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nadotropins added during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on the in vitro maturation(IVM), in vitro fertilization(IVF) and developmental potential of embryos. The follicular oocytes were cultured in TCM-199 medium containing different combination of gonadotropins(5g /ml FSR or 1OIU /ml PMSG and 1Og /ml LH or 1OIU /ml hCG), 10% FCS and 10% PFF for 36~48h in a incubator with 5% in Air at 39 and then matured oocytes were again cultured to 120h after IVF for 6~7h with heparin(100g /m')-treated sperm. When the oocytes were matured for 42brs in the medium containing FSH+LH, FSH+hCG, PMSG+LH or PMSG+hCG, the JVF rate of each treatment was 50.0%, 52.9%, 66.7% and 70.0%, respectively. The highest CEI (cumulus cell expansion index) was obtained from PMSG+hCG-added medium and the highest polyspermic penetration resulted from FSH+LH-added medium. The cleavage of IVF oocytes derived from hormone added IVM was significantly(P<0.05) promoted by PMSG+hCG and the cleavage rate after 36-h, 42-h and 48-h maturation aws 53.0%, 56.7% and 45.6%, respectively. The highest developmental potential resulted from the oocytes derived from PMSG+LH -added IV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in vitro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obtaining more porcine embryos from immature oocytes. These experiments were thu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oocytes type and maturation time on the in vitro maturation(IVM) and fertilization(IVF) of oocytes and the in vitro development (IVD)of IVF embryos. 1. The degree of oocyte maturation based on cumulus expansion index(GEI) did not differ for A- and B-typed oocytes but the index of oocyte type C was lower(P<0.05) than that of other oocyte types. 2. When the oocytes of type A and B were matured for 36, 42 and 48hrs, the G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36- and 42-h maturation but the GEl after 48hrs was greatly lower(P<0.05) than that of other maturation times. 3. The highest cleavage rate(48.6%) of IVF oocytes was obtained from A typed oocytes and 42-h maturation but the developmental potential based on cleavage index was the highest when B-typed oocytes were matured for 42hrs.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emulsified fire proofing agent for synthetic fibers, 2,3-dibromopropylmonoamido orthophosphate[DP-AOP] and bis(2,3-dibromopropyl)monoamidoorthophosphate[(DP)2AOP] were synthesized,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instrumental analysis, respectively. Using three kinds of emulsifiers, O/W emulsified fire proofing agents, DPF and DPDPF, were obtained corresponding to DP-AOP and (DP)2-AOP, respectively. Various synthetic textiles were fire-retardant treated by prepared DPF and DPDPF, and fire retardancy and tearing strength of the resulting products were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concentration of fire proofing agents increased, fire retardancy increased, but the tearing strength much decreased, where the tendencies of DPDPF were deeper than those of DPF. But, since the fire retardancy appeared favorable in the range of 10~20wt% of DPDPF, DPDPF is proven to be a fire proofing agent useful for various synthetic textiles.
The rate constants of hydrolysis of α-phenly-N-iso-propylnitrone and its derivatives have been determined by UV spectrophotometry at 25℃ and a rate equation which can be applied over a wide pH range was obtained. On the basis of rate equations derived and judging from the hydrolysis products obtained and general base and substituent effects, plausible mechanism of hydrolysis in various pH range have been proposed. Below pH 4.5, the hydrolysis was initiated by the protonation and followed by the addition of water to α-carbon. Above pH 10.0, the hydrolysis was proceeded by the addition of hydroxide ion to α-carbon. In the range of 4.5~10.0, the addition of water to nitrone was rate controlling step.
반복회수에 대한 하중-변형률 선도로부터 구산 잔류변형률의 비교 결과에서 피로하중하의 GFRP관의 강성은 GFRP관의 유리섬유의 적층수가 클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피로파괴 직전까지 나타났다. 아울러 본 피로실험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구한 S-N선도에 의하면 정적극한강도 백분율에 대한 피로강도는 GFRP관의 유리섬유 적층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유리섬유의 적층수가 15, 25, 35층인 GFRP관의 반복회수 200만회에 대한 피로강도는 정적극한강도는 각각 약 75.2%, 79.5%, 84.2%로 나타났다.
1. 포장재료에서는 기능성필름, 전자렌지, 조리식품의 포장쪽으로 다층복합필름, 중공성형용기, 완전분해성 플라스틱필름과 같은 새로운 무공해 신소재가 개발될 것이다. 2. 포장제품의 차별화로 인하여 다양성 추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노인층 증가, 젊은층의 유행 등으로 포장재료의 형태, 디자인의 패션화 등 목적에 따라 다양화 될 전망이다. 3. 환경보호를 위한 자원절약과 감량화 등이 규제에 따라 적정포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UR개방과 GR에 대비해 포장설계로 부터 폐기물에 이르기까지 자원절약형, 감량화, 대체품 개발, 가급적 포장재 단일화 성향으로 갈 것이다. 4. 생산기계에서 부터 포장기계 및 물류 등의 고속화 및 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개발될 것이다. 인건비 절감, 생산성 향상, 합리적 유통 구조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5. 포장기술의 다양한 연구개발과 응용이 이루어져야겠다. 국내의 식품포장 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기초연구에서 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식품의 무균화 및 무균포장기술, CA/MA포장기술, 물류관리를 위한 포장 표준화, 포장식품의 보관 수명 연구, 식품과 포장재료의 유해성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6. 국내 포장교육의 전문기관으로 학과설립의 확대가 이루어져 업체의 요구에 부응하여야 될 것이다.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gestion temperature on the settleability and dewaterability of anaerobically digested sludge. The digesters were operated at a hydraulic retention time of 20 days with a loading rate of 0.63~0.66kg volatile solids per cubic meter per day at the temperature of $35^{\circ}C$ and $55^{\circ}C$. A mixed primary and secondary municipal sludge was used as a feed. The interface height of the sludge during settling test was recorded to identify settleability. As a measure of dewaterability of the sludge, specific resistance and capillary suction time were also measured with and without chemical conditioning. Higher digestion efficiency was obtained at $55^{\circ}C$ than $35^{\circ}C$. However, the settleability and dewaterability of the sludge at $35^{\circ}C$ were quite higher than those of the sludge digested at $55^{\circ}C$. The optimum dosages of ferric chloride for sludge conditioning were 0.4% and 0.6% at $35^{\circ}C$ and $55^{\circ}C$, respectively. The filtrate COD of the sludge digested at $55^{\circ}C$ was higher than at $35^{\circ}C$, which means that poor dewaterability of the sludge result in high filtrate COD.
