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비추 'Blue Edge'는 돌연변이 유기용 화학물질인 EMS(ethyle methane sulfonate)용액을 이용하여 돌연변이개체를 유기하고 그 중에서 잎 가장자리에 진한 녹색무늬가 들어간 식물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한 품종이다. 2003년부터 3년간 특정검정을 실시하였는데, 'Blue Edge'는 잎가장자리에 진한 녹색무늬가 년 중 변함없이 균일하게 발현 되는 것이 특징이다. 잎의 무늬가 독특하여 분화 및 화단용 반음지성 지피식물로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신품종이다.
'Yellow Tiara'는 돌연변이 유기용 화학물질인 MMS(methyle methane sulfonate)용액을 이용하여 돌연변이 개체를 유기하고 그 중에서 연두색의 잎을 가진 식물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한 품종이다. 2004년부터 3년간 특정검정을 실시하였는데, 'Yellow Tiara'는 잎 전체가 순수한 연두색으로서 년 중 색상에 변함이 없고 특성이 균일하게 발현된다. 잎의 색상이 독특하고 분화 및 화단용 반음지성 지피식물로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신품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품종별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근경을 실험재료로 하여 total polyphenol 함량, 항균활성, 항균물질의 열안정성 및 pH안정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울금 품종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울금과 강황에서 보라울금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울금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균활성은 ethanol 추출물이 15.4~16.3 mm로 가장 강한 항균
본 논문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위험성 평가를 위하여 업무연속성계획(Business Continuity Planning)을 통해 초고층 건축물의 자연재난, 인적재난, 사회적재난 등의 재난시 업무연속성 확보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건축설계자와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요 위험요인과 의식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Risk Assessment를 통해 Risk 요인 분석, 취약성 분석, Risk 규명 및 척도를 통해 평가하고 상위 Risk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상위 Risk를 토대로 취약한 안전대책의 방안을 모색하고 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내 깔짚의 미생물 수 저감화를 통한 깔짚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하기 전의 깔짚에는 coliform, E. coli, Listeria spp., yeasts and molds 및 total aerobic bacteria가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사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미생물 수가 증가하였다. 500 ppm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살균처리에서는 coliform, E. c
햄버거 패티에 L. monocytogenes cocktail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후 UV-C 조사 처리에 따른 저장 중 미생물 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햄버거 패티에 접종된 L. monocytogenes의 초기 균수가 6-7 log CFU/mL가 되게 하였고, 사용된 UV-C 조사선량은 1, 5, 10 kJ/이었으며 조사된 시료는 에서 7일 동안 저장하였다. UV-C 조사는 L. monocytogenes 수에 있어서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계육 창상부위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동정하였다. 계육의 등과 다리 창상 부위로부터 무작위 선별법을 통해 총 10주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 배양된 균주의 세포막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5 균주가 높은 유효성을 지녔으며, Shigella sonnei, Proteus mirabilis, Escherichia coli로 동정되었다. 또한 16S rRNA sequence를 실시한 결과, 동정된 균주는 Shigella sonnei(
자몽종자추출물(GSE)이 다른 농도(0, 0.6, 1.0%)로 첨가된 젤라틴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의 물성과 딸기의 포장 효과를 각각 조사하였다. GS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젤라틴 필름의 신장률은 증가하였으나 인장강도는 대조구의 46.39 MPa에서 1.0% GSE 함유 젤라틴 필름 경우에 31.96 MPa로 감소하였고, 필름의 투습도는 GSE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GSE 1.0%가 함유된 젤라틴 필름은 E. coli O157:H
UV-C 조사가 고춧가루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변화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고춧가루에 UV-C 조사를 27, 54, 으로 처리한 후 에서 4 주간 저장하였다. UV-C 조사에 의해 고춧가루에 존재하는 오염된 미생물 수의 감소는 호기성 세균과 B. cereus에서 대조구 대비 각각 1.03, 0.90 log CFU/g 감소하였으며, 4주 저장기간 동안 초기 감균 효과를 유지하였다. UV-C 조사된 시료의 Hunter L, a, b 값
In this study, for mass cultivation and standardization of hydrangea, experimental result for types and concentration of growth regulator appropriate for cutting and rooting are as follow.
During the semi-hardwood and hardwood cuttings of hydrangea, in 100mg·L¹, 500mg·L¹, 1,000 mg·L¹ of each growth regulator NAA and IBA, when sudden soak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the hardwood cutting rather than the semi-hardwood cutting resulted better growth as well as significantly better to initial rooting. The treatment of IBA was better then NAA in the rooting, especially IBA was the rooting percent increased at 500mg·L¹and root growth was effective at 1,000 mg·L¹also. It is effective to root growth in NAA 1,000mg·L¹and percent of rooting increased under high 1,000 mg·L¹ and it was more effective and higher concentration.
The quality including in situ degradability in the rumen of Holstein of the black locust silage added with apple poma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mount of apple pomace added in different treatments were 0, 20, 40 and 60% respectively. With higher amount of addition of apple pomace in black locust, crude protein content in the silage decreased. Crude protein contents in the apple pomace added silage were in the range between 11.7 and 13.7%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16.3% of 100% black locust silage. The contents of ADF, NDF and crude ash were in the same trend as with crude protein, which were shown more clearly in the 40~60% addition of apple pomace. Moisture content of 100% black locust silage was 56.7% however it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levels of addition of apple pomace(67.1~73.8%). pH, lac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in 20~60% addition of apple pomace were 3.7~4.3, 1.3~2.2%, and 2.1~6.0% respectively, however in 100% black locust silage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except pH as 5.4, 0.6% and 1.0% respectively. In situ disappearance rates of dry matter and NDF in the ru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tages of incubation after 12h and 24h respectively in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quickly degradable fraction (a) in the disappearance rates of dry matter and NDF. In dry matter, however slowly degradable fractions (b) of 100% black locust and 60% addition of apple pomace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99.7 and 99.8% respectively than 37.7~50.5% of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On the contrary, fractional rate of disappearance (c) and effective degradability(E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as 0.0115~0.0149 and 30.4~31.9% respectively than the respective values of 0.0027 and 24.9% of 100% black locust. In NDF, b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pple pomace added silage(38.5~99.8%)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14.9%). However, C was significantly lower in apple pomace added silage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