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quality diamond films have attracted extensive attentions due to their excellent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However, several issues, such as random orientation, stress accumulation, and slow growth rate, severely limit its applications. In this paper, high-quality polycrystalline diamond films with highly ordered (100) orientation were prepared by microwave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effects of growth parameters on the microstructure, quality and residual stress of diamond films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t low methane concentration will promote the formation of (100) oriented grains with a low compressive stress. Optimized growth parameters, a methane concentration of 2% along with a pressure of 250 Torr and temperature at 1050 ℃, were used to acquire high growth rate of 7.9 μm/h and narrow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Raman peak of 5.5 cm− 1 revealing a high crystal quality. It demonstrates a promising method for rapid growth of high-quality polycrystalline diamond films with (100) orientation, which is vital for improving the diamond related applications at low cost.
Despite its profound impact on athletic performance, the significance of heart rate recovery (HRR) has been insufficiently addressed in the filed of sports scienc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weightlifting characterized by brief and intense exertions involving heavy weights. Serving as a valuable indicator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cardiovascular function, HRR assumes a pivotal role in weightlifting. This comprehensive review aims to delineate the specific demands for HRR in weightlifting, shedding light on the often overlooked cardiovascular considerations within training regimes focused on strength and power. The investigation scrutinizes the repercussions of HRR on weightlifting performance, seeking to elucidate how inadequate recovery intervals may result i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These consequences encompass a distorted perception of effort, disruption of coordination, compromised posture due to irregular breathing, and an overall decline in lifting capacity. The review systematically presents compelling evidence pertaining to heart rate response and recovery patterns during weightlifting, underscoring the critical importance of well-structured rest periods. Furthermore, the review delves into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factors influencing HRR in weightlifting, encompassing variables such as sex, age, cardiovascular function, hydration, nutrition, and psychological aspects. Finally, a key emphasis is placed on the integration of effective HRR techniques into the training regimens of weightlifters, thereby ensuring sustained and optimized performance outcomes.
Laurencia is a red algal genus that was described by J.V. Lamouroux in 1813.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genus have been known as the presence of four pericentral cells in an axial segment, secondary pit connections between adjacent epidermal cells, and the presence of corps en cerise in both epidermal and trichoblast cells. Additionally, the tetrasporangia are arranged in a parallel manner, and male branches feature terminal cup-shaped spermatangial pits. Currently, sixteen Korean Laurencia species have been report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Laurencia decussata and L. pacifica have been added as new records to the Korean algal flora based on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molecular analyses of rbcL sequences. Laurencia decussata has expanded from Australia and New Zealand to Korea, while the distribution of L. pacifica has expanded from USA and Mexico to Korea.
충청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21년에 개발된 ‘Pinky Lang’은 분홍색 홑꽃 타입의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 이다. ‘Pinky Lang’은 2016년 10월에 육종 하우스 내에서 2016년에 순백색의 진한 녹심이 매력적인 품종으로써 선발 된 백색 홑꽃의 ‘Bodre’ 품종을 방임 수분하여 48개의 종자 를 채취했다. 채취한 종자를 2017년 파종한 뒤 우수개체로 선발되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촉성, 억제, 자연개 화 작형별 주년생산성 검정을 수행하여 선발된 우수계통을 ‘SP17-425-01’이라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20년 최종적으 로 우수한 계통으로써 평가 및 심의를 받은 뒤 ‘충남SP-68 호’로 명명하였고, 당해 년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 회를 통과하여 품종명은 ‘Pinky Lang’으로 하였다. ‘Pinky Lang’은 고온기에 화색이 변하지 않고 녹심이 매우 진하며 줄 기가 튼튼한 품종이다. 여름철 흰녹병에도 강하여 고온기 수출 품종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Pinky Lang’은 연중 3 작기 재배테스트에서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수는 자연개화 작형 52일, 촉성작형 49일, 억제작형 50일이었고, ‘Yes Luna’ 는 각각 51일, 52일, 52일로 전반적으로 개화소요일수가 짧 았다. ‘Pinky Lang’의 절화장과 줄기굵기는 각각 104.5cm, 4.71mm으로 ‘Yes Luna’가 109.5cm, 4.25mm인 것에 비 해 5cm정도 짧았고 줄기굵기는 0.46mm 더 굵었다. ‘Pinky Lang’의 꽃 크기는 5.6cm이고 ‘Yes Luna’는 6.8cm로 1.2cm 작았다. ‘Pinky Lang’의 한 줄기에 달리는 꽃의 수와 한 송이 당 꽃잎수는 각각 27.7개, 30.9매였고, ‘Yes Luna’ 는 각각 18.0개, 37.0매인 것으로 착화수는 9.7개 많았고 꽃 잎수는 6.1매 적었다. 여름철 재배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본 결 과 흰녹병 저항성이 높은 경향을 확인하지만, 1~10% 정도의 병반을 보여 완전저항성을 가지진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개화 작형에서 절화수명의 경우는 24.5일로 ‘Yes Luna’ 에 비해 2.1일 길었다. ‘Pinky Lang’은 과습한 경우 줄기가 연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생장억제제인 Daminozide를 처리 하여 줄기를 강건하게 하고 절화 품질의 균일도를 높여 고온 기 재배에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여 수출할 수 있다.
