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4

        4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임하호 유역에 위치하는 반변천, 길안천과 낙동강에 총 8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8년 9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물리-화학적 요인과 부착규조 군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부착 규조류는 총 120종류로서 2목, 3아목, 7과, 22속, 108종 및 12변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착 규조 군집의 우점종은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 convergens, A. minutissima와 Fragilaria construe
        4,800원
        4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평화의 댐은 높이 125m, 길이 601m, 저수량 2,630,000,000㎥로 강원도 화 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6년 6월 15일 2차 증축공사를 준공 하였다. 하천에 댐을 건설하게 되면 유수역이던 지역의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고, 수위 상승 및 그에 따른 수변의 확장으로 인해 인공적인 정수역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 라서 유수역에 적응하여 살아가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들은 물의 흐름이 있 는 상류지역 등 주변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그러지 못한 개체는 사멸하게 되 고, 새로이 정수역이 된 지역은 환경에 맞는 종들로 구성원이 대체된다. 이러 한 일련의 변화과정은 댐이 건설된 지역 뿐 아니라 그 주변 지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조사지역인 평화의 댐 주변은 그러한 변화과정이 진행되고 있 는 불안정한 생태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평화의 댐 주변 지역 4개 지점 및 대조군에 대해 2006, 2008, 2010년에 걸쳐 연 2회 조사수행 후 저서성대 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비교 결과 지속적으로 종수 및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었으며, 특히 유수역에서의 개체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 났다. 반면 정수역은 종수가 줄어들고 우점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적 절한 서식지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9.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alysis of benthic mi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Pyeonghwaui Dam was investigated from May 2006 to October 2008. Total taxa of benthic micro-invertebrates were 5 phylum, 8 class, 15 order, 44 family, and 97 species in 2006, and 5 phylum, 7 class, 15 order, 48 family, 103 species in 2008. Mean dominance index at St. 1 to St. 5 were 0.36, 038, 0.38, 0.21 and 0.29. Mean species diversity at St. 1 to St. 5 were 3.84, 3.34, 3.13, 4.84 and 4.28. Although the dominance index of Lentic area was higher than Lotic, but the diversity was lower than Lotic area.
        4,000원
        5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댐-호소계의 선형 및 비선형 지진응답 해석을 시간영역에서 엄밀히 수행할 수 있는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댐-호소계는 (1)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거동하는 댐체와 (2) 깊이가 균일하다고 가정한 호소 원역 및 (3) 댐체와 호소 원역 사이 불규칙한 형상의 근역의 세가지 부구조물로 구성된 연계 시스템으로 정식화되었다. 댐체는 선형 또는 비선형 유한 요소로 모델링되고, 호소 원역은 무한 영역으로의 에너지 방사를 엄밀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주파수영역에서 개발된 변위기반 전달경계를 시간영역에서의 포갬적분으로 변환하여 시간증분법과 결합이 용이하게 하였다. 호소 근역을 댐체와 호소 원역이라는 두 개의 부구조물 사이에 저장된 압축성 유체로 모델링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세 개의 부구조물로 구성되는 댐-호소계에 대해 비선형 시간영역 해석을 용이하게 하는 시간증분법을 유도하여 제시하였고 개발된 해석법을 다양한 형상의 댐-호소계의 지진응답 해석에 적용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이에 추가하여 제시한 기법을 콘크리트 댐의 비선형 지진응답 해석에 적용하여 손상 정도와 부위를 해석 결과로서 보여주었으며 동시에 제시한 기법이 내진성능 평가 등 실무에 바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4,300원
        51.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현장 강제진동실험에서 측정된 수문의 고유진동수를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대응 값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문의 부가질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보정된 부가질량이 수문의 내진성능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 강제진동실험이 행해진 수문을 대상으로 지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Westergaard 부가질량을 사용한 수문의 수치모형이 실측 자료로 보정된 부가질량을 사용한 경우보다 최대 지진력과 최대 변위에서 상대적으로 큰 값을 산출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4,000원
        5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낙동강 유역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고, 경북중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경북 군위군 고로면에 건설 중인 화북댐의 상∙하류 어류조사를 통하여 댐 건설이 하천유역에 특히 수 생태계내의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유무를 파악하여 종 다양성을 보전하고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사후환경영향조사 기간(2004~2008년) 중 측정된 수질항목 분석결과 현장에서 측정한 수온,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와 실내분석 항목인 부유물, 총대장균수의 경우 지점별로 다소 계절에 따른 변화를 나타냈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유기물 및 영양염류 농도에 해당하는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엽록소, 질소, 인의 경우 지점별로 매우 큰 폭의 변화를 보였으며 상류에서 다소 높고 하류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중금속 중 비소의 경우 2005년 6월 0.092 mg L-1를 제외하고는 0.05 mg L-1 이하를 나타내어 하천수 수질환경기준 상 사람의 건강 보호 측면에서 규정한 0.05 mgL-1 이하의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어류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7과 19종 10,263개체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어류 중 우점종은 하천 중∙상류에 주로 서식하는 참갈겨니(62.5%)로 확인되었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10.6%)로 나타났다. 