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韓牛, Korean Cattle, Bos taurus coreanae)는 모색에 따라 황소, 칡소, 흑소로 나 누어지고 있다. 칡소는 현재 1,700여두가 전국에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육기반이 취약하여 멸종위험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칡소 대량 증식에 필요한 수정란이식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FSH 투여 용량에 따른 과배란, 수정란회수, 이식후 임신율 및 송아지 생시체중을 조사하였다. 공란우는 각각 시험군에 10두씩 배치하였고, FSH 용량은 280 mg 4일 투여 및 240 mg 3일투여법을 사용하였다. 과배란 처리 및 수정란회수는 일반적인 수정란 채란 프로그 램을 준용하였다. FSH 240 mg 및 280 mg 투여시 발정유기는 87.5, 85.3%, 과배란은 81.3, 79.4%로서 차이가 없었다. 수정란 회수 성적이 평균 황체수는 240 mg 및 280 mg 처리군에서 각각 16.5개, 13.6개, 총 수정란수는 각각 7.5±1.8, 6.9±1.8, 이식 가능한 수정란수는 각각 4.1± 1.2, 3.5±1.0, 변성란 1.4±0.6, 2.3±1.1, 미수정란 2.0±0.9, 1.1±0.5개로 유사한 경향이었 다. 용량별 처리군에서 회수된 1등급과 2등급의 수정란을 이식한 후 임신율은 240 mg 군이 38.7%, 280 mg 군은 46%로 280 mg 군이 차이가 없었다. 칡소의 수정란이식 및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송아지의 생시체중과 성비를 조사한 결과, 수정란이식으로 태어난 송아지의 생시체중은 24.8±2.9,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송아지가 25.6±3.3 kg으로 다소 높 았지만 유의차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칡소에서 수정란 생산시 FSH 용량에 따른 과배란 및 수정란회수 성 적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FSH의 용량이 감소하여도 유사한 결과로서 경제적으로 효 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학생의 배경변인이 필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필순 인식과 배경 변인이 필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평가 방법에 따라서 필순 평가 결과가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자필순 규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기본필획 7개와 파생필획 7개로 구분하였다. 필순 검사는 제자원리, 형태구조, 총획수 등을 고려하여 근수식(跟隨式) 35개, 필획식(筆劃式) 15개, 서호식(序號式) 15개, 총 65개 한자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132명, 고등학생 281명, 대학생 232명이었다. 필순 인식은 성, 국적, 학교급별로 유의하게 달랐다. 필순 점수는 한자필순 인식, 국적, 학교급별로 유의하게 달랐지만, 성별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필순 평가방법에 따라서 평가 결과는 달라질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필순에는 성별과 같은 생득적 조건보다는 교육적 또는 문화적 경험이 영향을 미치며, 필순 능력은 필획식으로 평가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해석하였다.
경기북부 DMZ 접경지역의 곤충을 조사하여 지역별 곤충상과 곤충특성을 분석하고, 농가소득원으로 개발할 수 있는 유망한 곤충을 선발하여 곤충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007부터 3년간 조사에서 563종의 곤충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여 산업화 유망곤충으로 대벌레(Baculum elongatum) 등 25종을 이미 선발하였고, 2010년의 조사에서는 나비목 52종, 딱정벌레목 23종 등 새로운 곤충자원 95종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지역별로는 연천군 신서면 마전리 군부대 지역과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 대성동마을에서 각각 5목 71종, 4목 22종으로 새로운 종이 많이 분포하였다. 접경지 특이곤충으로 멸종위기2급곤충인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와 왕은점표범나비(Fabriciana nerippe)가 서식하는 확인하였으며, 한국고유종은 줄우단풍뎅이(Gastroserica herzi) 등 4종, 국외반출승인 대상종은 고마로브집게벌레(Timomenus komarovi) 등 4종, 환경지표종은 이마무늬송장벌레(Nicrophorus maculifrons) 등 7종을 채집하였다. 애완용, 학습용 유용 곤충자원으로 외형적 특성과 산업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하늘소(Massicus raddei), 애기물방개(Rhantus pulverosus), 남생이 무당벌레(Aiolocaria hexaspilota) 3종을 추가로 선발하였다. 4년간 조사결과 서식이 확인된 658종은 향후 DMZ 생태조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산업화 유망곤충으로 선발된 28종중 대벌레 등 5종은 현재 산업화기술이 개발중에 있다.
