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79

        4622.
        199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茶)나무 삽목(揷木)시 삽수(揷穗)의 종류(種類), 상토(床土)의 종류(種類),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등이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시험(試驗)을 수행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지삽(熟枝揷)보다 녹지삽(綠枝揷)에서 발근율(發根率)이 양호(良好)하며 최적(最適) 삽목시기(揷木時期)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4월 10일경, 녹지삽(綠枝揷)의 경우 6월 10일경이었다. 2. 적정상토(適定床土)는 마사토(磨沙土)이며, 녹지삽(綠枝揷)과 숙지삽(熟枝揷)에서의 발근율(發根率)은 각각 71% , 87%였다. 3.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인 Oxyberon과 Rootone의 효과(效果)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4~9%의 발근율(發根率)을 향상(向上)시켰으나 녹지소(綠枝揷)에서 는 그 효과가 미미(微微)하였다.
        4624.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CBs have been measured using GC-ECD, GC-MS, GC-ELCD, HPLC, TLC, NMR and Immunoassay. The analysis of PCBs using GC- ECD include the peak pattern method as none derivatization and the perchlorination method as derivat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perchlorination method with SbCl_5 from PCBs to decachlorinated biphenyl(DCB). The aroclor 1242 of PCBs was chlorinated and then, converted into the DCB which showed a single peak in GC-ECD chromatogram. The detection limit of DCB was 2pg. The quantific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PCBs extracted with soxhlet was 0.5ng/g in the soil. PCBs were not detected in the suburban soil, but 174ng/g in the soil of industrial complex. Mean PCBs concentration of Shinchun stream at Kumho river and Jinchun stream at Nakdong river was calculated average 88ng/g in the sediment. PCBs concentration in the sediment of Kumho river near 2-7㎞ from conjunction with Nakdong river was average 154ng/g. PCBs concentration in the sediment of Nakdong river near conjunction with Kumho river was average 159ng/g.
        4625.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asonal changes and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of the Choonsan reservior were studied from November 1990 to October 1991. 195 taxa which belong to 65 genera, 150 species, 40 varieties and 1 forms were identified. Species number during summer monthe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easons.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ere varied from 7.8 × 10 exp (5) cells/ℓto 2.2 × 10 exp (6) cells/ℓ The dominant species were Cryptomonas erosa and Trachelomonas uolvocina. Chlorophyll a contents of phytoplankton was varied from 1.36 ㎍/ℓto 127.46 ㎍/ℓ. The biotic indices of phytoplankton were very similar among three sites. Saprobien-system by index of species diversity suggests that the Choonsan reservior belongs to the oligosaprophic.
        4626.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D(superoxide dismutase)는 유해 활성산소에 의한 생리적 장해를 방지하는 방어기작의 한 구성요소이다. 들깨잎 SOD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NBT(nitro blue tetrazolium) 환원법 을 이용하여 들깨와 자소잎의 SOD동위효소의 종류와 활성 및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Fe2+/ascorbate, Fe3+ -ADP/NADPH첨가제를 처리하여 조사하였다. 들깨잎에는 품종에 따라 3~4개의 주요 SOD동위효소가 있었다. SOD는 함유하고 있는 금속조효소에 따라 3종류로 분류되는데, 들깨잎에는 두개의 Cu/ZnSOD와 두개의 FeSOD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자소잎은 단지 Cu/ZnSOD만을 함유하고 있었다. Cu/ZnSOD는 들깨 품종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FeSOD는 분자량이 다른 두개의 FeSOD동위효소의 존재 양상이 품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SOD활성 및 항산화 활성도 품종에 따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비효소적인 Fe2+/ascorbate첨가 및 Fe3+ -ADP/NADPH첨가에 의해 유도된 지질 과산화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공시재료중 밀양 2호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소 잎의 경우는 SOD활성과 유사하게 항산화 활성 정도 가장 낮아서 들깨잎과는 뚜렷 이 구별되었다.
        4628.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60여종의 약용식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식물체의 부위 와 종류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얻었다. 1. 달맞이꽃종자, 컴프리잎, 지치뿌리에서 각각 총지방산함량의 9.1, 3,5, 7,2%의 GLA가 검출되었으며 달맞이 꽃종자가 컴프리잎이나 지치뿌리보다 GLA의 절대량이 많았다. 2. 들깨종자, 참깨종자, 호박종자등의 지방산이 양(量)과 불포화도면에서 좋은 자원임이 확인되었다. 3.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에서의 지방산조성은 종자의 경우에 비하여 18 : 3의 분포 비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18 : 0의 비율은 비교적 같게 나타났다.
        4631.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iew the major problems of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and attempts to find the direc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policies and strategies. Small amount of financial resources being mobilized, similar policies for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have been implemented sectionally by the respective sectoral goverment bodies. It has resulted in a lot of coulict and ineffectiveness in the process of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To rationalize the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there should be some change in the current practice of the project: integration of development efforts, consideration of regional situation and settlement system, and introduction of principles and criteria suitable for rural settlement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