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96

        781.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폐광산(廢鑛山) 주변(周邊)의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에 존재(存在)하는 중금속(重金屬)과 그들의 토양(土壤)에서의 존재형태(存在形態)에 따른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였다. 토양(土壤) 중(中)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은 Mn을 제외(除外)하고 A토양(土壤)에서 제일 많았고, Mn은 B토양(土壤)에서 함량(含量)이 제일 높았다. 존재형태(存在形態)에 따른 각 중금속(重金屬)의 함량(含量)은 각 원소별(元素別)로 차이가 있었는데, 즉 Cd와 As는 유기태(有機態), Cu와 Pb 및 Mn은 Carbonate태(態), Fe와 Zn은 잔사태(殘渣態)가 다른 형태(形態)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참억새와 골풀은 각각 75%와 15% 정도(程度)로 서식(棲息)하고 있었으며, 이는 이들 식물(植物)들이 중금속(重金屬)에 대해 내성(耐性)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참억새와 골풀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중금속(重金屬)은 Mn을 제외하고 줄기보다는 뿌리에 더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참억새의 경우 Zn은 줄기와 뿌리에 비슷하게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周邊) 용수(用水)의 분석(分析) 결과(結果) 침출수(浸出水)에서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이 높게 나타났으며, Fe와 Mn 및 Zn이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4,000원
        783.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111) 표면위에 Si을 homepitaxial 성장시킬때 중간 금속인 Ag, Sn등을 흡착시키지 않을 경우와 흡착시킬 경우 RHEED(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상의 경면반사점(specular spot)강도의 주기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두 경우의 Si결정성장 과정의 차이점을 관찰하였다. 중간금속을 흡착하지 않을 경우 성장 초기에는 흡착Si원자가 Si(111) 7×7 구조의 Stacking Fault층을 먼저 채우고난 후 정상적인 충상성장을 하기 때문에 성장초기에는 불규칙적인 진동을 나타내다가 약 6ML정도부터 주기적인 진동으로 바뀜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중간금속인 Ag, Sn을 Si(111)위에 1ML흡착시키면 Ag의 경우 300~600˚C, Sn의 경우 190~860˚C의 시료온도에서 표면구조가 √3×√3구조로 바뀜이 RHEED상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난 후에 Si을 흡착시킬 경우 RHEED 상의 경면반사점 강도는 초기부터 주기적일 변화를 가짐이 관찰되었으며√3×√3구조는 변함이 없었다. 또한 보다 낮은 시료 온도에서 많은 진동이 관찰되었다. 이는 중간금속이 성장표면쪽으로 편석하면서 흡착원자 Si의 표면확산에 대한 활성호 에너지를 감소시켜 주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4,000원
        790.
        199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속동-흑연복합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염화동을 흑연주위에서 수소환원시킴으로써 흑연표면에 금속동을 석출시키는 새로운 방법으로 흑연-금속동 복합재료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325 mesh이하의 KISH및 천연흑연을 모재로 하여 350-500˚C의 환원온도에서 염화동을 환원시키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금속동의 분산도는 환원온도가 낮을수록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속동의 분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한 환원온도를 낮게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93.
        1992.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즈마 회전전극법으로 제조된 Ti-51at%Al 금속간화합물 분말에 함유된 불순물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였다. 산소와 탄소의 함량은 각각 600 및 200ppm 정도로 분말입도에 따라 변하였으며, 이는 주로 원재료에 포함된 불순물의 영향이었다. AES 분석에 의하면 분말표면 산화물은 주로 Ti 및 Al과 산소 및 탄소의 복합화합물로 구성되었으며, 그 두께는 약 100 및 200μm 크기의 분말에 대하여 각각 7 및 3.4nm 정도로 측정되었다. 분말의 제조로 산소와 탄소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되는것의 구체적인 기구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플라즈마 고열에 의한 정련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000원
        794.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port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distributions of sediments and heavy metals in Sooyoung River and its mouth,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90 and August 1991. Since the samples were saline, water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method of alkaline KMnO₄ and sediment analysis by acidic KMnO₄. Mercury was digested with both nitric and sulfuric acids, and then determined by dithizone CCl4 method. Cadmium, Zinc, Copper, Lead and Chronium were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fter aliquots of samples were digested with nit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Mineral components of sediments were identified by XRD and microscopic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The ranges of COD of water and sediments were 10.6-54.6ppm and 63-26000ppm respectively. 2. The ranges of concentrations of Cadmium, Lead, Copper and Zinc for water were 0.002 -0.024ppm, 0. 013-0.060ppm, 0.013-0.736ppm, 0.003-0.012ppm, respectively. 3. The ranges of concentration of Mercury, Cadmium, Lead, Copper, Zinc and Chromium for sediments were N.D - 0.09ppm, 0 .1-2.07ppm, 0.32-5 2.35 ppm, 1.04 - 20.67 ppm, 7.1-52.50 ppm and 0.23-5.22 ppm, respectively. 4. The mineral components of the sediments were mainly quartz and feldspa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