프리지아 ‘Ruby Star’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에서 보라색 홑꽃 ‘Avilla’와 흰색 반겹꽃 ‘Medeo’를 2012년 교배하여 얻은 종자로부터 2006년 향이 좋고 개화기가 빠른 적색 홑꽃 계통을 선발하여 품종으로 개발되었다. 2014년부 터 2017년까지 생육·개화 특성검정 및 육성계통평가회의 기 호도 평가를 거쳐 선발되었으며 2018년 직무육성품종심의회 를 통해 ‘Ruby Star’로 명명되어 2021년 신품종으로 등록되 었다. ‘Ruby Star’는 빨간색(RHS, R45A) 홑꽃인 절화용 프리 지아 품종으로 개화소요일수가 118.0일이며 초장이 120.5cm 로 대조품종 ‘Rapid Red’보다 약 28.7cm 더 길다. 주당 분 지수는 5.8개로 대조품종에 비해 수확량이 많고 첫번째 분지 의 길이가 32.0cm, 두께가 3.02mm로 절화 특성이 우수하 다. ‘Ruby Star’의 소화수 및 소화폭은 각각 14.8개, 6.3cm 로 소화수가 많은 중대형화이다. 절화수명은 약 8.4일이며 주 당 자구수는 3.8개, 평균 자구중은 2.9g이다. 전자코를 이용 한 PCA 분석 결과 PC1과 PC2의 설명력은 각각 97.9%, 1.8%로 전체 변이의 99.7%를 반영했으며 ‘Ruby Star’와 대 조품종 ‘Rapid Red’는 서로 다른 향기 패턴을 보였다. Radar plot 결과 총 6개의 MOS 센서에서 ‘Ruby Star’의 센서 반응 이 ‘Rapid Red’보다 강하게 나타나 ‘Ruby Star’의 향기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21년 분홍색계 소 형 호접란 ‘Arihong’을 육성하였다. 2014년 밝은 분홍색 소형 품종 Phalaenopsis ‘Wedding’와 백색 바탕에 분홍빛을 가지는 소형종 P. ‘[{KT1398-1×(KM-6)-4}×Chiangbeauty-88]-23’ 를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2018년 실생 120개체 중 잎자세, 화색, 화형, 꽃대수 등 특성이 우수한 ‘14104-1’ 개체를 선발하여 기내 화경배양을 통해 증식하였다. 2018년부터 2021년에까지 1차, 2차특성검정을 통해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한 후 ‘Arihong’로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백색(WG155B) 바탕에 중앙 에는 보라빛 분홍색(PVG80B)을 띄며, 진한 자주색(PG78A) 순판 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꽃대가 2대씩 발생하고 꽃대 길이는 평균 42.1cm 소형 분화로 적절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평피기 형태의 꽃은 길이와 폭이 각각 5.1, 5.7cm이며, 분지가 발생하여 1개의 꽃대에 13.0개의 소화가 착생한다. ‘Arihong’의 잎은 수평으로 자라며 길이와 폭이 각각 13.0cm, 4.9cm였다. 또한 초세가 우수하고 생육 속도가 빨라 엽수 확보가 용이한 특성을 보였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21년 화색이 연황 색이며 화심이 녹색인 미니 절화용 거베라 품종 ‘크림쿠키’ (Cream Cookie)를 육성하였다. ‘크림쿠키’ 품종은 2014년 황색 미니 ‘Sun City’를 모본으로, 백색 미니 ‘Blandy’를 부 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육성된 품종이다. 2021년까지 생육 및 개화 특성검정과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크림 쿠키’의 생육 및 개화특성을 대조품종인 ‘Sun City’와 비교하 였다. ‘크림쿠키’는 연황색(RHS 4C) 꽃잎과 녹색 화심을 가진 반겹꽃 거베라 품종이다. 화폭이 7.1cm인 작은 꽃이며, 화경 장은 58.9cm였다. 화경 직경은 상부 0.4cm, 하부 0.7cm 였 다. 외부설상화의 길이는 2.8cm이며 폭은 0.8cm였다. 개화 소요일수는 65.7일로 ‘Sun City’에 비하여 18.8일 빨랐으며, 첫 개화시 엽수는 22.4매였다. 연간 주당 절화수량은 102.3 본으로 ‘Sun City’의 82.0본에 비하여 20.3본이 많았다. 절 화수명은 17.8일로 ‘Sun City’보다 4.1일 더 길었다. ‘크림쿠 키’는 화폭이 7.1cm의 미니 품종으로 연간 주당 100본 이상 절화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수확 후 꽃 캡 씌우기, 꽃목 보강 등 추가적인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비 절감이 가능하므 로 농가보급 확대가 기대된다.
Myanmar's soil is diverse in terms of climate and topography, including the central dry zone, hilly and upland areas, deltas, and coastal zones. As a result, crops such as rice, sesame, groundnuts, green gram, and maize are grown as major crops. Some soils are difficult to cultivate due to topographic constraints and permanent forests. Soil fertilit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data, classification, and a soil survey, a soil map was made by the Land Use Division of Myanmar Agriculture Service. Myanmar's soil was classified into 24 soils according to the WRB classification by FAO/UNESCO, and soil maps were produced at the national level and for each of the 14 states and divisions. This study sought to contribute to efficient land use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in Myanmar by understanding Myanmar's agricultural conditions and soil types.