여름에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해풍은 해안 도시지역에서의 열섬현상을 감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특히 바람을 이용한 열섬 효과 저감은 해풍의 특성 -연직 풍속 및 온도 분포- 에 많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열섬 효과 저감을 위한 도시 개발단계에서 해풍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풍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 기상 모델링을 이용하여 동경 지역을 수치 해석을 하였다. 수치 해석 결과를 클러스터 분석을 통하여 8개의 대표적인 해풍의 연직 패턴을 분류하였으며, 각 분류된 패턴간의 관계 및 발생 빈도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개발된 완전 조립식 교량 하부구조에 대한 설계비교와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조립식 교량 하부구조는 현행설계법과 하중저항계수설계법으로 설계하였다. 설계시에는 현 도로교설계기준에 규정된 DB-24 및 DL-24 설계활하중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해서 완전 조립식 교량 하부구조의 현행 설계법인 KHBD (2005)와 AASHTO-LRFD (2007)를 평가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RCAHEST이다.
To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 of replacing thermal storage heater by a cascade cycle heat pump using midnight electricity was installed and tested at a customer's house in Wonju, Korea. The electric night storage heater is consist of 30kW electric heater and 2,700 liters of thermal storage water tank to supply hot water for warming house floor. The power for electric heater was cut off and hot water was only generated by cascade cycle heat pump. Current thermal storage water tank was not eliminated and electric heater wiring was modified. Some operation logic of the heat pump was also modified for proper operation. The required capacity of the heat pump and hot water temperature for given warming condition were estimated. The estimated capacity of heat pump was about 19kW and estimated hot water temperature for proper heating was at least 75℃.
최근 국내 콘크리트포장의 동결융해 파손에 대한 사례들이 주기적으로 보고가 되고 있으며, 이에 공기량 기준과 더불어 간격계수에 대한 기준마련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간격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실험방법은 국내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ASTM C 457기준을 따라야 하며, 특히 이 실험결과 분석 시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철저한 보정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화상분석프로그램은 색상의 구분을 통해 공극을 인식하는데, 분석 시 사용되어지는 pixel intensity values에 따라 분석결과는 크게 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범위를 산정하기 위해서, pixel intensity values 변화에 따라 측정된 공극수와 연구자들이 측정한 공극수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였다. 또한 결정된 pixel intensity values를 이용하여, 8가지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한 콘크리트 공극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이 공극수를 직접 측정한 round robin test 결과, 사람에 따른 공극 인식정도가 약 10% 정도로 변동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 범위가 약 80~90 정도로 나타났다. 8가지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한 화상분석결과, 전반적으로 AE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공기량은 증가하고 간격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일부 혼합물에서 공기량은 크게 변동하지 않은 가운데 간격계수가 AE제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추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추가된 AE제에 의해 발생된 미세한 크기의 연행공극이 전체 공기량에 미치는 영향보다 간격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시편에서 절단면 위치에 따른 간격계수의 편차는 약 30~100μm 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2차원 분석의 한계로 인해 발생된 편차인 것으로 사료되며, 시편절단면 위치에 따른 변동성 분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풍압적분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기존의 풍하중 산정은 풍력실험을 통해 얻어진 시계열 풍력데이터에 대해 스펙트럼모드해석법을 수행하여 평가하는 방법에 주로 의존하였다. 이 방법은 건축물의 진동모드로 선형모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정형적인 건축물의 풍하중해석이나 다자유도해석에는 한계가 있다. 풍압적분법은 다자유도해석 및 비정형적인 건축물의 풍하중을 보다 정확히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압적분법에 의해 평가한 풍하중과 풍력실험결과에 의해 평가한 풍하중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방법에 의해 평가한 풍하중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풍압적분법은 복잡한 형상을 가진 건축물에 대한 풍하중을 평가할 경우 풍력실험을 대체할 수 있다는 유효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