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angea is widely grown as an ornamental plant with a high commercial value owing to its appealing features. Although many cultivars exist as genetic resources, they cannot be effectively used for breeding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regarding their genetic relationships and breeding compatibility. Intraspecific and intergeneric hybridizations within the family, Hydrangeaceae present opportunities to create cultivars with desirable traits, however, breeding efforts in Hydrangea through interspecific hybridization have achieved limited success. The low viability of interspecific hybrids may be attributed to cytogenetic incompatibility between the species. Therefore, a deeper cytogenetic understanding of this genus could enhance future breeding programs. This review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cytogenetic data in the breeding of hydrangeas and the different cytogenetic techniques utilized in this genus. Future directions for cytogenetic research in Hydrangea are also discussed.
Production technology trials for PARC’s new fodder oat cultivar (PARC-Oat) were conducted at the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NARC) under rain-fed conditions in Islamabad from 2021 to 2023. The effects of different fertilizer doses, planting densities (seed rates), and inter-row spacing on green fodder yield were studied. The experiment comprised four fertilizer doses of nitrogen and phosphorus (N:P) (55:30, 65:40, 75:50, and 85:60 kg/ha), four seed rate densities (30 kg/ac, 35 kg/ac, 40 kg/ac, and 45 kg/ac), and four inter-row spacings (15 cm, 30 cm, 45 cm, and 60 cm). Results based o n k ey p arameters a ffecting t he y ield of PARC-O at—namely plant height (cm), leaf area (cm²), leaves per tiller, number of tillers per plant, and green fodder yield (t/ha)—indicated that the maximum yield of 72.74 t/ha was observed with the fertilizer dose of 75:50 kg/ha (N:P). Similarly, a seed rate of 40 kg/ha produced optimal planting densities, resulting in the highest green fodder yield of 72.85 t/ha, while an inter-row spacing of 30 cm yielded the maximum green fodder yield of 74.30 t/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achieve maximum green fodder biomass of oats, best management practices should include the application of a fertilizer dose of 75:50 (N:P), a seed rate of 40 kg/ha, and an inter-row spacing of 30 cm.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회절격자가 광원의 깊이에 따라 회절영상을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중간 범위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방법 : 첫 번째로 회절격자 영상시스템을 기하광학적으로 분석합니다. 두 번째로 회절격자의 주기적인 결상특성 을 파동광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세 번째로 주기적인 함수사이의 콘볼루션 특성을 이용하여 깊이에 대응하는 공간주 기를 도출하였다. 네 번째로 1 m에서 4 m까지 1 m마다 타켓을 설치한후 회절격자, 카메라, 레이저로 구성된 회절 격자 영상시스템을 이용하여 회절영상을 획득하는 광학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섯 번째로 첫 번째 과정에서 세 번째 과정까지 수행한 이론적 분석을 네 번째 과정에서 획득된 회절영상에 적용하여 깊이측정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을 통해 시스템의 깊이해상도를 도출하였다. 결과 : 깊이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고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회절영상배열의 공간주기는 타겟물체 와 회절격자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그러나 그 증가하는 비율은 물체거리에 반비례하였다. 결론 : 회절격자의 특성을 응용한 깊이 측정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이론분석과 광학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에듀테크 시대에 접어들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학습 방식이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기반 애플리케이션 을 활용한 학습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 방식은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하며, 학습 효율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학 학습에서 모바일 기반 애플리 케이션 사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학습 효과, 학습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시 소재 S 대학교 자기공명영 상학을 수강한 2, 3학년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2024년 11월 24일부터 29일까지 수업 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퀴즈 활동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평균 점수는 4.58±0.66, 학습 효과는 4.61±0.62, 학습 만족도는 4.58±0.65로 나타났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활용 전후 비교 분석에서 인식 (활용 전 3.62±0.97, 활용 후 4.58±0.66), 학습 효과(활용 전 3.60±0.92, 활용 후 4.61±0.62), 학습 만족도(활용 전 3.64±0.93, 활용 후 4.58±0.6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자기공명영상학 교육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참여도, 이해도, 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기공명영상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도 애플리케이션 기반 학습이 유용한 교육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교육 및 임상 실습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기대된다.
Mauremys reevesii (Reeves’ turtle) is an endemic freshwater turtle species found throughout East Asia. Due to a rapid population decline,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and the Korean government have classified this species as Endangered (EN). The reported largest population size of M. reevesii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previously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0-30 individuals. Our study assessed the population size and structure of M. reevesii at Geumho Reservoir, Republic of Korea, using a capture-recapture data. A total of 433 M. reevesii were incidentally captured during a 35-week trapping proces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23. The sex ratio of the captured population exhibited a male bias of 1.3 : 1. Sexual size dimorphism was observed only in body weight. Individuals were recaptured up to 11 times during the study period, with males and females being recaptured at an average of 2.1±2.0 times and 1.5±0.9 times, respectively. The estimated population size of M. reevesii in Geumho Reservoir was approximately 891 turtles. The absence of notable sexual size dimorphism and significant sex ratio differences suggests that the population in this area may have been established relatively recently. Compared to previous records, the population in Geumho Reservoir represents the largest single population of M. reevesii, both within the Republic of Korea and globally.
