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완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게되는 건물의 예비설계분야에 전문가 시스템의 기법을 이용한 설계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존의 수치해석용 프로그램으로 수행되던 구조부재의 물량에 의한 경제성이외에도 건물의 안정성, 시공성, 그리고 건축공간성등의 경험적 영역까지를 고려한 많은 대안을 사전에 검토해봄으로서 더욱 효율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구조설계의 오류를 초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의 uplift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건축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예측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초와 지반의 관계에 대한 모델에는 Winker 모델과 Two-Spring 모델이 있다. Winker 모델에 의한 해석방법은 정확하기는 하나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Winker 모델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고 해석이 간편하며 효율적인 등가 Two-Spring 모델(S-모델)을 제안하였다. S 모델은 기초에 정적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기초 중앙의 모멘트와 회전각의 비선형 관계를 간단한 5개의 선형적인 관계로 나타냄으로써 유도되며, S모델에 의한 동적해석 결과는 Winker 모델에 의한 해석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티베트는 유구한 역사와 심오한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티베트의 문화는 세계에서 보통 티베트학으로 불리고 있다. 티베트의 건축 장식에 사용되는 컬러는 티베트 문화 특유의 특징이며, 티베트족의 전통 건축 컬러와 그 컬러의 상징적 의미는 현대 건축 디자인에 일정한 참고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논문은 티 베트의 건축 컬러 연구에 일정한 과학적 의의와 현실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개발된 BIM 기반 건축물 구조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용 COBie(Construction 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문서 및 기록 체계를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수행에 앞서, 대상 건축물의 선정 및 안전점검 수준을 결정하고 테스트베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기록‧검토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8조 제정에 따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특별관리대상시설이 제3종시설물로 편입되어 관리대상 건축물이 급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제3종시설물 중 건축물 지정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변수별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서울시가 제3종시설물 중 건축물의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시 책마련의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실적이고 유의미한 내진보강비용 산정하기 위해 실제 내진보강 사례를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건축물의 노후도와 연면적을 고려한 보다 현실적인 내진보강 비용을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노후도에 따라 연면적 대한 내진보강비용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정규화하였고, 역으로 연 면적과 준공연도를 가지고 내진보강공사비용을 역추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속적인 내진보강 사업 사례의 빅데이터화가 이루어지면 정확성이 높은 내진보강 비용 산정이 실현될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물의 내진보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를 담당하는 기관이나 사람은 내진구조 비전공자로 효과적으로 내진보강사업을 발주 및 관리, 감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분석적 계층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보강대상 건축물의 내진보강공법 우선순위를 제안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담당자는 구조물별, 내진성능 부족요인 별 최적의 내진보강공법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 외장벽돌의 박락사고와 관련하여 박락의 응력 원인 및 방지대책 등에 고찰 및 제안하였다. 즉, 설계자는 건축물 시공전 설계도면 및 시방서를 철저히 검토하여 건조수축 및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수축 등 거동에 무리가 없는지, 또한 연결철물도 단단히 고정되게 되어있는지를 검토하고, 시공과정에서 시공 및 감리자는 철저히 확인 및 감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경주지진 및 포항지진을 통해 우리나라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증가하면서 지진피해를 줄일 수 있는 내진 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진설계 기술 중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면진구조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층 RC 건축물에 면진시스템을 적용한 후 경계비선형동적해석을 통해 비면진건축물과 면진건축물의 내진성능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단파괴가 예상되는 기둥 실험체에 부착형 및 구속형 보강재를 적용하여 전단능력 향상과 연성 및 에너지 소산능력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축하중과 횡하중을 동시에 저항하면서 전단파괴가 예상되는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부착형 및 구속형 보강재를 적용한 실험체의 전단보강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축하중과 동시에 횡하중을 가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면서 기록된 결과를 토대로 하중-변위 곡선을 작성하여 전단보강을 통한 기둥의 보강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보통모멘트골조 실험체는 8.00%의 층간변위비에서 하중이 급격히 감소함이 나타났다. 그러나 유리섬유 복합체 보강 실험체는 마지막 8.00%의 층간변위에서도 하중이 크게 줄지 않았으며, 이후 더 큰 층간 변위비에서도 하중을 부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는 보통모멘트골조보다 유리섬유 복합체로 보강된 실험체의 내진성능확보능력을 보여 준다.