이 연구는 1세대 스마트 온실의 재배환경 데이터와 장미 절 화의 품질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요인들 간의 상관 관계 를 분석하여 절화수명 예측 및 최적 환경 조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토경재배(SC) 및 암면배지경 양액재배(RWH) 하우스 각 1개소를 선정하여 1년간 기온, 상 대습도(RH) 및 수증기압차(VPD), 일적산광량(DLI), 근권온도 등의 환경 데이터와 매월 말 수확된 장미 ‘Miss Holland’ 절 화의 품질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 데이터와 절화수 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절화수명은 10월과 11월을 제외하고는 SC 하우스에서 RWH 하우스보다 더 길었다. 절 화수명과 환경 및 생육 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SC 하우 스의 상관계수는 RWH 하우스보다 조금 더 높았으며, 절화수 명 예측을 위한 요소들도 두 하우스 간에 차이가 있었다. SC 하우스의 절화수명 Y=0.848X1+0.366X2-0.591X3+2.224X4- 0.171X5+0.47X6+0.321X7+9.836X8-110.219(X1-X8: 최고 RH, RH 일교차, DLI, pH, Hunter’s b value, EC, 절화 장, 잎 두께; R2=0.544)로 예측되었고, RWH 하우스의 절화수명 Y=-1.291X1+52.026X2-0.094X3+0.448X4-3.84X5+0.624X6 - 8.528X7+28.45(X1-X7: 경경, 야간 VPD, 최고 근권온도, 최 저 근권온도, 기온 일교차, RH 일교차, 최고 VPD; R2=0.5243) 로 예측되었다. 이 두 모델식으로부터 SC 하우스에서는 RH, EC 및 pH가, 그리고 RWH 하우스에서는 근권 온도가 절화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재배 방법에 따라 장미의 절화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Water deer and sika deer, which breed in the wild environment, are known to have similar reproductive physiology mechanism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uterine development between water deer and sika deer during estrus. Methods: MMPs and uterine development-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were compared in the uterus of sika deer captured near Russia near Korea and water deer captured in the wild in Korea. Results: In terms of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he uterus, the glands that form villus within the endometrium of the water deer were newly developed, and the formation of small glands was high, but the villus and glands of the sika deer were expanded, and the stroma zone in the myometriu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deer. Development has increased. Additionally, the expression of PAPP-A and VEGF factors was increased in the endometrium of water deer than in sika deer, but the actions of MMPs were increased in sika deer.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glands in the endometrium of water deer and sika deer during estrus, and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uterus due to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estrus between water deer and sika deer. Additionally,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timing at which pregnancy can be decided.
