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기 사과의 페놀계 물질 변화를 살펴보고자 부사품종 사과의 methanol 추출물을 Sep-Pak으로 전처리하여 HPLC로 측정한 결과 4종의 phenolic acid와 (+)-catechin를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측정한 chlorogenic acid와 (±)-catechin을 비롯한 페놀계 물질들의 함량은 성숙과정 중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변화의 폭은 매우 완만하였다. 즉 발육과정 중 페놀계 물질이 감소하다가 어느 시기부터는 일정한 함량치를 나타냈다. 또한 총페놀함량은 Folin-Dennis법으로 측정하였는데 성숙초기에 약간 감소하였다가 그 후 함량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유지 중의 산화방지제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용매추출법과 SCD법으로 전처리하여 HPLC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SCD법의 최적조건은 florisil의 활성도와 UNITREX의 온도와 추출시간에 따른 회수율로 분석하였다. 식용유지에 산화방지제를 농도별로 가하여 용매추출법과 SCD법의 회수율을 비교한 결과 용매추출법은 80.4∼102.1%, SCD법은 89.8∼106.4%로 나타났다. Florisil의 활성화에 따르면 2% 수분 첨가시 TBHQ, BHA, BHT는 89.8∼106.4%로 회수율이 가장 높았고, PG는 5% 수분 첨가시 53.9±7.3%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율은 UNITREX의 210℃에서 20분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았다.
초록 (Abstract) Antithiamin activities of BHA, BHT, PG and TBHQ of synthetic antioxidant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was determined by means of HPLC. The influence of synthetic antioxidants on the degradation of thiamin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pH. The degradation of thiamin was considerably more rapid at pH 7 than pH 4. The influence on the heat of synthetic antioxidants at pH 4 and 38℃ was extremely slight, but the degradation of thiamin at pH 7 was much more rapid at 60℃ than at 38℃.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both PG and TBHQ at pH 7 and 60℃ nearly completely destroyed thiamin. Tests of antithiamin activities showed that TBHQ, which was decomposed completely in 72 hours, was more effective than PG at pH 7 and 38℃, but BHA and BHT hardly had antithiamin activities which was evaluated under various reactions of pH and temperature. Thiamin degradation, at pH 7 and 60℃,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PG. When the ratio of PG to thiamin was increased from 0.15:1 to 2:1, the degradation rate also increased. However, the change between ratio of 1:1 and 2:1 was negligible
Taheebo의 물 추출물 및 methanol 추출물이 위액분비 및 위염,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hay 기초위액 분비에 대하여 Taheebo methanol 추출물은 위액 분비량 감소, pH의 증가, 산도의 감소를 가져왔다. 2. 염산·aspirin 유발 위염에 대하여 Taheebo 물 추출물 1, 000㎎/㎏의 투여는 위점막 손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3. 염산·ethanol 유발 위염에 대하여 Taheebo 물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 모두 위손상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였고, 이는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4. Indomethacin으로 유발시킨 위궤양에 대하여는 Taheebo 물 추출물 1, 000mg/kg 투여시에만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5. 구속수침 스트레스 유발 위궤양에 대하여 Taheebo 물 추출물 및 m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궤양지수를 감소시켜 탁월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Taheebo는 흰쥐의 위염 및 위궤양에 유효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남 일부 농촌지역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도시락 영양섭취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녀고등학생의 평균신장은 각각 170.03±0.8㎝, 155.8±1.4㎝로 한국인 표준치의 98.8%, 97.4%였으며 평균체중은 남학생이 60.5±0.3㎏, 여학생이 48.5±0.7㎏으로 한국인 표준치의 96.0%, 89.8%를 나타냈다. 영양소 섭취실태에서 주식의 양은 남학생이 310g, 여학생이 277g이었고, 도시락에 지참한 부식의 수는 2가지가 54.1%로 가장 많았으며 부식의 종류는 총 40가지로 대부분 김치류와 볶음류였다. 다섯가지 기초식품군의 균형 잡힌 식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특히 고기, 생선, 계란, 콩류 및 우유·유제품이 부족하였다. 총 영양소 섭취량은 비타민 A, 비타민 C, 나이아신을 제외한 나머지 영양소는 권장량보다 훨씬 낮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량 섭취량의 구성비는 남학생의 경우 탄수화물 : 지방 : 단백질의 비율이 81.5 : 9.9 : 11.5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80.5 : 9.8 : 10.5였으며 총열량 섭취량 중 78.0%를 탄수화물로부터 섭취하고 있었다. 위의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농촌 지역 고등학생의 점심때 섭취하는 도시락의 전체적인 영양소 섭취량이 권장량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 특히 단백질 및 칼슘 섭취가 저조하였다. 따라서 학교에서 학교급식을 실시하여 우유로 칼슘의 양을 보충하며, 농촌 지역사회 여건의 이점을 살려 학교 나름대로 식품 생산 활동을 전개하면 급식 재원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식품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등학생들은 아침 결식이 보편화되고 그 결과 점심 도시락이나 간식을 통한 식품섭취의 의존도가 매우 높음^30)을 고려할 때 영양적으로 균형된 도시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어머니에 대한 영양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양파 가수분해물의 갈색화는 비효소적 갈색화로 양파에 존재하는 페놀성 물질이 관여하는 듯하므로 이를 확인하고자 여러 침지용매를 이용하여 페놀성 물질의 제거와 갈색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메탄올, 에탄올 등 용액에 양파를 2시간 침지 후 침지액에서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메탄올과 에탄올의 침지액에서 25.1㎎/ml과 24.9㎎/ml의 페놀성 물질이 제거되었으며, 420nm에서 흡광도는 0.26과 0.22로 물을 이용한 경우보다 높았다. 침지처리 후 제조한 양파 가수분해물의 L값은 메탄올과 에탄올 처리시 81.92와 75.96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적색도의 지표인 a값은 물로 침지한 경우 16.41로 높은 값을 보였다.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갈색화 억제 효과는 80% 이상의 농도를 가진 에탄올 처리시 많은 양의 페놀성 물질이 제거되었으며, 420nm에서 측정한 흡광도 역시 에탄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L값과 b값 역시 에탄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적색의 지표인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80% 에탄올에 2시간 침지처리하여 만든 양과 가수분해물과 갈색화 억제제로 알려진 시스테인을 0.1% 첨가한 양파 가수분해물의 갈색도를 비교한 결과, 에탄올 침지 처리한 후 제조한 양파 가수분해물의 갈색도가 현저히 낮았다.