여러 온도에서 급냉 및 템퍼링시킨 SCM440강을 이용하여 결정입도와 조직의 변화가 초음파감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초음파감쇄는 주로 결정립에 의한 산란에 기인하였으며 감쇄계수는 결정립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나 템퍼링 시킨 조직의 경우 템퍼링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쇄계수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파수의 의존성은 직선적인 log-log 관계를 가지며 Roney의 식과 비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늘날 세계경제는 범세계화 시대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즉, 국별로 시장인 분리되어 있고 경쟁이 국지적 양상을 띠며 세계시장의 접근에 수출이 지배적인 수단으로 통용되던 초기의 국제화시대와 달리 세계시장이 통합되고 경쟁이 범세계화하며 생산의 국제화가 보편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범세계화시대에서 제기되는 중요한 질문은 기업과 국가간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할 것이며 국가의 입장에서 자국기업의 생산범세계화가 모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로 집약될 것이다. 첫번째 질문에 관하여 본고는 오늘날 기업과 국가, 세계간의 삼자관계는 더이상 국제경제론 이라는 기존의 준거틀에 의하여 분석될 수 없다는 점과 범세계화시대의 세계경제는 이제 경제학과 경영학의 공유분야(interface)로서 새로운 준거틀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본고는 그동안 발전해온 다국적기업론과 교환양식론, 메조산업체론을 기초로 다국적기업과 국가가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는 세계경제론이라는 새로운 준거틀을 세워보고자 시도할 것이다. 이렇게 세워진 세계경제론을 토대로 두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본고는 생산에서의 경쟁력 형태를 유형화할 것이다. 그동안 경쟁력에 관한 연구가 경쟁력의 원천과 시장에서의 형태에 집중되어 생산의 범세계화가 모국의 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에 적절하지 않았다. 본고는 생산에서 나타나는 경쟁력의 형태를 제품수명주기론을 기초로 제품기술과 공정기술, 마케팅기술로 구분함으로써 다국적기업이 어느 기술에 입각하여 국제생산을 수행하는가에 따라 모국 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것을 추론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다국적기업이 현지생산하는 제품의 경쟁력의 핵심원천이 제품기술과 마케팅기술일 경우 현지생산은 모국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지 않지만 공정기술일 경우 모국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킨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기업의 경쟁우위의 원천을 파악하고 이를 상호비교함으로써 우리기업의 경쟁우위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기업간에 경쟁우위상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t검증결과 일본기업의 Tobin`s q의 크기는 한국기업의 그것의 약2배에 달한다. 個別變數들을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한국기업의 경우에는 재무지표를 중시하는 것과 구성원들을 비용으로 취급하지 않고 자산으로 보는 것이 경쟁우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본기업의 경우에는 근로자의 제안을 경영에 잘 반영하며 상표를 중시하는 것이 일본기업의 경쟁우위에 정의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요인분석결과를 보면 한국과 일본기업은 공통적인 경쟁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일본기업들의 경우에는 환경분석과 부품업체와의 협력이라는 한국기업들이 일견 등한시 하는 경쟁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요인분석에서 추출된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사용한 회귀분석은 한국기업의 경우에는 직원들을 자산으로 보는 것이 경쟁우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일본기업의 경우에는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부품업자들과 협력 하는 것이 경쟁우위에 負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5종의 선충 천적 기새균 A. arthrobotryoudes, A. conoides, A. oligospora, D. lobata 그리고 F. oxysporum 을 이용해 온실에서 당근뿌리 혹선충 방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선충 천적 기생균을 처리했을 때 뿌리혹형성이 감소하였고 또한 고추생육이 증진되었다. 5가지 천적 진균 모두 4가지 접종원 농도로 처리했을 때 뿌리혹 형성을 무처리와 비교한 결과 현저히 감소되었다. 특히 F. oxysporum 처리구가 뿌리혹 감소 효과가 매우 높았다. 고추 지상부 생육은 A. arthrobotryoides, A. conotdes, A. oligospora, D. lobata and F. oxysporum 접종원을 고추 정식전처리했을 때 크게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무처리와 비교해서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온실 시험과 실내시험을 통하여 방제 효과가 우수하였던 D. lobata와 F. oxysporum을 선발하여 뿌리혹 선충의 밀도가 높은 포장에서 시험한 결과, 두가지 선충 천적 기생균 모두 접종원 농도 1 : 70, 1 : 100 에서 무처리에 비해 고추의 뿌리혹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때 고추 지상부 생육은 두처리 모두 온실 시험에서 보다 크게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