본 연구는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 인식,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 본 플랫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 하여 국내 화훼 장식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 였다. 연구 결과 화훼 장식 종사자의 99%가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제 이용 경험 역시 68% 로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기간은 1~2년이 46.5%로 가장 많았으며 월평균 구매 횟수는 6~15회가 과반 을 차지하였고,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의 1회 기준 소비 금 액은 15만 원 미만이 62.4%로 나타났으나, 오프라인 절화 도 매시장의 사용 빈도 및 소비 금액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화훼 장식 종사자들은 절화의 품질(4.85) 및 상품 의 다양성(4.75)이 절화 구매 시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이었 으며,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서의 상품 구매 시 과거 구매 경험(3.97)과 상품의 사진(3.87)을 보고 절화 품질을 판단하 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시간을 절약(4.39)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상품 구매 시 불안 요인으로는 절화 신선도(4.30)와 품질(4.02)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해 이용자들은 주 문한 상품과 배송 상품이 일치(4.19)하며, 사용하기 쉬운 페이 지로 구성(4.03)되어 있어 구매 과정(4.00)이 편리하다고 응 답하였으나, 상품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보통 이하로 낮 게 나타났다.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과 오프라인 절화 도매 시장에서의 절화 구매 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서는 가격과 반품 처리에 있어 오프라인에 비해 강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가장 중요한 절화 구매 결정 요인인 절화 신선도와 상품 다양성에 있어서 오프라인 절화 도매시장 에 비해 부족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 폼의 발전을 위해서는 절화 상품 품질 향상 및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며 국내 화훼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위하여 새 로운 화훼 시장 형태에 대한 다양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된다.
Background: This study helps to evaluate the Ovarian potential of Cameroonian Zebu cattle (Bos indicus) slaughtered in Etoudi – Yaoundé for implement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ARTs). The aim was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the cattle sub-sector in Cameroon while conserving local genetic resources. Methods: A total of 144 cows, including 94 cycled cows and 50 pregnant cows, were included in the study. Live weight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horacic perimeter of each cow using a Rondo measuring tape. Age was determined postmortem through examination of dentition and horns, while the uterus and ovaries were removed, weighed, and classified based on physiological status (pregnant or nonpregnant). Follicles were counted, and their diameters were measured and categorized into small (Ø < 3 mm), medium (Ø 3-8 mm), and large (Ø > 8 m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an average follicular population of 32.02 ± 9.31 per cow, with 22.43 ± 8.45 small follicles, 8.42 ± 3.87 medium follicles, and 0.76 ± 0.34 large follicles. The weight of the right ova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eft ovary (p < 0.05), and cows aged 6 to 9 years exhibited a higher number of follicle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Cows with medium (BCS = 3) and large (BCS = 4-5) body reserves had the heaviest ovaries. Additionally, pregnant cows had heavier uteri compared to non-pregnant cows, and cows with a body condition score of 3 or higher had higher uterine weights than lean cows (BCS = 1-2).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ge, body condition score, and pregnancy status influence ovarian weight. Body Condition Score serves as a reliable indicator of cow nutritional status, and cows with BCS of 3-5 are excellent candidates for in vitro production of embryos.
