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3

        325.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무용 전공 여대생의 신체상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무용전공학생의 무용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무용전공 여대생 300명을 대상으로 신체상과 자기효능감과 관련 질문지를 직접 배부한 후,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2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통계패키지인 SPSS V.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공(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에 따른 신체상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둘째, 신체상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 중 인지된 신체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에서 체중 및 건강관련 신체상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신체상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 중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에서 체중 및 건강관련 신체상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높은 신체상을 가진 학생들은 무용 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하고 자기효능감이 높아 자신감 생활을 할 수 있으므로, 높은 신체상은 무용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28.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inciple of rural village planning process based on rural resources, differently space planning process(regional planning, village planning, urban planning etc). The importance of this planning process is resources planning, facility planning, program planning. So we planed rural villages - two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planning wer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consider economic value of rural resources. Second, resources wer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village conditions, though same it. It is important to apply value-added it. Third, in future we have to additional studies; environment planning factor, community participation, resources evaluation in this planning.
        339.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의 보존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그 성분조성을 GC-MSD 분석에 의해 실험한 결과 박하 정유의 주된 성분은 isomenthol로서 전체 정유성분 중 25.84%, menthol이 25.48%이었으며 배초향 정유에는 estragole이 79.83%, limonene이 0.12%함유되어 있었다. 2, 5, 10 mg 농도에서도. E. coli O157 : H7 ATCC 43895에 대한 박하 정유의 생육저해환은 (9~14 mm), 배초향 정유는 (10~18 mm), S. typhimurium ATCC 7988에 대해서는 박하 정유가 (9~13 mm), 배초향 정유가 (13~20 mm으로 나타나 두 정유성분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생균수 측정 실험에서 박하 정유는 2 mg이하의 저농도에서 9시간까지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5 mg 이상의 농도에서는 9시간이후 E. coli O157 : H7 ATCC 43895와 S. typhimurium ATCC 7988을 모두 사멸시켰다. 배초향 정유는 2 mg이하의 농도에서 12시간까지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5 mg이상의 농도에서는 6시간이후 세균이 사멸되었다. E. coli O157 : H7 ATCC 43895에 대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 성분의 항균작용을 전자현미경 촬영에 의해 확인한 결과 형태학적인 변화와 세포막과 세포벽의 분리 및 세포내용물 유실이 관찰되어 두 정유성분의 항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