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stmodern criminology is based upon the belief that past criminological approaches have failed to realistically assess the true causes of crime and have therefore failed offer workable solutions for crime control or if they have, that such theories and solutions may have been appropriate at one time but no longer apply to the postmodern era. It challenges and debunks existing perspectives on crime and crime control. Upon such assumptions, the article examines how we conceive of penal policy or prison in contrast to how it is conventionally understood, and outlines what an alternative direction might look like. It introduces peacemaking criminology, constitutive criminology and restorative justice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replacement discourse”. Peacemaking criminology holds that crime-control agencies and the citizens they serve should work together to alleviate social problems and human suffering and thus reduce crime. The main purpose of criminology is to promote a peaceful, just society rather than standing on empirical analysis of data, by drawing its inspiration from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eachings. Constitutive criminology builds on the belief that crime and its control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totality of the structural and cultural contexts in which it is produced. Given this interrelated nature of social structure and human agents 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productions in the coproduction of crime, it trys to promote a just policy of reconstruction through replacement discourse which is directed toward the dual process of deconstructing prevailing structures of meaning and displacing them with new conceptions, which convey alternative meaning. Restorative justice has been practiced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justice system beyond philosophical teaching or religious ideology in various countries. It seeks to attain a balance between the legitimate needs of the community, the offender, and the victim. The healing of all parties involves many aspects, ranging from victim assistance initiatives to legislation supporting victim's compensation. It follows such guidelines that community are victims, we use punishment to pay back the community, we combine punishment with help, and we give community a voice in shaping restorative sanctions.
        8,900원
        2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20세기 후반 건축을 선두로 문학, 미술, 철학등 각 예술 분야에 대두된 포스트모더니즘의 미학을 중심으로 동양 현대음악의 시간적 구조를 살펴본 연구이다. 음악에 있어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르네상스 이후 서양음악의 불문율로 여겨왔던 "목적 지향적 시간론(goal-oriented notion of time)"을 파기하고, 새로운 시간개념의 도입을 가능케 한 중요한 논리적 배경이 되었다. 특히 동양적 에토스(ethos)에 근거한 동양 현대 작곡가들의 작품들은 흔히 서양적 관점에서 보면 "목적 지향적 시간구조"의 결여로 이해되어져, 서양 예술론을 적용하기보다는 "이국적 정서(exoticism)" 혹은 "오리엔탈리즘"으로 이해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 새로운 음악적 시간개념은 동-서양 현대작곡가의 작품을 하나의 통일된 예술론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인식변화를 가져왔다. 이 논문을 통하여 필자는 포스트모던 건축학자 로보트 스턴(Robert Stern)의 "전통적 (Traditional) 포스트모더니즘과 분리파적(Schismatic) 포스트모더니즘론," 레오날드 마이어의 "비목적론적 시간론(NOn-teleology)"등을 바탕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시간적 특성을 "시간의 해방(the Emancipation of time)"으로 정의하였다. 한편, 동양철학이나 예술에 나타난 시간적 구조는 "순화적 시간(Circular Time)"과 "초월적 시간(Transcendental Time)"으로 구분 짓고, 그 들의 이중적 혹은 다중적 사용-시간의 이중성(Double Perception of Time)을 서양 포스트모더니즘 시간 구조와 비교, 고찰하였다. 필자는 이 논제를 위하여 일본의 도-루 타케미츠(Toru Takemitsu), 한국의 필자 자신, 중국의 탄 둔(Tan Dun)등 극동의 세 작곡가를 선택하여, 그들 작품에 나타난 음악적 시간구조를 분석하였다. 즉, 이 세 동양작곡가들 작품에 나타난 시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그들의 창작과정이나 작품, 음악어법 등을 포스트모니즘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하였다.
        6,100원
        27.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0원
        2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29.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1960, the change of architectural trend was dominated by two factors ; the one, the introduction of theory of language (including semantic, syntactic, pragmatic, linguistic, semiotic, structuralism, post-structurism) in design concept, the other, the adaption of high technology in building 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theory of languag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mergence of new tendency, which could be the alternative of modern architecture. Post-modernism and Typology in the 1960-70s, Deconstructivism in the 1980s and 'Folding' architecture in the 1990s, have continually borrowed a theoretical base from the thee of language. Placing the focus on the rel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heory of language with the interdisciplinary view,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diverse architectural tendencies since 1960 depend on the 'champ d'enonce', which Michel Foucault, French philosopher, defined in his <Archeology du savoir>. The writings of many architects, like Robert Venturi, Micheal Graves, Aldo Rossi, Peter Eisenman, Rem Koolhaas, Bernard Tschumi, Gerg Lynn demonstrate our conclusion. This is an important finding which make possible consistent understanding about contemporary architecture.