생성형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은 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 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동향을 대규모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이 정치 및 공공 부문의 효율성과 서비스 최적화 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 싱가포르, 인도 등의 사례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도구가 선거의 확장성과 시민과의 상호작용 개선에 역할 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동시에, 대규모 언어모델의 실사용 과정에서 제기되는 편향성, 허위정보 확산, 규제 공백 등의 쟁점들을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 다. 요컨대, 생성형 인공지능은 민주주의 발전과 공공서비스 증진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기술의 지속 가능하고 적실한 활용을 위해 투명성, 공정성과 책임성을 고려한 사용이 요구된다.
자발적 지역 검토(VLR)는 도시 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현황을 자발적으로 점검하는 보고서이자 SDGs의 현지화 과정이다. VLR을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발전 리더십을 확인하고, 지방정부와 도시 구성원이 2030 의제 목표에 대한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가속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된다. 또한, VLR은 SDGs 인식을 제고하고, 파트너십을 활성화하며 지역 차원의 행동을 촉진하여 도시가 사회・경제・환경 발전을 위한 일관된 미래 비전을 제시하도록 돕는다. 나아가 도시 민주주의 전략을 글로 벌 의제와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VLR의 성공적 정착과 확산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VLR의 개념, 역사, 주요 논의, 효과 및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도시 민주주의와 이를 위한 다단계 거버넌스 및 SDGs 확산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 VLR 적용 과정에서 예상되는 과제를 제시하며, 한국적 VLR 운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실질적 적용을 촉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한국형 미네르바 대학의 출현이 왜 어려운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 방향을 검토하였다. 미네르바 대학은 스타트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립되었으며, 고등
교육의 기존 틀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사례로 평가된다. 미네르바 대학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정보통신
기술(ICT)을 활용한 100% 온라인 강의와 전 세계 7개국에 걸친 이동 학습이다. 또한 학생의 성공을 위한
실용적 지식 전달을 목표로 하는 독창적인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한국형 미네르바 대학의 출현은 현행 우리나라 고등교육 법제의 제약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대학
설립 운영·규정, 고등교육법, 사립학교법 등의 규제가 주요 장애물로 작용한다. 이러한 혁신적 시도가 제도
밖 실험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헌법을 중심으로 한 법제도적 환경이 보다 우호적으로 조성될 필요가 있다.
역사적으로 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반빈곤 정책은 전통적인 빈민 구호 방식에서 인적 자본 형성과 경제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투자 전략으로 전 환되어 왔다. 미국의 개인발달계좌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s, IDAs) 의 경우, 저소득층이 발달적 목표를 위한 자산을 축적하도록 장려 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적 안정을 달성하도록 설계된 대표적 인 자산형성 프로그램이다. 한국에서도 2010년부터 저소득층을 위한 자 산형성지원사업을 도입하였으나 프로그램의 주된 목표는 탈수급을 유도 하는 것이어서, 사회투자 전략에 기반한 장기적인 발달 목표를 지원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빈곤층을 위한 자산형성 개념을 재 조명하고, 한국의 자산형성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저소득 층을 위한 개인발달계좌의 원형적 시범 사업인 아메리칸 드림 시범사업 (American Dream Demonstration, ADD) 프로젝트를 주요 사례로 분 석하였다. 이를 위해 David Gil의 정책분석 틀을 적용하였고, ADD의 주 요 쟁점, 가치 전제, 제도적 메커니즘, 주요 성과와 시사점, 상호작용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한국의 자산형성지원사업이 ADD에 내재된 사회투자 개념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목적 선박(MPV)의 공기역학적 구조물 설계, 분석 및 향상을 통해 그린 워터 압력에 의한 구조적 안전을 보장하고, 탈탄소화 및 에너지 효율성에 이바지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유한 요소 분석(FEA)을 통한 초기 평가에서 좌굴 발생에 대한 잠재적인 취약점 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재(Carling stiffener)와 두께 증가를 통하여 응력을 재분배하고 국부적인 좌굴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하였다. 