오늘날 건축과 디자인 분야에서는 환상주의적 조형요소로 규정되는 “비정형의 개념”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역동성을 내포하고 있는 건축물들은 도처에서 랜드-마크가 되고 있으며, 디자인 또한 기능주의로 통합된 생활환경에서 도발적인 “차이”를 제공하고 있다. 예전부터 우리는 가우디와 훈더트바써 그리고 자하 하디드의 건축과 디자인으로부터 형식적 유사성을 감지하고 있었지만, 이들을 동일한 조형적 계보를 구분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후반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성행하고 있는 환상주의 건축과 디자인에 내재되어 있는 함축적 특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조형적 관계성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제 2단원에서는 3인 사이를 매개하는 관계성 발견을 위해 문헌적 연구를 통해 3인과 연계된 시대정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이들의 건축과 디자인의 함축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해석학적 관점에서 제시되었던 평가 툴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에는 디자인전공 학부생과 대학원생 등 30인이 참여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제3단원에서는 이들의 건축과 디자 인의 함축적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시대정신을 반영하였던 3인의 건축과 디자인에 내재된 함축적 내용과 이들의 조형사적 관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규모 철골조건축물의 접합상세에 대한 현장조사에 따르면 지진하중에 의한 횡적 안전성 및 안정성 확보가 불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는 임의 접합상세가 현장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강구조건축물의 노출형 주각부 약축 연결부의 반복이력 실험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상세의 개발을 위해 일련의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는 노출형 주각부 약축방향 접합부의 이력거동은 앵커볼트가 콘크리트로부터 점진적으로 인발됨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와 앵커볼트사이에 이격거리가 누적되어 하중역전구간에서 “Rocking” 현상이 발생되어 내진성능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하여 앵커볼트의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 유/무와 개수 및 배열형태 등을 변수로 한 성능 개선 실험체에 대한 일련의 반복 이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소규모철골조 건축물의 노출형 주각부에 고강도 전산볼트형 앵커볼트를 8개로 3열로 배치하는 상세의 적용을 통하여 하중지지능력과 에너지분산능력 측면에서 내진성능이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전통 목조 건축물의 경우 구조적 성능은 재료 특성, 접합부의 형태, 치목의 정밀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기존 사례 연구에서도 보와 기둥 접합부 형태는 변형 및 간격의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이는 단층 건물뿐만 아니라 대규모 다층 건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 형태에 대해 분석하고 모형을 제작하고 구조적 성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주먹장맞춤의 실험체에서 최대 하중을 나타냈다. 각각의 형태의 접합부에 의한 구조적 성능을 종합하면, 도래걷이 주먹장 맞춤이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도래걷이 장부맞춤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물의 구조적 성능은 관통하는 보의 치목 형태와 기둥 내부의 접합부 형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층 건물의 신축 또는 복원을 위해 고려되어야하며 이후 계속 연구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The Construction-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is a standardized format to deliver information from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to the facility management (FM)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Bie-based structural maintenance document which can record and review the information with regard to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In this study, an effec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rategies were discussed to secure a structural safety of small-scaled timeworn buildings in Seoul. The structural vulnerable characteristics should be analyzed to fix the order of priority 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lots of buildings.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a policy establishment of Seoul.
In the cable wall system, the cable tension force can be changed by the various reasons. After 10 years from the construction of cable wall system in Hamad Medical City Womens Hospital of Qatar, an average of about 16% of the tension force was decreased. Since the tension loss can affect the structural capacity and stability, the re-tightening was carried out up to about 90% of the design tension. Also, the annual regular inspection including the measurement of cable tension is proposed as the maintenance plan.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olicy related to building 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management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system for building diagnosis. The US has various test methods and laws and regulations standardized on wide territory, so it is excellent in responding to changes in regulations. In the UK, the technology of the building diagnosis related field is advanced through systematic efforts of diagnosis and maintenance of the buil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vitalize regulations related to building diagnosis and maintenance management, to revise the laws and regulations of related institutions, and to systematically cultivate manpower through specialized agencies related to diagnosis and maintenance.
The current fire-damage inspection and safety diagnosis has not developed from the labour and time-consuming method. Data collected through traditional safety inspection and survey methods are less quantitative and causes irregularity to the database; thus data becomes impractical for long-term maintenance and analysis. Data by 3D Scanning are more precise and quantitative in calculating the damages by a fire, the amount to repair and reinforce; furthermore, in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