        5,800원
        31.
        1996.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33.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000원
        35.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700원
        36.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200원
        37.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700원
        38.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1차 세계대전이 남긴 상처/그림자는 전쟁이 끝나도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었다. 엘리엇과 울프는 작가와 시인의 섬세함으로 인간의 삶 속에 그림자 진 우울증, 공허, 가짜 웃음, 거짓 평화, 폭력, 욕망, 기억과 망각을 읽어내었다. 전쟁의 뒤편에 남아 있던 그림자는 인간을 광기와 죽음과 자살로 내몰고 있었다. 엘리엇과 울프는 화자의 의식의 흐름을 통해 전쟁과 죽음으로 망각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찾아낸다. 엘리엇은 죽은 자들의 소환을 통해 인간의 성적 타락, 병적 트라우마, 멜랑코리 등의 원인을 재빨리 진단하고 기독교적 원리를 통하여 해결방안을 찾는 노력을 『황무지』에서 보여 주었다. 반면 울프는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 용하여 침묵의 언어로서 서사적 공존이 가능하게 한다. 이런 방법은 초대받지 않은 손님이었던 쎕티머스가 파티에 연결될 수 있도록 장치하였 고, 쎕티머스의 자살 소식에 죽음으로 포용한 삶이야 말로 진정한 파티의 완성임을 선언함으로써 Mrs. Dalloway의 종지부를 찍게 한다. 울프는 자살이라는 최후의 방법을 선택하여 현대인의 망각에 대해 경종을 울리고, 전쟁 이후 현대인의 절망 상태를 인식하면서 인간 본연이 가지고 있는 존엄과 자유를 주장한 것이다. 이처럼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여, 엘리엇과 울프는 각자의 모더니즘적 해결 방식으로 현대인의 삶과 전쟁의 주제들을 재해석하고 있다.
        39.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앤서니 브라운 첫 작품 『거울 속으로』에 등장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철학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거울 속으로』는 아이들과 학부모에게 다소 낯선 회화적 요소뿐만 아니라 스토리의 구성이 기존의 그림책과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앤서니 브라운 『거울 속으로』에서는 기존의 그림책이 시도하지 않았던 회화적 표현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그림책의 내용으로 아이들과 공감할 수 있는 세계로 이끈다. 이 그림책은 상상력의 오브제(obget)와 시뮬라크르 제시를 통하여 아이들에게 창조의 기쁨을 일으킨다. 그림책 속에는 푸코가 제시하는 팝옵티콘(panopticon)의 시선이 미치지 않는 자유와 즐거움 그리고 행복의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에 대한 철학도 담겨있다. 이 그림 책의 색채는 전반적으로 초록과 빨강, 노랑이 반복적으로 표현되고 이러한 반복적 색깔의 변화는 작가의 의도성이 담겨져 있다. 『거울 속으로』에서 초록, 빨강, 노랑은 작가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앤서니 브라운 『거울 속으로』는 공동체 생활에서 다소 소외 받을 수 있는 아이들에게 자유와 꿈과 희망을 주며, 보편화되고 획일화된 미래 세상을 뛰어 넘어 개별자의 특수성이 인정되고 모두가 배려되고 존중받는 진정한 아동중심 사상을 제시해 주는 포스터모더니즘의 어린이 철학 교재이다.
        4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모더니즘의 최초시라고 평가받고 있는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1915)에 나타난 엘리엇의 다양한 모더니즘 기교를 천착하는 것이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에서 구축된 모더니즘의 대 표 시인 엘리엇의 시적 기교는 인간의 자아를 성적 본능인 이드, 자아, 초자아로 구분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제임스의 “의식의 흐름”의 영향으로 낭만주의나 빅토리아조 시인들의 기교와 확연히 다르다. 엘리엇은 신중하고 우유부단한 화자 프루프록의 내적 독백, 즉 백일몽을 통하여 무의식 속에서 관능적인 여인들과의 조우 단절을 묘사함으로써 모더니즘의 한 주제인 도시 생활 속의 “소외”(疏外)를 표출하고 있다. 아 울러 시인은 베르그송 시간관의 영향으로 기계적인 “시계 시간”보다 프루프록 의식의 “심리 시간”을 수월하게 표출하고 있다. 또한 엘리엇의 모더니즘 기교는 독특한 은유, 직유, 환유, 상징 그리고 형이상시인들의 기상(奇想)보다 더 복잡한 기상의 사용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화자의 망설이는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을 투사하고 있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는 확실히 그의 전통적인 하버드 습작시와 모더니즘 대표시 황무지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는 혁신적인 모더니즘 최초의 시이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