보강 후 분석 결과, 한국선급(KR)의 안전 기준인 항복 강도, 미국 선급(ABS) 좌굴 강도 및 노르웨이 표준(NORSOK) 변 위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고유치 좌굴 해석 결과가 안전 기준을 초과하고 최대 변위가 허용 한계 내에 있는 등 중요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선은 극한의 해양 조건에서 운영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공기역학적 항력 감소와 구조적 안전성의 이중적인 이점을 강조하며, 국제 해사 기구(IMO)의 2050 탈탄소화 목표에 부합하는 연료 효율성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이바지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다양한 선박 유형에 걸쳐 항력 감소 기술을 확장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지속 가능하고 탄력적인 해양 운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는 구조적 안전 평가를 가속할 수 있는 단순화된 모델링 기술 개발에 집중할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높은 감도, 빠른 응답 및 쉬운 제작 공정을 갖춘 습도 센서가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서는 PET 기판의 깍지낀 전극(IDE)에 감지 층을 증착하여 길이 대 직경의 종횡비가 낮고 (PVP-ZnO-1), 높은(PVP-ZnO-2) PVP 개질 ZnO 나노막대 센서(PVP-ZnO)의 쉬운 제작 공정을 보고 한다. PVP-ZnO-2는 PVP-ZnO-1 센서(41,647%)에 비해 85% 상대 습도(RH)에서 99,397%의 더 높은 정전용량성 습도 감도를 보였다. PVP-ZnO-2 센서는 또한 순환 습도 조건에서 응답시간 7초 및 복구시간 10초를 나타냈다. PVP-ZnO-2의 높은 습도 감도 성능의 이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호흡 정도의 정전용량 변화와 모스 부호 메시징을 시연하였다. 이 연구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고성능 나노소재 기반 습도 센서의 엄청난 잠재력을 보여준다.
We determined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Erpobdella sp. isolated in Korea. The circular mitochondrial genome of Erpobdella sp. is 15,469 bp long, which is longer than other thre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of Erpobdella species. It includes 13 protein-coding genes, two ribosomal RNA genes, and 22 transfer RNAs. Its GC ratio is 30.2%. Phylogenetic trees show that our mitochondrial genome is clustered in Erpobdellidae clade.
리튬이온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저장 효율과 환경 지속 가능성으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PU 기반 리튬이온배터리에 사용되는 기존의 고분자 (polyurethane, PU) 바인더는 높은 유연성과 기 계적 강도를 제공하여 전극의 부피 변화를 감소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이와같 은 고분자 계열의 바인더는 전기전도도가 낮고 생산 및 폐기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분자계 바인더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고분자계 바인더로 많이 사용되는 PU 기 반 리튬이온배터리에 비해 향상된 전기화학적 성능과 안정성을 가진 새로운 바인더로서 석유계 피치 (SM260)/고분자 (polyurethane, PU) 복합소재 기반 바인더를 개발하였다. 특히, PU 바인더가 적용된 리튬 이온배터리는 100 사이클 후 가역 용량이 80 mAh/g으로, 초기 용량의 25%의 용량 유지율을 나타낸 반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석유계 피치 (SM260)/고분자 (polyurethane, PU) 복합소재 복합 바인더가 적용된 리 튬이온배터리는 100 사이클 후 가역용량이 208 mAh/g으로 유지되고, 초기 용량의 68% 용량 유지율을 나 타내었다.
Endosymbionts of the genus Buchnera, which belong to γ-Proteobacteria, reside in specialized cells known as bacteriocytes. In this announcement, we present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uchnera aphidicola (Aphis gossypii) isolated from Aphis gossypii with Plantago asiatica. The genome spans 628,098 base pairs and has a GC content of 25.4%. A total of 589 CDs, 32 tRNAs, and 3 rRNAs were predicted. Interestingly, the evolutionary rate of the endosymbiont's genome, inferred from intraspecific variations, may be slower than that of the host's mitochondrial genome.