옥수수기름의 탈취온도가 탈취유의 이화학적 항수, 지방산 조성 및 triglycer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정 탈취온도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40~270℃의 탈취온도에서 산값은 240℃ 처리군에서 0,07로 가장 낮았고, 250~270℃에서는 0.08~0.0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Lovibond total color는 255℃에서 가장 낮은 24였으며, 과산화물값은 240~270℃ 전구간에서 0을 나타내었으나 235℃에서는 0.42로 과산화물이 완전 제거되지 않아 240℃이상의 탈취온도가 요망되었다. 한편, 탈취온도가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stearic acid 등의 포화지방산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탈납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arachidic acid함량이 급속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탈취온도에 따라 TG조성도 변화를 보여 250℃ 이상 처리군에서는 S3형 TG가 발견되는등 고온탈취는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경기도 북부에서 재배한 개량머루로 포도주 양조법에 따라 머루주를 제조한 결과, 강한 산미 때문에 기호성이 다소 떨어졌다. 이를 개선할 목적으로 malo-lactic fermentation이 일어나도록 전발효 기간을 2주간 연장하거나 사과산 분해효소를 함유한 사과박을 첨가하거나, Schizosaccharomyces pombe를 포도주 효모와 혼합배양하여 malo-alcohol fermentation을 유도하여 머루주의 품질 성분 및 기호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세 처리구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총산도 및 사과산 함량이 낮아졌으며 그 중 사과박 첨가구는 각각 0.76 및 0.484%로 가장 낮아졌다. 색도(A520+A420)는 pink wine의 경우 8.21∼9.42, red wine 의 경우 20.92 로 현저히 높았다. 갈변도(A520/A420)는 1.36∼1.42 이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3, 300∼3, 800mg/ℓ였다. 관능검사 결과 원료 과즙에 사과박을 첨가하여 pink wine을 제조하면 기호성이 개선되었다.
경구면역 관용은 egg albumin 경구 투여 후 2차에 걸쳐서 EA + Alum를 복강 투여하여 유발시켰다. 인삼 엑기스가 경구면역관용 유발과정에 혈중 항 EA 항체, 비장 T cell subse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리식염수군은 면역관용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EA + Ext.는 면역관용이 5주 까지의 실험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 엑기스 단독에 의해서는 1차 면역응답에서 면역 관용의 유도가 장해되었으나, 2차 면역 이후에서는 면역관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장 T 세포 CD^+, CD 4^+ subset가 감소하였다. 이는 인삼 엑기스의 면역관용에는 T 세포의 분화 증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세포의 분화 억제에 의한 면역관용임을 추측케하고 있다.
1. 포장재료에서는 기능성필름, 전자렌지, 조리식품의 포장쪽으로 다층복합필름, 중공성형용기, 완전분해성 플라스틱필름과 같은 새로운 무공해 신소재가 개발될 것이다. 2. 포장제품의 차별화로 인하여 다양성 추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노인층 증가, 젊은층의 유행 등으로 포장재료의 형태, 디자인의 패션화 등 목적에 따라 다양화 될 전망이다. 3. 환경보호를 위한 자원절약과 감량화 등이 규제에 따라 적정포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UR개방과 GR에 대비해 포장설계로 부터 폐기물에 이르기까지 자원절약형, 감량화, 대체품 개발, 가급적 포장재 단일화 성향으로 갈 것이다. 4. 생산기계에서 부터 포장기계 및 물류 등의 고속화 및 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개발될 것이다. 인건비 절감, 생산성 향상, 합리적 유통 구조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5. 포장기술의 다양한 연구개발과 응용이 이루어져야겠다. 국내의 식품포장 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기초연구에서 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식품의 무균화 및 무균포장기술, CA/MA포장기술, 물류관리를 위한 포장 표준화, 포장식품의 보관 수명 연구, 식품과 포장재료의 유해성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6. 국내 포장교육의 전문기관으로 학과설립의 확대가 이루어져 업체의 요구에 부응하여야 될 것이다.
This investigation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of hempseed through gas -chromatography analysis found the follwing results. Myristic acid and other ten materials were detected. And there was mainly composed of myristic acid 29.4%, palmitoleic acid 16.2%, linoleic acid 14.9%, oleic acid 12.4%. It also showed that heptadecanoic acid 10.8%, erucic acid 0.5%, docosahexaenoic acid 0.3% and essential fatty acid were contained 17.9% between them. As stearic acid, docosahexaenoic acid,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made lower cholesterol level in body, they will help prevention of senile disease with the oil of hemp s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