Nasopharyngeal stenosis is defined as a morphological transition of narrowing at the nasopharyngeal region. A 2-yearold, castrated male, Korean short hair cat was referred to the animal medical cente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ccording to clinical signs, diagnostic imaging, and physical examination, nasopharyngeal stenosis was diagnosed. The staphylectomy was performed using a CO2 laser, and there were not 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patient was discharged in two days. This report describes the case of nasopharyngeal stenosis in cat and represents that laser ablation could be a good option for surgical management of the nasopharyngeal region with a low complication r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t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for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 in broiler chickens. The disinfectant containing DDAC (10%, w/w) was diluted 160 times and evenly sprayed on the bodies of twenty-four broiler chickens at a rate of 15 mL per day per bird for 7 days. After the disinfectant treatment,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ix broiler chickens at 0.25, 1, 3 and 5 days, respectively. Residual DDAC concentrations in poultry tissues were determined using LC-MS/MS. Correlation coefficient (0.99 >), the limits quantification (LOQ, 2.0~10.0 μg/kg), recoveries (86.9~118.6%), and coefficient of variations (<19.98%) were satisfied the validation criteria of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all tissues except for liver, DDAC was detected more than LOQ at 5 days after the disinfectant treatment. In liver tissues, DDAC was detected more than LOQ at 3 days af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European Medicines Agency’s guideline on determination of withdrawal periods, withdrawal period of DDAC in poultry tissues was established to 26 days. In conclusion, the developed analytical method is sensitive and reliable for detecting DDAC in poultry tissues. When DDAC disinfectant is sprayed on a poultry house in the presence of broiler chickens, it is necessary to keep the disinfectant from contacting the body of the livestock.
Intervertebral disc disease is a medical condition in which the disc, a fibrocartilage substance, escapes in the spinal cavity and compresses the spinal cord and it often co-occurs with Chiari-like malformation. A 7-year-old Pomeranian dog was referred for a forelimb ataxia. Disc protrusion at C2 to C3, crowding of the caudal fossa and mild cerebellar herniation into the foramen magnum were confirmed through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patient was hospitalized for two weeks and received electroacupuncture along with other rehabilitation therapies. After 2 weeks of inpatient treatmen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the patient's clinical symptom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내 관상용으로 많이 활용되는 스킨답 서스의 실내재배 시 적정 인공광원, 수경재배 전기전도도 농 도 및 용토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내재배 시 인공 광원은 형광등, 적청 LED, 백색 LED로 처리하였다. 수경재배 시 양액 농도는 EC 1.2, 1.6, 2.0ds·m-1 수준으로 하였고, 재 배용토는 제올라이트, 코코피트, 펄라이트, 황토볼 4가지로 달리하였다. 스킨답서스의 실내 재배 시 줄기 길이는 형광등 과 적청 LED 처리보다 백색 LED 처리에서 길어졌다. 잎의 크기는 적청 LED 처리에서 형광등과 백색 LED 처리보다 커 지는 경향이었다. 엽록소 지수값은 백색 LED>적청 LED>형광 등 순으로 높았다. 수경재배 시 스킨답서스의 줄기길이는 EC 농도가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경향이었고, 용토별로 비교하면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엽록소 지수값 도 EC 농도와 비례하여 높아졌고, 용토별로는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서 높았다. 스킨답서스의 생체중도 EC 농도가 높 을수록 높았고,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 높은 경향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스킨답서스의 NFT를 이용한 실내 재배 시 적정 인공광원으로는 백색 LED를, 수경재배 양액의 농도는 EC 1.6∼2.0ds·m-1를, 그리고 NFT 용토는 제올라이 트나 코코피트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12-year-old, spayed female, Pomeranian dog was referred for limbs stiffness and circling movement. Computed tomography(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revealed a contrast-enhanced space-occupying lesion suggestive of meningioma in the olfactory groove to the right frontal lobe. For a successful and accurate surgery, 3D printing technique for preoperative planning and 3D guide was applied. Surgical excision of the meningioma was successfully performe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managed through medical treatment and patient care without the revision surgery.
