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14

        68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vide an unprecedented view on hanzi which a particular group of citizens called graffitists use for their everyday cultural practices. To fulfil the purpose as such, it, most of all, seeks to think of graffiti in general or praxis of graffiti writing as a form of art based upon the de Certaurean conceptualisation of ‘textual poaching’. Taking a more philosophical approach to graffiti from a Spinozian-Deleuzian perspective, it, then, reconsiders both graffiti and graffiti writing to be ‘crimes of styles’ resisting the taken-for-granted law and order that not merely controls urban streets but rules the everyday lives of citizens. In the final analysis, it underlines the cultural value of hanzi against a series of violent assaults carried out by the State on us, the citizens.
        5,200원
        68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0년 6월 25일 조영남 그림 대작(代作)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있었다. 이 사건은 사기죄로 기소되어 대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그 사안을 들여다보면 저작권 귀속과 저작권 침해의 문제임을 알 수 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사건의 사실관계를 기초로 하여 저작권법상의 쟁점이 되는 저작권 귀속과 저작권 침해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를 하였다. 피고인은 자신이 저작자이고 공소외인은 조수라는 주장에 대해서 저작 권법상 저작권 귀속에 관한 법리를 중심으로 하여 피고인의 주장에 대해 검토하여 보았다. 저작권법은 아이디어를 제공한 자가 아니라 이를 표현 한 자에게 저작권이 귀속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 사건의 사실관계를 살펴 보면 피고인은 아이디어를 제공하였을 뿐이고 실질적으로 표현을 한 자 는 공소외인 이므로 저작자는 공소외인이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피고인은 자신의 그림은 개념미술 그리고 팝아트에 해당하기 때문에 개념을 제시한 자신에게 저작권이 있고 공소외인에게는 저작권이 없다는 취지의 주장에 대해서 개념미술의 개념과 팝아트의 개념을 살피고 2인 이상의 사람이 팝아트나 개념미술의 창작에 관여하는 경우 저작권은 누 구에게 귀속하게 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개념미술이나 팝아트라고 하더라도 저작권법이 표현을 보호하고자 하는 취지를 벗어날 수는 없기 때문에 피고인이 아무리 팝아트적인 요소인 화투를 가지고 꽃으로 표현 하라는 것을 지시하였다고 하더라도 결국 캔버스에 어떻게 그릴 것인지 구상하고 이러한 구상을 토대로 실질적으로 그림을 그려낸 사람은 공소 외인에 해당하므로 공소외인이 저작권자가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피고인과 공소외인의 거래 관계를 일반적으로 대작계약이라고 칭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 대작계약의 정의와 대작계약의 경우 누구에게 저작권 이 귀속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대작계약은 양도불가능한 저작권의 양도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대작계약은 무효이고, 저작권은 미술 품을 창작한 자에게 원시적으로 귀속되므로 이 사안에서 저작권은 공소 외인에게 귀속된다고 할 수 있다. 저작권이 공소외인에게 귀속되는 경우 피고인이 미술품에 직접적으로 덧칠을 한 행위는 저작권법상 동일성 유지권을 침해한 행위가 되므로 이 를 근거로 공소외인은 피고인에게 저작권법에 따라 민ᆞ형사상의 구제를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68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는 2016년 브렉시트의 배경에서 시작하여 2019년 조기 총선 으로 브렉시트가 사실상 확정된 과정을 시간순으로 설명하고, 그 과정에 서 제기되었던 헌법적 쟁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브렉시트의 전개 과 정에서 제기된 헌법적 쟁점을 민주적 헌법 질서를 가진 모든 국가에 보 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고자 한다. 영국 브렉시트는 유 럽연합이 가지고 있었던 근본적인 문제에서 시작하였다. 유럽 통합방향 은 초기의 이념을 잃어버리고 시장주의와 국가주의에 경도되었다. 또한, 주권 국가의 정체성이 급격하게 해체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럽연합의 국가 정체성이 그 공백을 신속하게 대체하지 못하였다. 그 과정에서 유 럽과 개별 국가 수준에서 대의제 민주주의 흠결과 영국의 포퓰리즘은 재 정 문제나 난민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증폭하였다. 유럽연합에 대한 국민의 불만과 반감은 유럽연합에 주권적 권한을 이양한 자국 의회 와 제도 정치권을 향했다. 하지만, 제도권 정치는 국민의 의사를 수렴하 여 집단적으로 구속력 있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였다. 오히려 정치체계는 극단적인 견해로 대립하여 갈등하고 있는 사회의 부정적 커뮤니케이션에 기생하였다. 대외 정책은 국가 간의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고 대내적 정치 동원의 수단이 되었다. 제도 정치 전반에 대한 혐오를 반의회주의로 귀결시키고 그 속에서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인물과 정당이 급부상하였다. 이렇게 보면 브렉시트는 비단 영국의 문제 가 아니라 이미 보편화한 세계적 문제이며, 유럽 통합과 영국이라는 특 수성을 제거하면 영국 브렉시트는 우리의 현실이자 미래이다.