This study examines the volatilization of alkali elements on the surfaces of ceramic targets and in the deposited films during the deposition of potassium sodium niobate (KNN) thin films using a ceramic target with the nominal composition K0.55Na0.55NbO3 via a RF magnetron sputtering process. Under a 100 W RF power condition, significant volatilization of alkali element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target, resulting in the inevitable formation of a Nb-rich secondary phase in the thin films. However, perovskite-phase KNN thin films with excellent reproducibility and without secondary phases were obtained under 50 W RF power and a substrate temperature of 600 °C. When the RF power was reduced to 20 W or the substrate temperature was lowered to 500 °C under 50 W RF power, no crystalline thin films could be obtained. Additionally, when the substrate temperature was raised to 700 °C under 50 W RF power, the niobium-rich secondary phase appeared in the thin films due to the volatilization of alkali elements. The conditions of 50 W RF power and a substrate temperature of 600 °C were found to be optimal for depositing perovskite-phase KNN thin films. However, complete suppression of potassium volatilization from the thin films was not achievable. Consequently, the resulting films had a sodium-rich composition compared to K0.5Na0.5NbO3 and exhibited lower dielectric constants along with relaxor ferroelectr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the compositional changes in ceramic targets during the RF sputtering process to ensure high reproducibility in KNN thin film fabrication.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효모 유래 MPC의 세포 생리활성을 조사하였 다. 피부 세포주에 처리된 Cu와 Zn 이온 모두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지만, 정제된 MPC는 결합된 금속 이온의 세포 독성을 획기적으로 제거하였다. 게다가 특정 농도의 MPC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 율을 오히려 약 20% 증가시켰다. MPC 중 효모 펩타이드-Cu(YP-Cu)는 UVB 자극으로 유도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양을 약 30%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 YP-Zn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YP-Cu 처리는 피부 세포에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을 2배 증가시켰고, 프로콜라겐 분비량은 1.7배 증 가시켰으며, UVB 자극에 의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저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결론적으로, 유리 금속 이온 자체는 세포독성 효과로 인해 화장품 소재에 적합하지 않지만, 정제된 MPC, 특히 YP-Cu는 이러한 금속 이온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상쇄하고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UVB 자극에 따 른 유해 효과를 완화하기 때문에 잠재적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reclaiming Mo from calcined waste hydrotreating (CWHT) catalysts using tributyl phosphate (TBP) as an extractant with electron-withdrawing properties.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technology,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for Mo recovery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metal ion content in different processes. Considering the pH impact on metal species in solution, an acid leaching solution with 6 M sulfuric acid was employed. After 3 h of reaction, 94 wt% of the Mo was transferred from the WHT catalyst to the acid leaching solution. Adjusting the filtrate to a pH of 1.5 allowed the TBP to selectively extract over 98.8 wt% of Mo from the aqueous filter solution into the organic phase. MC-Cabe-Thiele theory predicts that a three-stage countercurrent extraction can reduce Mo to less than 0.2 wt%. Stripping moved approximately 98 wt% of the Mo from the organic to the inorganic phases. The recovered colorless organic tributyl phosphate can be used in the recycled extraction process.
본 연구는 중국상업은행을 대상으로 COVID-19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 변수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표본을 대상으로 맘퀴스트지수 (Malmquist index) 생산성 분석을 실시하여 COVID-19 전후 생산성이 모두 양호했던과 모두 불량했던 그룹 으로 구분한 후, 각 그룹별로 패널 (panel) 분석을 수행하여 수익성 결정요인을 비교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OVID-19 전후 지속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한 중국상업은행 은 자산건전성이 높을수록, 수지비율이 낮을수록, 규모가 작을수록 그리고 이자수익이 높을수록 수 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여 COVID-19를 극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두 그룹 간 생산 성변화 차이가 은행의 경영자원 배분과 경영특성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향후 중국상업은행은 수 익구조 개선,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디지털전환에 대한 적극 대응을 해나가야만 지속가능한 성장 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X-ray diffraction is widely used as a non-destructive method for measuring residual stress in crystalline materials, and is particularly useful as a technique for controlling residual stress that has been introduced during the heat treatment 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s. Neutron stress measurement is gaining attention as an internal material measurement method. It complements the demerits of the X-ray method in that it measures stress in a very thin surface layer. The neutron stress measurement method, like the X-ray method,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rystal diffraction, and its penetration depth is about 1,000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X-ray method and is suitable for measuring the inside of a materi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idual stress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in2ψ method using shot-peened mechanical structural carbon steel. The non-destructive measurement using high-energy X-rays was compared with the residual stress measured using conventional laboratory X-ray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high intensity diffraction angles using highenergy X-rays are low, but can be measured with sufficient precision. Interpreting the three diffractions 633, 552, and 721 as a single diffraction profile allowed stress measurements to be made, and the calculated value was close to the weighted average of the intensity ratios. The results of the high-energy X-ray residual stress measuremen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s from laboratory X-rays, confirming the usefulness of this method as a non-destructive method of assessing stress deep inside materials.
This study explores trends in skincare products for pregnant women using text mining to analyze consumer preferences for safety and functiona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Naver blogs, cafes, and Facebook between September 2023 and August 2024 and processed using the Textom platform. Through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50 significant keywords were selected, and centrality measurements such as degree and eigenvector centrality were applied to assess keyword importance. CONCOR analysis categorized these keywords into structural equivalence groups, revealing key consumer priorities, including ingredient safety, moisturizing properties, and product recommendat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growing demand for dual-purpose skincare products suitable for both pregnant women and infants, as well as the increasing influence of consumer reviews in product selection. Academically,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effectiveness of text mining in understanding niche consumer markets. However, the study's reliance on specific online platforms presents a limitation, as it may not fully represent broader consumer preference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diverse data sources and quantitative analyses to further validate product efficacy and consumer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