조사 구간인 위천 상류에서 확인된 19종 중 한국고유종은 긴몰개, 동사리, 쉬리 등 총 9종(47.4%)으로 나타났으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급으로 지정된 얼룩새코미꾸리(Koreocobitis naktongensis)가 소수의 개체이지만 포획되었고, 외래도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한 반면에 다양도, 풍부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우점종인 참갈겨니의 개체군 분석 결과, 길이-무게 상관관계식은 TW=0.000003 (TL)3.2603로서 매개변수 b값이 3.0보다 크게 나타나 개체군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시기에 다른 하천에서의 개체군들과 비교분석 결과 size별 평균 비대지수(CF)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화북댐 유역의 참갈겨니가 다른 지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어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건강성평가(IBI)를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양호(26~35)에서 최적(36~40)을 보였으며 지점 5에서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어류에 관한 환경영향평가와 하천건강성평가 등을 통한 화북댐 완공 후 상∙하류 하천의 어류상 변화유무 및 환경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86년부터 1999년 사이에 건설되어진 262개소의 사방댐내에 퇴적된 퇴사량을 조사하여 기상 및 하천형태학적 인자가 산림유역의 토양침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퇴사량은 기상 및 하천형태인자와 상관분석한 결과 20mm/일, 80mm/일 이상 강우횟수, 유역면적, 강우도달시간, 주 하천길이, 총 하천수, 총 하천길이, 유역길이, 하천차수, 1차하천수, 본류굴곡율, 사면경사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평균강수량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단계별 회귀분석한 결과 총하천수, 사면경사, 20mm/일 이상 강우횟수, 주 하천길이 순으로 산림유역의 토양침식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Y = - 2152.1352 + 65.5620 총하천수 + 69.2640 사면경사 + 3.6423 20mm/일 이상 강우횟수 + 0.1990 주 하천길이로서 설명력은 62%로 나타났다. 산림지역에 있어서 토사유출 현상은 각종 환경인자의 상호 복합적인 현상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으므로 산사태 발생지역이나 위험지역의 산림유역은 토사유출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사방댐, 골막이, 기슭막이 및 옹벽 등 토사재해 방지를 위하여 적절한 산림유역 관리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6.
        200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검역이란 식물에 해를 끼치는 병해충의 국가간 · 지역간 이동을 차단함으로서 자연 환경과 농림업 생산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식물검역소에는 전국 공항만을 중심으로 499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수출입 식물류에 대한 국경겸역, 국가간 식물검역 국제협력, 격리재배검사, 외래병해충 발생조사, 소독 및 방제 동의 업무를 수행하여 식물병해충 유입에 따른 피해를 적극 차단하고 있다. 한편 세계 자유화의 큰 흐름에 따라 농산물의 국가 간 교역이 활발해 지면서 우리나라의 검역수요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립식물검역소에서는 2003년 인터넷 민원처리 시스템을 시작으로 빠르면서도 정확한 식물검역을 수행할 수 있는 식물검역처리시스렘을 구축해 나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수출입 식물검역 전 과정이 시스템화 되어 언제 어디서든 검사 신청과 결과조회가 가능해졌으며 검사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도 있게 되었다. 현재 식물검역의 99.8%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50% 이상의 업무 효율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 등 급변하는 여건변화로 인해 새로운 대내 · 외 도전요인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검역대상 물품 및 수입국의 다양화 · 다변화와 병해충 발견빈도 증가 등 해외 병해충의 국내유입 위험성 한충 고조되고 있으며,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욕구 증대로 수입농산물에 대한 검역문제가 사회적 주요 관심사로 계속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립식물검역소에서는 현행 식물검역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과 분석 · 평가를 통하여 국민의 기대수준에 부응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단기 · 중장기적 관점의 식물검역정책을 개발 · 제시하는 식물검역발전 10개년 계획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국립식물검역소는 앞으로도 식물병해충의 피해로부터 농업과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모범이 되는 식물검역기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혁신해 나갈 것이다.
        6,900원
        60.
        2007.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accomplish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algae at the Daechung Dam with those at its regulating reservoir from the year 2003 to 2005. In the case of Daechung Dam, three sites, such as the area near dam body, the Mooneui intake station, and Chudong intake station, were selected averaged data were used for the comparison. The water quality of the Daechung Dam are an follows; temperature is from 4 to 25℃(average 15), pH is from 7.3 to 8.6(average 7.9), DO is from 5.7 to 13.0mg/L(average 9.9), BOD is from 0.7 to 1.7mg/L(average 1.1), COD is from 2.5 to 4.4mg/L (average 3.1), SS is from 1.1 to 9.8mg/L(average 3.2), total coliform is from 0 to 37MPN/100mL(average 11), total phosphorus is from 0.008 to 0.074mg/L(average 0.022) and total nitrogen is from 1.087 to 2.175mg/L(average 1.492). The water quality of regulating reservoir are an follows; temperature is from 1.0 to 24.0℃(average 13), pH is from 6.7 to 8.2(average 7.6), DO is from 5.9 to 13.2mg/L(average 9.2), BOD is from 0.3 to 1.8mg/L(average 0.8), COD is from 2.4 to 5.3mg/L(average 3.8), SS is from 1.2 to 50mg/L(average 9.0), total coliform is from 0 to 260MPN/100mL(average 56), total phosphorus is from 0.005 to 0.224mg/L(average 0.04) and total nitrogen is from 1.123 to 5.227mg/L (average 2.3). The water quality of regulating reservoir had been the Class Ⅱ raw water criteria ein years ago, but it has been improved to Class I recently. Whereas the water quality of the Daechung Dam has been maintained as Ⅱ except COD.
        5,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