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2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선형시스템을 등가의 선형시스템으로 치환하는 것은 해석이 간단하다는 매우 중요한 장점을 제공하지만 구조물의 실제 비선형거동을 정확하게 모델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능력스펙트럼법의 정확도는 정확한 등가주기와 등가감쇠비의 산정과 구해진 등가감쇠비에 따른 탄성응답스펙트럼의 수정방법과 그에 따른 요구곡선의 산정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곡선의 산정방법에 따른 능력스펙트럼법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TC-40과 Euro Code에서 제안한 감소 계수 등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Newmark와 Hall의 수정계수에 기초로 한 ATC-40에서 주어진 감소 계수에 의해 구해진 가속도 응답에 비해 Euro Code에서 주어진 감소 계수를 이용하여 구한 가속도 응답이 실제 평균 응답에 보다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사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방법과 절대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요구곡선을 산정하여 능력스펙트럼법의 정확성을 검증해 보았다. 절대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결과가 전반적으로 유사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결과에 비해 커짐을 알 수 있었고, 능력스펙트럼법이 전반적으로 응답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러한 큰 값을 주는 것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탄성 최대 강도에 대한 항복 강도의 비가 커질수록 그리고 항복 후 강성비가 커질수록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거의 없어짐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5.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구조물들은 강한 지진을 받을 경우, 비선형 거동의 변형이 예상된다. 구조물의 내진평가는 구조물에 가해진 지진력에 대한 변위요구와 같은 구조물의 성능평가를 필요로 한다. 여러 가지 비선형해석법 가운데 구조물의 내진역량을 계산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방법은 비선형 시각이력해석(NRHA)이긴 하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을 보다 간편하게 예측하기 위한 정확하고 실용적인 비선형 약산해석법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부 약산적 방법 중 능력스펙트럼법(CSM)은 개념적으로는 간단하나 반복적인 계산과정과 함께 때로는 해가 없거나 중복적인 해를 갖는 약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성골격곡선으로부터 산정한 구조물의 초기 탄성진동주기 T와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산정한 비선형 유사가속도 h_{y} /g 및 연성비 \mu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계산과정 없이 복합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NDSM)을 고려한다. 다양한 지진과 복합구조물에 대한 NDSM의 신뢰성과 실용성을 비선형 시각이력해석(NRHA)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토하였다.
        4,000원
        26.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우드 중첩법은 구조 동역학 문제의 선형 거동해를 위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우드 중첩법의 큰 장점은 보통 저차 모우드의 작은 수 만으로 구조물의 거동해석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수의 자유도를 갖는 거대 구조물에서는 수렴속도가 느리고, 정확한 모우드 중첩법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모우드 수가 필요하게 된다. 모우드 중첩법의 부정확성은 사용되는 모우드 수의 절삭에 의해서 발생된다. 이러한 단점들은 모우드 가속도법에 의해서 극복될 수 있다. 조화하중을 받는 단순보에 대하여 예제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두 방법에 의해서 절점 변위들의 수렴성을 비교하였다.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갖는 하중에 대하여 모우드 가속도법은 저차 모우드 1개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 방법은 수치해석에 있어서 더 경제적이며 또한 정확한 해가 된다.
        4,000원
        2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얀시와 관련된 안구 운동 체계를 평가하한 방법으로 사위 검사와 입체시 검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사위 검사법에 따른 사위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원거 리 완전 교정 상태 에 서 von Graefe method 및 Maddox rod test로 원 거 리 (6m) 및 근거리 (40 cm) 수평 사위륨 측정하고, Pola test로 원거리 (6m) 수평사위를 측정한 후, 각각의 잠사 결과를 바교하였다. 또한 사위도의 변화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올 조사하기 위해 동적 입체시 검사법 종 하나인 Three Needle test( 셰막대 섬도지각계 검사)를 실시한 결과 von Graefe method 및 Pola test로 측정한 원거리 수평 사위와 Maddox rod test로 측정한 수평 사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von Graefe method로 측정한 AC/A비가 Maddox rod test로 측정한 AC/A 비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사위를 교정하기 전과 후에 측정한 입체 시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샤위 교 징 후 프리즘 가입 도수가 중가할수록 입체 시력이 감소하였고, 동일한 양의 B.I. 