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0

        873.
        199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역내의 수력 에너지자원과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통합혼합정수계획법(combined mixed integer proguamming)을 사용한 최적 발전기 운영계획 모형을 개발하였다. 통합혼합정수계획법 모형은 기왕에 개발된 혼합정수계획법 모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조건부 제약조건과 택일 제약조건들을 선형계획법 모형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수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미국 콜로라도강 하부유역에 통합혼합정수계획
        875.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릅나무과 식물 6종의 잎으로부터 2개의 공통적인 superoxide dismutase(SOD) isoenzyme이 구분되었다. 이들 공통적인 isoenzyme(SOD 4와 SOD 6)의 패턴은 오갈피속 식물 중에서 민가시오갈피나무(A. senticosus for. inermis) 잎에서 가장 다양하였고, 그 활성은 섬오갈피나무(A. koreanum) 잎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SOD 4와 SOD 6은 H2O2와 KCN에 의한 선택적 저해로부터 각각 Fe-SOD와 CuZn-SOD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SOD isoenzyme의 패턴은 섬오갈피나무의 성숙한 잎과 수피, 근피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그 활성은 조직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Fe-SOD는 근피에서, CuZn-SOD은 잎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CuZn-SOD나 Fe-SOD 모두 30-40℃에서 높은 활성 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활성이 저해되었다.
        876.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 농업용 댐에서의 소수력발전 사업은 기존 저수지로부터의 방류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전력의 추가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농업용 댐에서의 부존 수력발전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관개용수를 근거로 한 관개수량의 유황, 저수지 발전모의운영 및 비선형계획 모형을 적용하여 기존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부존 수력발전량을 추정하였다. 비선형계획법은 소요관개용수 제약조건아래 최대발전량을 찾는 것으로 하였다. 유입량과 관개용수량이 주어진 표본 저수지
        879.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경북 동·남부지역은 지형조건과 원래 부족한 수자원으로 용수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이다. 이와 같은 물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댐의 개발과 광역용수공급, 기존 용수공급 시스템의 조정, 오래된 댐의 개·증축 그리고 저류용댐의 건설 방안이 검토되었다. 새롭게 제시된 수자원 개발 대안의 평가는 수자원 시스템의 의사결정 도구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수학적 모형의 하나인 네트워크 최적화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용수공급 시스템이 2011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