면서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임종간호수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상경력 이었다. 요양병원간호 사의 임상경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임종간호수행도가 높았으므로 임상경력을 고려한 임종간호수행이 이루어져야 하 며, 임종간호수행에 있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을 심도 있게 파악 하여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수행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적 : 보건의료 분야의 다직종연계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에 대하여 국내에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고, 작업치료학과가 참여한 일본의 군마대학 교육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및 결과 : 2019년 12월에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KMBASE, Google Scholar, KISTI, RISS와 KoreaMed에서 InterProfessional Education 주제어로 검색하여 국내 학술지에 보고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리뷰에 포함된 16편의 논문 유형은 원저 8편, 종설 8편을 차지하였다. 연구 분야는 의학 7편, 간호학 4편, 약학 2편, 보건의료 공동연구가 3편이였다. IPE에 대한 용어 및 개념, 교육이론 및 방법은 국내외 문헌분석과 사례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2010년부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IPE 교육모델과 학습 효과를 공유하고, 2013년부터는 WHO 협력센터로 지정된 군마대학 의학부 보건학과의 팀 의료 교육에 대하여 실습교과목 중심으로 교육 목적 및 학습성과 검증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에 처음 소개된 IPE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작업치료 교육과 임상에서도 참여와 협업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물론, 도입을 고려한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논의되었으면 한다.
독일은 주마다 교육제도와 직업 체계에 차이가 있지만, 노인수발 관련 직업에 종사하려면 최고 연령기준(17세)과 최저 연령기준(45세∼50세)을 충족시켜야 하고 일정 수준의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노인수발 직업군에는 수발보조인력(Pflegehilfskraft), 노인수발보조사(Altenpflegehelfer), 노인수발사(Altenpflegerln), 전문수발사(Pflegefachmann) 등이 포함된다. 저마다 교육 수준과 처우도 다르지만, 현장 경력과 교육을 통한 직업상승의 기회가 보장된다. 2017년 “노인수발(요양) 직업에 관한 법”의 제정으로 요양보호사, 보건위생 및 환자간호사, 어린이환자 간호사의 교육과정을 통합하였다. 이에 2020년부터 3년제 통합교육이 시작되어 2023년부터는 이들을 ‘전문수발사’라 칭할 예정이다. 한국의 요양보호사는 초창기 독일의 노인요양보호사처럼 나이나 학력 등 자격요건에 제한을 두지 않고 지정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교육만 이수하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간호’와 다르고 자격요건이나 처우도 낮은 상황이어서 요양보호사로서의 직업적 자긍심을 갖기 어렵다. 본 연구는 독일의 노인수발(요양) 인력 양성 제도 변화를 분석하여 전문화와 다양화라는 두 가지 방향이 한국 장기요양보호 인력 양성제도에 어떤 정책적 시사점과 방안들이 있는지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을 2018년 2학기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교과목에 적용한 후,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단일군 전⦁후 설계를 활용한 원시실험 연구이다. G도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은 전통식 강의 8주,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4주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두군 간에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 (3.41±.40)보다 수업 후(3.71±.36)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39, p<.001). 문제해결능력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3.36±.38)보다 수업 후(3.70±.59)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97, p<.001). 전문직 자아 개념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2.92±.28)보다 수업 후(3.22±.50)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84, p<.001). 따라서 문제중심학습(PBL)을 간호교육에 더욱 확대하여 적용한다면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rner-directed debriefing based on the clinical judgement model (LDCJM)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briefing experience after simulation. Method: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38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0) and a control group (n=1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Chi-square, the Mann-Whitney U-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using the WIN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LDCJM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U=23.50, p<.001), problem-solving ability (U=94.50 p=.011), and debriefing experience (U=87.00, p=.006)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DCJM i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briefing experien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ous debriefing skills.