        68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늘날 형사사법시스템은 소년기의 특수성과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이 버전과 같은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성인사범과 차이를 두고 개별적인 정 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청소년이라는 상태가 생물학적·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이므로 장래에 일반시민으로서 재사회화가 될 가능성이 높 기 때문에 실효성이 높은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과 영국 등의 해외사례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해외 선진국들은 소년사법과 성인 사법을 엄격히 분리하여 소년들의 특수성에 적합한 형사정책을 제공하고 자 하고 있었다. 이러한 해외사례 분석결과는 현재 법무부 소속 범죄예 방정책국에서 성인과 청소년에 대한 사회 내 처우 모두를 혼재하여 운영 하고 있는 국내실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논의에 따라 현행 6과 1팀의 범죄예방정책국 체제를 ‘정책단’을 중심으로 소년사 법과 성인사법 분리 재개편하여 담당을 분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정책단의 분류는 곧 범죄예방정책국 전체 업무를 어떠한 특성 에 따라 구분 짓느냐의 문제와 동일하므로 그 구분은 범죄예방정책국의 업무를 관통하는 기준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며, 이 연구는 해당 기준이 바로 사회 내 처우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구분, 즉 소년사법과 성인사법 의 구분이라고 제언한다.
        685.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687.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day’s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various new crimes threaten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recent decades, there have been various forms of cybercrimes targeted at the communication networks and defense systems of countries by other countries, known as cyber warfare. Unfortunately, international law has not specified this as a crime, but its impact has caused violations of sovereignty and disruption of national security, resulting in material loss, breakdown of communication networks and obstruction of social and public services based on the internet, such as what happened in Estonia in 2007. This article is a norm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elements of cybercrime relating to threats to a country’s security. The modification of the cybercrime concept is necessary to designate cybercrimes as crimes of aggression amid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maintain stabil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5,800원
        688.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ternational jurisprudence over the past 70 year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fledging; recovery and development; and flourishing. During the period, Chinese international lawyers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through, inter alia, the Five Principles of Peaceful Co-existence, recognition and succession, the peaceful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Shared Future for Mankind, and so forth. However,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legislation and international judicial activities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because the theoretical ground for China’s foreign policy and diplomatic practice is still insufficient and academic works with global influence are not enough yet.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ternational law follows such trends: more valuabl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the theoretical innovation of international law; and the improvement of China’s discourse power. These are important missions for Chinese international lawyers.
        5,800원
        689.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key purpose of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is to promote foreign investor protection by offering both substantive and procedural standards, the international investment governance regime need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foreign investor rights protection and the host state’s right to regulate. The changing balance of this dichotomy shapes a leaving-and-return-of-the-state paradigm which explains and rationalizes an evolutionary development of both substantive and procedural norms and the changing status of sovereignty in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The “leaving” or “return” of the state paradigm informs us of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This article makes a normative case for reframing investment and national security within what we call the investment rule of law. Both push for and pull from a liberalization movement are in an attempt to reshape this investment rule of law surrounding the concept of sovereignty, the core of international law.
        7,000원
        690.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wyers express their opinions mainly by writing. In particular, legal scholars are obliged to write scholarly papers and publish them. A good lawyer also includes being a good writer. However, it is not easy for young lawyers or law students to write a good, scholarly paper. To be a good writer, they should possess discipline. Nonetheless, there are a few practical guidelines for young lawyers or law students to refer to when they begin writing scholarly articl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core guidelines of scholarly legal writing-what to consider and what to avoid - for beginners; following the author’s experience of editing globally recognized journals in international law as well as writing and publishing scholarly papers at leading academic law magazines in the world. This research paper contains the meaning of good scholarly legal paper, topic and title, research methodology, writing, referencing, research ethics and publication.