및 B.O. 프리즘 가입시 입체 사력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사위를 교정하기 전과 후의 업 체시력과 PD는 상관 관계가 없었고, 타게트탈 앞으로 당기면서 측정한 업체시력이 타게트를 뒤로 밀면서 측정한 업체 시력보다 델 예민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9.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능에 기초한 설계법에서는 비선형 응답산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비선형시각이력해석법, 비선형 정적해석법, 비선형 효과를 고려한 등가선형해석법 등이 있다. 일부 규준에서는 pushover곡선으로부터 작성한 성능스펙트럼과 선형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작성한 요구스펙트럼으로 이루어진 능력스펙트럼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개념적으로는 간단하나 반복과정이 요구되며, 부정확한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시행착오적인 등가선형 스펙트럼대신 비선형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비선형 요구스펙트럼은 표준적 선형 설계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등가선형의 경우보다는 계산과정이 대폭 줄어들기는 하나 아직도 다소의 연산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자유도계의 구조물에 대한 pushover곡선으로부터 구조물의 진동주기와 항복강도를 구한 다음, 일련의 계산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비선형 최대응답을 구할 수 있는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NDSM)을 제시하극 집중질량계의 MDF(다자유도계) 모델에 대해 다양한 지진기록과 제하강성저하지수를 변수로 하여 NDSM의 적용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자유도계 구조물에 대한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에 의한 최대변위 응답은 비선형 시각이력해석법에 의한 응답과 거의 일치하므로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2)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과 비선형 시각이력해석에 의해 산정된 죄상층 변위 결과를 비교하면, 항복후강성계수가 0.1, MAD(modal adaptive distribution)에 의한 수평정적하중분폰 그리고 제하강성저하지수가 0.2~O.3일 때 평균오차가 가장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0.2%와 64.3%로 판막재건술을 시행했던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두 군 사이의 통계학적 의의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건삭파열 및 유두근 파열로 인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가장 많은 병리조직학적 원인은 비특이적 변성이었다. 또한 판막 폐쇄 부전의 원인이 승모판막의 퇴행성 병변일 경우에 수술적 방법으로서 승모판막 재건술은 그 장기 성적이 양호하고 수술적 결과가 승모판막 치환술과 비교적 우월한 차이를 보이므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대상 혈관의 정확한 수술 전 평가 등을 통해 중장기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25^{\circ}C에서 49.30% (76.66mg/kg)로 나타나 주로 25^{\circ}C 이하에서 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양온도에서 검지 된 뷰틸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1,463.87mg/kg, 계분에서 96.72mg/kg, 우분에서 129.18mg/kg이 발현되었으며 돈분의 경우 93.31%(1,365.95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7.92%가 3일령, 4일령과 6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계분의 경우 37^{\circ}C 처리구에서 76.60%(74.09 mg/kg)로 발현되었고 이 중 88%가 1일령, 2일령과 5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우분의 경우 61.55%(79.51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9.6%가 1일령, 3일령과 4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4. 배양온도에서 검지된 이소밸릭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6,885.99mg/kg, 계분에서 307.47mg/kg, 우분에서
        4,000원
        31.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접촉분해 경유에 함유된 유용 방향족 성분(나프탈렌류 성분:탄소수 10-12)의 분리법으로서 추출법과 액막법을 분리성능 면에서 비교했다. 추출법의 용매로서는 dimethylsulfoxide수용액을, 액막법의 막상으로서는 dimethylsulfoxide와 saponin의 혼합수용액을 각각 사용했다. 추출법에서 얻어진 노르말-노난을 기준 성분으로한 나프탈렌류 성분의 선택도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급격히 증가했으나, 액막법에서 얻어진 선택도는 온도에 무관한 경향을 나타내어, 실온에서의 추출법에 의한 나프탈렌류 성분의 선택도는 액막법에서 얻어진 선택도는 온도에 무관한 경향을 나타내어, 실온에서의 추출법에 의한 나프탈렌류 성분의 선택도는 액막법에 비해 컸다. 또, 회분 교반조를 사용하여 두 분리법으로 부터 나프탈렌류 성분의 물질이동속도를 측정한 결과, 추출법의 연속상측 물질이동계수는 액막법의 막상측 투과계수에 비해 약 280배 컸다.