Purpose: This study, as presented by Kern, Thomas, and Hughes ,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inference education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programs based on Smith and Mann’s (2002) mobile education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six stages of the medical course development model. Based on the mobile education model of Smith and Mann (2002),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reasoning education is verified through the mobile education program. Method: A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at evaluates the clinical reasoning education effects of the mobile education program was used.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clinical inference capacity from before intervention (t=-9.81, p<0.001); there was also a greater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after intervention than before intervention in all of the resul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hile scenarios were constructed around five cases of high-risk Infant with respiratory and mechanical problems, in the future, additional scenarios should be developed to include different body system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flow, and nursing students’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nd examine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communication, and the effect of flow on competence in communication. Method: Data of 123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flow, and competence in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fin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and flow accounted for 31.4% of the variance in predictions of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dditionally,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clusion: The study supports a strategy to improve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and flow by improving nursing students’ competence in communication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imulation training on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and to examine its effec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83 students at C University, between October 1, 2018 and December 31, 2018. This training was conducted over a 5-week perio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Friedman test,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all after the normality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 perspective,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p<.001). More specifically, there was a greater improvement in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an in the existing simulation exercise. Conclusion: Being effective in enhancing the ability to provide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competencies, nursing profession perspectives, and, especially in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nd problem-solving skills, it is necessary to link evidence-based education and existing simulation training.
Purpose: Debriefing is very important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ructured team debriefing on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using mind mapping.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83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2 seniors in 2018,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1 seniors in 20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 observed performance checkli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d independent t-tests with the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IBM SPSS/WIN 25.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performance (t=7.64, p<.001),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t=4.93, p<.001), and learner’ satisfaction (t=2.94, p=.004)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applying structured team debriefing using mind mapp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Thu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apply a range of clinical scenarios and debriefing strategie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Technical and non-technic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also need to be evaluated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using various debriefing method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KSSN) and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Method: The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57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SSN between 2013 and 2018.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quantitative data. Results: The proportion of articles on quantitative research was 80.7%, while the proportion of articles on qualitative research was 15.8%. The majority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focused on experimental study (47.4%). The prevailing data collection settings were school (75.4%), and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71.9%), t-test (50.1%), ANOVA (19.3%) and chi-square test (17.5%).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simulation education research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scenario topics were delivery care and postpartum hemorrhage. The most frequently used variables measured were clinical performance (43.8%), problem-solving process (31.3%), self-confidence (31.3%), and self-efficacy (28.1%). Conclus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simulation nursing, there is a need to encourage research into utilizing a variety of research methodologies and simulations.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 조절 코칭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고혈압을 낮추는 생활습관으로 좀 더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고혈압환자의 생활습관과 코칭에 관한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생활습관조절의 구성요소와 코칭모델 및 코칭의 기술 그리고 고혈압 환자의 요구도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영양학과 간호학, 스포츠레저학 및 코칭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교육, 적용, 평가단계로 구성하였고, ACTIVE 코칭 대화모델과 코칭기술 및 생활습관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코칭모델은 CPA모델이며, 코칭대화모델은 C-PLUS코칭원리를 바탕으로 한 ACTIVE코칭 대화모델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고혈압에 대한 이해, 고혈압 환자의 실천습관, 코칭에 대한 기초, 코칭의 원리, 코칭대화모델, 코칭의 기술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고혈압 환자 생활습관 조절 코칭프로그램은 고혈압환자의 고혈압수준을 낮추고 보다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생활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위한 기본적 틀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National League for Nursing/Jeffries Simulation Theory (NLN/JST) is a middle-range theory widely used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Although the NLN/JST was revised in 2015, there is still no formal critique of the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ritique of the NLN/JST. Method: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and evaluates the theory using Fawcett and DeSanto-Madeya’s (2013) framework. Results: The theory demonstrates positive social and theoretical significance, testability, and empirical and pragmatic adequacy. Nevertheless, semantic clarity and internal consistency need to be made clearer. Conclusion: The NLN/JST is a suitable framework for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The theory considers not only participants but also patients and systems as outcomes of simulation education, and is able to incorporate situation-specific backgrounds. That said, it is still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nursing curriculum for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of both nursing students and nurses, given the wide range of clinical situations they may en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