        7,000원
        691.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focuses on critical anti-corruption measures taken by the State of Kuwait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pecifically as they rela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Corruption (UNCAC). Specific provisions of Nazaha Law,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crimes and persons under its jurisdiction, are compared to the UNCAC, shedding light on the inh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Law and whether the law constitutes a sufficient domestic anticorruption measure. By focusing on specific statutes and related jurisdictional matters,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Nazaha Law and the UNCAC are noted. Kuwaiti legislators should immediately consider these discrepancies to ensure a more effective domestic policy in the global campaign against corruption. This paper comprises five par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Part two will detail the various types of corruption covered by the Nazaha Law. Part three will focus on the persons covered under Nazaha jurisdiction. Part four will expound the issues of legal jurisdiction.
        7,000원
        692.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inspecting the Natanz Nuclear Site (Iran) on October 6, 2019, an inspector of the IAEA was found to carry suspicious materials. She wa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ite by the Iranian authorities and was shortly returned to the Agency’s headquarters. Iran could not prosecute her, because of the inspector’s immunity by the Agency. However, in addition to exhaustion of th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s predicted in the Agreement on the Privileges and Immunities of the IAEA which has also provided the recourse to the ICJ, Iran may prosecute the Agency by attributing the conduct of the inspector to the Agency in the national courts of non-member States of the Agency that has not accepted the immunit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customary international law.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mmunit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its agents, as well as examining the Agency inspector’s fault in inspecting the Natanz Nuclear Site and the Judicial Mechanisms for follow-ups.
        4,600원
        693.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January 3, 2020, the Trump administration killed General Quassem Soleimani by a drone strike. Soleimani had been widely considered the second most powerful leader in Iran. President Trump and his administration have provided different justifications for the drone attack. The assassination of Quassem Soleimani has been met with criticism in many parts of the world. Legal scholars have extensively debated the lawfulness of the drone strike. They discussed, inter alia, whether the killing of the Iranian general was a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regulating the use of force (jus ad bellum),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jus in bello)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e following article examines the legality of the killing of the Iranian general, from the jus ad bellum by focusing on the accumulation of events theory. Furthermore, the article addresses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the killing of Soleimani might have on other countries such as North Korea.
        4,900원
        694.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fferences between the littoral states regarding the status of the Malacca Strait result in disharmony and inconsistencies in handling spatial planning and preventing marine pollution in the strait.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user countries carried out so far is also not optimal due to conflict of interests. Using a normative juridical approach and secondary data of the provisions of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1982 and the Declaration of the Three Strait States, the Malacca Strait is under the sovereignty of the littoral states and used for international navigation with transiting passage. Spatial planning in the Malacca Strait, which results in overlapping uses for cross-fishing vessels, conservation, and traditional fishing, cannot be performed because the problem of maritime boundary determination has not been resolved by the littoral states. Tripartite cooperation needs to continue to be built through agreements that not only bind the littoral states but also the user states.
        5,200원
        695.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donesian Ocean Policy (IOP) is a new milestone in managing its oceans since Indonesia ratified the UNCLOS 35 years ago. Indonesia underwent several paradigm shifts in strengthening ocean governance from 1957 to 2014.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three paradigm shifts in strengthening ocean governance in Indonesia.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milestone of the first shift was the 1957 Djuanda Declaration, recognised by the UNCLOS in 1982, regarding the concept of an archipelago state, called the ‘ocean space paradigm.’ The second, which occurred in the Reformation period (1998-2014) was called the Ocean Development paradigm, while the third paradigm shift was after President Jokowi launched Indonesia’s vision as a Global Maritime Fulcrum. This third paradigm shift was also associated with the emergence of the IOP, which contributes to national development and pays comprehensive attention to the constell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in Asia and various initiatives in the region.