        4,000원
        32.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roque music is not only characterized but also classified by the dualism of stile antico and stile moderno. Though the definitions of dualism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orists and composers, Monteverdi's theory and practice of prima prattica and seconda prattica are known more widely. From the view point of Monteverdi, it can be said that prima prattica is the contrapuntal style of Renaissance as a technique making music more important than the text and seconda prattica is the homophonic style making word more important than music. These two styles or techniques appeared throughout the Baroque period, but the Baroque period was opened by seconda prattica regarding stile moderno. Seconda prattica was beginning to appear in the Venetian school already at the end of Renaissance, but the embodment of it was realized by camerata of Italy at about 1600. They developed monody to depict the meaning of text clearly and made the new music forms finally come into the world, Seconda prattica became a technique creating new styles or forms that left the style of the previous period. Monteverdi did not make new music with seconda prattica, but his introduction of seconda prattica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Baroque music. Since Monteverdi led the creative activity from the end of Renaissance to the middle of the Baroque period as we know, his works have all characteristics of prima prattica and seconda prattica. Especially, when we look over the 8 madrigal collections among his works, the first 4 collections were written with prima prattica and the last 4 colletions were written with seconda prattica. Monteverdi's seconda prattica attempts changes not to monophony but polyphony with the new styles and techniques such as homophony, chromatics, dialogue in monodic style and concitato style. Considering the above, Monteverdi could be considered a progressive with conservative inclination. Monteverdi's seconda prattica is understood also in the background of the conservative style. Seconda prattica was used in his madrigal collections(some parts of 4, 5, 6, 7, and 8). These are summerized as follows; (1) From the fourth collection, Monteverdi emphasized the meaning of text by means of monophonic texture and also employed polyphonic melisma for the expression of the text. Chromatics and dissonance do not appear frequently, but those being used are very expressive. Monteverdi showed a turning point of compositional technique for the music of the future. (2) Seconda prattica accepting unprepared dissonance began to appear from the fifth collection. Using the new technique of harmony and continue in madrigals, the new form known as contino madrigal was born. Monteverdi presented this for the first time when he put continue into the last 6 madrigals of the 5th collect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seconda prattica found in the 5th collection is the continuo accompaniment, and concertato style by the combination and contrast of ensemble and chorus. (3) The 6th collection describes the meaning of the text by means of various musical devices. About half of the madrigals in the 6th collection are madrigal cycles. Lamento d'Arianna and Sestina expressing condolence to Martinelli are among the best known examples. (4) The 7th collection titled "concerto" is consisted of various madrigals for 2, 3, 4 and 6 voices including monody. The instrumental music for sinfonia, ritornello and concertato expression appears frequently. Each madrigal has a continuo melody and there are no madrigals written in the old style. (5) The 8th collection (Madrigali Guerrieri et Amorosi) is characterized by various expression as the title, "war and love" shows. For example, the expression of the first madrigal, Altri canti d' Amor is maximized by 6 voices, enlarged instrumentation and developed concertato style. Monteverdi partially employed concitato style as well as non harmonic tones more skillfully, and also triadic melodies and running repeated motives for the expression of terror, fury and warlike feelings. Monteverdi is the first composer who introduced the theory of Baroque dualism. He also explained the structure of Baroque music applying the theory of dualism to his madrigals. Monteverdi is a composer who lived in a transitional period between Renassance and Baroque, but he did not stay for only playing a bridge role to link both periods and showed a model for mature music employing dualism. Monteverdi not only introduced the theory of dualism but also transmitted sconda prattica to the various new techniques in his madrigals,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dramatic works including opera and new music forms.
        5,800원
        35.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6.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물생산시설의 구조설계 과정에서 초기단계의 고정하중을 합리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식을 유도하여 구조설계 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생물생산분야 종사자가 간편하게 구조적 안전성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의 온실설계자료를 수집하여 실제 하중을 산출, 분석해 본 결과 기존의 일본 시설원예기준 적용치와는 차이가 있었으며, 잠정적으로 국내 시설에의 적용을 위한 추정식을 유도하였다. 2. 지역별 설계하중을 적용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고,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에 따라서 풍하중 및 설하중 지배지역으로 안전설계 지역구분을 실시하였다.
        4,000원
        38.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ansfer matrix method has been extensively used to analyze the vibration problem. The final stage in this method is to find out solutions which make the frequency determinant zero. However, the frequency determinant includes the exponential terms and it causes instability to calculation and increases error. Recently the frontal transfer matrix method was suggested by Okada to heighten stability and effectivity in calculation. This paper applied the frontal transfer method to both the beam and torsional system, and confirmed stability and effectivity in comparsion with the transfer matrix method and the Holzer method.
        4,000원
        3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p arrangement ranking method (CARM) is a method for a rapid and small-sample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in rice breeding program. This study was compared to four different scale ranges (1~11, 1~9, 1~7 and 1~5)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ARM using sixteen Japonica and four Tongil-type cultivars. The wide scale ranges were higher of that than narrow scale range on determination coefficient between standard sensory evaluation method (SSEM) and CARM. However, the wide scale ranges were required more time and efforts than those of the narrow scale ranges for eating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The wide scale ranges of 1~11 and 1~9 were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ivars in the scale 3 and 4. On the other hand, the narrow scale ranges of 1~7 and 1~5 could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in all scales. We suggest that two scale ranges for CARM were 1~7 (7 classes) in including Tongil type cultivars and 1~5 (5 classes) in Japonica cultivars.
        40.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TW3법에서 골성숙 가중치가 가장 높은 7부위를 선정하여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 여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2014년 3월에서 2015년 3월까지 성장판검사를 시행한 소아 72 명(남 36명, 여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아 손 전후영상에서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여 회 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각 연령마다 특정범위에 상응하는 평균과 표준편차 값이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 록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 길이가 감소하였다. 또한 여아가 남아에 비해 평균값이 작게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 과에서 성장판과 골 말단부 부위 측정 길이와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p<0.001)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아 손 전후영상에서 TW3법의 응용을 통한 회귀방정식으로 골연령의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