Background: Canin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are an attractive source for veterinary regenerative medicine, disease modeling, and drug development. Here we used vitamin C (Vc) to improve the reprogramming efficiency of canine iPSCs, and its functions in the reprogramming process were elucidated. Methods: Retroviral transduction of Oct4, Sox2, Klf4, c-Myc (OSKM), and GFP was employed to induce reprogramming in canine fetal fibroblasts. Following transduction, the culture medium was subsequently replaced with ESC medium containing Vc to determine the effect on reprogramming activity. Results: The number of AP-positive iPSC colonies dramatically increased in culture conditions supplemented with Vc. Vc enhanced the efficacy of retrovirus transduction, which appears to be correlated with enhanced cell proliferation capacity.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c-treated iPSCs, the cells were cultured to passage 5, and pluripotency markers including Oct4, Sox2, Nanog, and Tra-1-60 were observed by immunocytochemistry. The expression of endogenous pluripotent genes (Oct4, Nanog, Rex1, and telomerase) were also verified by PCR. The complete silencing of exogenously transduced human OSKM factors was observed exclusively in canine iPSCs treated with Vc. Canine iPSCs treated with Vc are capable of forming embryoid bodies in vitro and have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into three germ layers. Conclusions: Our findings emphasize a straightforward method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canine iPSC generation and provide insight into the Vc effect on the reprogramming process.
Pasture formation and management are crucial to avoid yield reduction. This experiment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all fescue-centered mixed-seeding combinations on yield and vegetation changes in perennial pastures in the central region for two years, from September 2020 to October 2022. The treatments were arranged in three replications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control (C), tall fescue-based mixture-1 (T-1), and tall fescue-based mixture-2 (T-2). The tall fescue (TF), orchard grass (OG), perennial ryegrass (PRG), Kentucky bluegrass (KBG), and white clover (WC) were used. The emergency rate of grasses (70.0 to 73.3%) did not differ among mixed seeding combinations. Overwintering rates (81.7 to 83.3%)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The plant height of grasses was similar at each harvest date, with the highest height (86.2 cm) recorded in the second harvest of the first year, followed by that (58.4 cm) in the third harvest of the first year; it was least (38.9 cm) in the fourth harvest of the second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ry matter yield of grasses among the mixed seeding combination treatments in the first, third, or fourth harvests of the first year (p>0.05). For second-year grasses, dry matter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harvest date among the treatments (p>0.05). Based on mixed seeding ratio, orchard grass showed the highest yield at 70% in the C treatment, followed by tall fescue at 80% and 60% in the T-1 and T-2 treatments, respectively, in the first harvest after see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value between treatments (p>0.05),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harvest (p<0.05). Therefore, it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perennial pastures in the central region through mixed seeding combinations centered on tall fescue.
수국은 수국과(Hydrangeaceae) 수국속(Hydrangea)의 낙엽관목 식물로 크고 화려한 화형을 가져 절화, 분화 및 조 경수로 전세계적 인기가 있는 식물이다. 나무수국은 수국 (H. macrophylla)과 비교하여 삽목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나무수국의 묘목생산을 위한 삽목 연구 및 두 종간 삽목율 차이 원인 규명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IBA(Indol-3-butyric acid) 500mg·L-1 처리시 삽수의 침지 시간에 따른 삽목율 조사를 통해 적정 호르몬 처리 시간을 제 시하고 나무수국과 수국의 해부학적 구조 관찰을 통한 삽목율 차이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나무수국의 적정 호르몬 처리 시간을 규명하기 위해 IBA 500mg·L-1을 무처 리, 30분, 2시간, 4시간 침지처리를 하였다. 종간 삽목율 차이 발생의 원인 규명을 위해 나무수국과 수국의 줄기 단면과 삽 목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발근을 해부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연 구의 결과 나무수국의 삽목시 IBA 500mg·L-1에 2시간 이상 침지처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발근율이 높고 발생 뿌리 수가 가장 많았다. 또, 나무수국의 삽목율이 수국과 비교하여 낮은 것은 줄기의 세포 구조상 방사조직의 형태, 섬유세포의 밀도, 도관의 발달, 전분 함유 세포의 수 등에 차이가 관찰되 었고 이러한 세포 구조적 차이들의 영향으로 나무수국이 수국 보다 삽목 후 뿌리 조직 세포분열이 7일 늦게 시작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무수국의 삽목 번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묘목 생산 효율 증대에 활용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