        5,500원
        696.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적액체위험물의 하역 운영의 안전규제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고로 인하여 산적액체위험물 취급과 관련한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원유운반선 우이산호 부두접촉사고, 2015년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 및 2019년 울산 스톨트 그로앤랜드호 폭발사고로 인하여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와 울산 스톨 트 그로앤랜드호 폭발사고는 주변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액체위험물은 개별업체에서 제조되어 도로 또는 철도를 통 하여 항만의 위험물 보관업체의 위험물 취급 저장시설로 이동되어 보관되었다가 선박을 통해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액체위험물의 수입도 동일한 경로를 통하여 반대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액체위험물의 하역 운영에 대한 사항은 선박입출항법상 자체안전관리계획제도에 의존하고 있지만, 폭발사고 등으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효과적으로 안전을 확보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적액체위험물 하역 운영에 관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 하고 우선적으로 관련 법령의 개정안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현재 선박입출항법에 따른 자체안전관리계획제도 보다 강화된 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으므로, 그 논의의 기초단계로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할 수 있는 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6,100원
        697.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원은 해양관련분야의 핵심 인적자원으로서 해상운송의 중심이었으나, 선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저하 등으로 자발적 비정규직이 등장함에 따라 고용안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이 논문은 선원에 대한 직업의식과 법제적 차이를 검토하고 선원의 비정규직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원법령 상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를 분석하고, 산업계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선원의 공급과 선사의 수요가 같거나 수요가 큰 경우에는 고용형태의 차이 가 없지만 선원의 공급이 선사의 수요보다 큰 경우에는 고용형태에 따른 차이 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원의 고용형태에 따른 선호도와 인식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고용형태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하고 장기승선 기피 등의 이유로 자발적 비정규직은 일정부분 존재할 것이다. 또한 장기승선 기피, 외국인 선원 고용이 한국선원의 일자리 위협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정책적인 지원과 선원의 자질향상 및 인권보호, 계층 간 완충역할을 위한 시스템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이 논문은 선원의 고용안정화를 위해 일자리 인식도 개선, 직업안정제 도 마련, 퇴직금 중간정산 제한문제에 대한 인식개선 및 선원고용연계를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7,800원
        698.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 내에서 사건사고는 점차 다양화되고 있고, 특히 아주 잦아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에 반해 이를 위한 조사와 증거수집을 통한 범죄의 입증과 처벌로의 연결은 그리 쉽지가 않다고 한다. 선박은 누구나 잘 알고 있듯이 아주 폐쇄적이고 누구에게나 쉽게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특 히 공해나 외국의 영해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는 그 어려움의 배가 된다. 이에 수사기관과 연구자들은 선박 내 CCTV설치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 바 있다. 게다가 최근 우리 사회는 외국인 선원의 무단이탈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많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무단이탈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법’ 위반 행위로 이어져 상당히 큰 사회보건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지침이 개정되기도 하였다. 선박관련 시설에 대한 보안과 범죄예방은 중요한 쟁점이 될 만하다. 국제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는 상당한 심각한 문제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는 단순히 국내에서 관리할 수 있는 항만시설의 보안에 치중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실시간 이동하고 있는 선박은 더 많은 분쟁이 존재하고 이러한 분쟁은 육상과 달리 쉽게 접근하고 문제의 해결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게다가 형사소송법상으로도 이러한 CCTV 영상은 육상에서의 경우보다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해석되고 있다. ‘범죄예방 및 수사를 위한 선박내에 CCTV 설치’는 필요한 변화라 생각한다.
        5,800원
        699.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해상운송을 위협하는 것으로는 종래의 군사적 위협과 같은 전통적 해양안보위협에 더하여, 해상테러리즘, 해적행위 및 해상무장강도, 대량살상무 기의 운송 등과 같은 비전통적인 해양안보의 위협과 마주하고 있으며, 특히, 해 적행위 및 해상무장강도는 자유로운 해양사용에 있어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해적행위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 제기구와 많은 국가들이 합동으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해적행위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기니만 연안에서는 해적행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기니만 연 안에서의 해적행위에 의해서 우리나라 국적선박과 국민이 피해를 입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해군은 소말리아 근해에서의 해적행위처럼 기니만 연안에서의 해적행위에 대해 별다른 대응을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 선박과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기니만 해적퇴치를 위하여 우리나라 해군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가 기니만 해적퇴치를 위한 활동이 소말리아 해역에 비해 소홀하다는 점을 인식하 고, 최근 창궐 중인 기니만 해역에서의 해적퇴치를 위한 우리나라 해군의 역할 을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8,000원
        700.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resents varieties of questions concerning not only international law, but also the domestic laws of states affected by this global pandemic. One of legal issues amid COVID-19 pandemic is the state immunity principle. There have been many lawsuits against foreign state challenging the state immunity principle amid the COVID-19 pandemic. In Thailand, the Chiangmai Provincial Court (court) addressed in its judgment that it did not have jurisdiction to adjudicate the compensation for COVID-19 pandemic’s damages dispute between Thai restaurant owner and the United States (US). Notwithstanding surrounding controversies over COVID-19 pandemic, the court considered the motion denied. The main implication of the judgment is that Thailand accepted state immunity principle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This research briefly explains the sovereign immunity doctrine relating to this case, summarizes the facts and analyses the potential ramifications of this judgement under international law.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