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

        42.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llite addition on the growth, bioactive components andvolatile compounds of leaf on Saururus chinensis Baill cultivation in greenhouse. Illite addition on Saururus chinensis Baillcultivation resulte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erial part. However, the root part was highest in 5% illite addition group.Crude oil and ash amount increased as illite additives was increased. Ca of inorganics and free sugars contents were highestin 5% and 20% illite addition, respectively. Hyperoside and isoquercetin of available component on leaf were highest in 5%illite addition group, 4.02㎎/g and 4.31㎎/g, respectively. The volatile compounds in Saururus chinensis Baill leaf culturedwith illite addition amounts were isolated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fiber (polydimethysiloxane 65㎛) and identifed bygas chromatogtaphy mass spectrometry. As the results, the 22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in Saururus chinen-sis Baill leaf and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the α-cadinol (18.50%), myristicin (16.46%), methyl-9-methyl-tetrade-canoate (10.22%), and γ-muurolene (9.75%). Especially, the content of α-cadinol was highest in 5% illite addition group andγ-muurolene on overall illite addition group was lower than no addition group.
        5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초액을 친환경 인삼재배에 이용하기 위하여 전엽기 이후인 6월 중순부터 지상부에 엽면시비로 살포하여 3년생 인삼 잎의 형태적특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초액을 처리하면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해면조직의 배열이 3층에서 4층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인삼 잎의 상표피와 하표피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엽육세포도 두꺼워지는 효과를 보였으며 지하부의 생육에도 영향을 미쳐 무처리에 비해 뿌리의 생육이 증진되었으며 인삼 뿌리의 수량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목초액의 혼합사용은 인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병해를 극복하여 인삼을 친환경재배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5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량’은 생리장해 저항성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1999년도 경기도 여주 농가 포장에서 수집해 2002년에 개체를 선발하 였고, 2003년부터 2006년까지 특성검정과 2007년도부터 2009년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음성1호’의 계 통명을 부여한 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수성이면서 염류저항성이 강한 품종으로 인정 되었고, 2011년에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규 등 재 품종으로 선정되어 ‘천량’으로 명명하였다. ‘천량’의 잎색 은 녹색이며, 소엽 가로 자른면의 모양이 볼록형으로 대조품 종인 ‘천풍’의 오목형과 비교된다. 줄기의 색깔은 전체가 연 두색이나 엽병 주위와 기부에 연한 자색을 나타낸다. ‘천량’ 의 열매색과 잎노화색은 적색을 나타내나 대조품종에서 등황 색, 황색을 나타내어 확연히 구분이 되었다. ‘천량’은 ‘천풍’ 보다 출아기는 2일, 개화기는 3일 그리고 과육성숙기는 5일 빨랐다. 4년생에서 ‘천량’의 경장은 41.3 cm로 ‘천풍’에 비해 짧았으며, 경직경은 6.4 cm로 ‘천풍’에 비해 더 굵었고, 엽장, 엽폭, 엽병장도 ‘천풍’보다 더 길었다. ‘천량’의 근장과 동체 장은 대조품종과 비슷하며, 동직경은 대조품종보다 5.3 mm 굵었고, 주당 생근중은 57.0 g으로 ‘천풍’보다 더 무거웠다. ‘천량’의 주당 열매수는 ‘천풍’보다 더 적게 맺혔으나 천립중 은 53.1 g으로 ‘천풍’보다 무거웠고 개갑률은 ‘천풍’보다 5.4% 높게 나타나 우량 묘삼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 다. ‘천량’의 수량은 생산력검정을 한 결과 평균 수량이 536 kg/10 a로 ‘천풍’보다 12% 증수되었다. ‘천량’은 모잘록병과 탄저병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점무늬병에서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역병과 뿌리썩음병은 거의 발생되 지 않았고 가루깍지벌레와 선충 등 충해에 대해서는 저항성 을 나타내었다. ‘천량’은 염류 과다로 발생되는 지상부의 황 증 현상과 지하부 적변삼 증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고 온에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어 천풍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인삼의 주요 성분인 ginsenoside 함량 중 total 함량은 22.18 mg/g으로 ‘천풍’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조사한 ginsenoside 8종류 중 Rb1과 Rf를 제외한 6종류의 함량은 ‘천량’이 높게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