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선원들이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대처방법을 분석하여 선원들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시행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2003년 10월 20일부터 11월 15일까지 안전교육을 수강하는 선원 428명이었으며 설문지에 의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법을 측정하는 도구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 통계,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간의 스트레스 인지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항해 구역, 결혼 상대, 흡연량, 음주 횟수, 운동 횟수, 수면 양상, 수면 시간, 여가 시간, 직업 만족도 특성에서 스트레스 인지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특성으로는 현재 신분, 항해 구역, 연령, 승선 경력, 학력, 결혼 상태, 연 수입, 음주 횟수, 음주량, 운동 횟수, 수면 양상, 직업 만족도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대처방법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집단이 정서 중심의 대처와 소망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inciple of rural village planning process based on rural resources, differently space planning process(regional planning, village planning, urban planning etc). The importance of this planning process is resources planning, facility planning, program planning. So we planed rural villages - two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planning wer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consider economic value of rural resources. Second, resources wer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village conditions, though same it. It is important to apply value-added it. Third, in future we have to additional studies; environment planning factor, community participation, resources evaluation in this planning.
이 논문은 자유자이로의 방향보존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유도한 것이다. 즉, 임의 위치에서 두 대의 자유자이로 회전축의 경사각과 기준 위치로부터 측정한 경과 시간을 기본 요소로 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 이 시스템을 구축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열거하였다.
국민소득의 증가와 주5일 근무제의 확대적용, 3면이 바다이고 내륙에 비교적 많은 강과 하천이 분포되어 있는 지리환경적 여건으로 인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상레저에 많은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상레저사업자, 장비제조업자, 관련단체 및 동호인을 대상으로 설문 및 현장방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사업체의 형태 및 애로사항 등의 실태를 파악한다. 이 자료들을 근거로 수상레포츠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산업기반기설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교차를 이용하여 일평균 증발산량을 산정한다. 이를 위하여 Thornton과 Running(1999)의 일평균 태양 복사열 산정을 위한 경험식을 이용하여 태양복사열을 계산하여 이를 현장 자료와 비교한 결과 비교적 정확한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일평균 태양 복사열을 증발산량의 계산을 위해 Priestly Taylor 공식과 Penman 공식에 적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정확성과 사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
Since the beginning of the progressive in English, its basic function has evolved into other areas. The functional extension seems to have to do with two functional features [+initialized] and [-finalized] of the progressive. These two features are considered to make up the progressive. Either of these two features, or sometimes both of them work toward the development of new functions of the progressive in one way or another.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se two functional features work their way into other uses. How the features affect the new functions of the progressive, including planned events to happen in the future, background, politeness, and temporariness, will be discussed. It is also examined how the progressive form of reporting verbs indicates emotional changes in speaker`s attitude, and why performative verbs usually do not take the progressive.
The change of pressure drop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let concentration, pulse interval, and injection distance of pulse air jet type bag filters, and the effect of venturi installation are as follows.
The pressure drop with the range of 30 to 50mmH2O varies according to the injection distance with 30, 50, 70, 90sec and the inlet concentration of venture built-in fabric filters. For the lower concentration of 0.5g/m3 and 1g/m3, the pressure drop(ΔP) was stable 60 to 90minutes after operation. Fo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3g/m3, as ΔP continues to go up, pulse interval should be set shorter than 30 seconds.
The pressure drop with the injection distance of 110mm, when inlet dust concentration is 0.5g/m3 or 1g/m3, is 1.3 to 2 lower than with the injection distance of 50, 160, and 220mm, which means that the inflow amount of the secondary air by the instant acceleration is large. The injection distance of 2g/m3 and 3g/m3 has the similar pressure distribution. The higher inlet concentration is, the more important pulse interval is than injection distance.
The pressure drop has proved to be larger when inlet concentration is lower and injection distance closer, on condition that the venturi is installed. The change in the pressure drop was smallest when injection distance was 50mm, followed by 220mm, 160mm, and 110mm.
수해발생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대책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대책수립을 포함한 종합적인 수해 대응대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적인 대응대책 중 인명보호의 차원에서 중요한 피난활동을 중심으로 실제 피난행동을 하기까지의 영향요인을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효과적인 수해대응을 위하여 태풍 루사 및 매미에 따른 침수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피난 장소, 피난 거리 등을 분석하였다. 피난모의 실험을 통하여 피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