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폰툰형 부유식교량의 시간영역 지진응답해석을 지진파의 공간분포를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지반운동의 공간변화는 파의 통과 영향, 엇결성 뎡향 및 국부지반 영향을 반영하는 결맞음 함수 모델로 고려하였다. 부유식 교량의 상부구조는 공간뼈대요소와 탄성현수케이블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고, FHWA 가이드라인의 스프링 모델을 사용하여 교대의 지반 구조물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엿으며, 경계요소법으로 산정한 폰툰 동수력계수의 주파수 의종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시간지연함수를 사용하였다. 지반운동의 공간변화를 고려한 다중지점 지진입력을 교량의 양단에 도입하였고 응답의 시간이력을 동시 가진 시와 비교하였다. 장주기의 동적특성을 갖는 이산폰툰형 부유식 교량의 지진응답 해석에서 지반운동의 공간분포를 고려할 경우에 주몰할만한 응답의 증폭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분석법을 활용하여 북동태평양 ODP Leg 204 시추 코아 시료에서 산출된 부유성 유공충 Neogloboquadrina pachyderma 권각의 감긴 방향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결정하였다. 이것은 유공충 군집 이미지에서 N. pachyderma 개체를 자동 인식하게 한 것이며, N. pachyderma 권각 방향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판독 방법을 사용한 결과 유공충 시료에 대한 정량 분석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되었으며, 실제현미경을 통한 관찰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약 90% 만큼 높게 일치하였다. 이 수치는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분석이 미고생물학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다중지점 지진입력에 대한 부유식 교량의 동적 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부유식 교량은 수직방향으로는 이산 폰툰에 의해 지지되고 수평방향으로는 프리텐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된다. 부유식 교량의 상부구조는 공간뼈대요소와 탄성현수케이블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고, 폰툰의 부가질량 및 부가감쇠는 경계요소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동수력 계수의 주파수 의존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시간지연함수를 사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다중지점 지진입력은 교량의 양단과 케이블 앵커에서 도입하였고 응답의 시간이력을 동시가진 시와 비교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케이블 장력 등은 동시가진 시보다 다중지점 지진입력 시에서 더 큰 응답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의해 운영되는 서울시내 31개 지역의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에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1년 동안 측정한 자료 중, TSP와 PM10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한 자료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한 후 여러 가지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맞추어, 각 토지 이용 상태별로 환경기준을 초과한 분진농도의 경향성을 비교해 본 결과, TSP의 경우 초과농도의 전반적인 발생분포가 녹지, 주거, 상업, 준공업지역 순서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준공업 지역에서 351.0±35.9μg m3로 가장 높은 초과농도를 보였다. PM10의 초과농도는 주거지역에서 182.9±42.4μg m3의 최고농도를 보이며, 초과농도분포는 준공업, 상업, 녹지, 주거지역 순서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발생빈도수를 각 지점별 측정망수로 나누어 준 결과 주거지역에서 21회로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초과빈도수를 보였다. 이들 초과농도자료들만에 국한시켜 시간적 주기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관측되는 부유분진 자료들과 차별화 된 경향성이 어느 정도 확인되었다. 특히 계절적인 주기로 구분하였을 때, 일반농도자료는 PM10과 TSP 모두 겨울철에 가장 큰 농도를 보인데 반해, 초과농도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PM10의 연도별 경향성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측정이 시작된 1995년 이후 초과농도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그 발생빈도수는 최근에 들어 괄목할 만큼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동계와 하계 동안 부유물질의 변동 및 이동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염분과 조류, 부유물질의 특성이 조사되었다. 무안만에서 부유물질 함량은 계절적으로 크게 변하여 동계에 낮고 수직적으로 균질한 반면, 하계에 높고 수직적으로 성층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하계에는 영산강하구언의 갑문조작에 따라 유입되는 담수와 부유물질이 남쪽을 따라 흐르던 연안류가 약화되면서 북측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유물질의 잔여이동은 서측 만입구에서는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창조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면서 계절에 무관하게 만 내로 유입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남측 만입구에서는 낙조우세와 서측 만입구에서 조석의 비대칭 현상에 의해 만 외부로 유출되는 경향을 보인다. 부유물질의 잔여이동량은 서측 만입구에서 0.0078kg/m · sec, 남측 만입구에서 -0.0955kg/m · sec로 무안만이 전반적으로 침식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침식현상은 만 내의 조간대를 중심으로 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Floating debris was recorded from a training ship, #1 Kwarnksan,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ith about 10 knots speed during March, May and July of 1997. The area sampled is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divided into 40 unit segments on survey routes.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using the following ; man-made or natural wood items, paper, cardboard, nylon rope, netting, styrofoam and plastics, floating metal and glass containers. All identified items within a 〈TEX〉100 ± 2 m〈TEX〉 wide band were recorded but ignored if beyond this boundary.The results of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loating debris in the area as follows:1. The quantities of debris during the duration of survey were distributed from 2~605 items per km2. The most obvious trend is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all debris. 2. The highest densities of all debris were discovered in the coastal waters of Seoimal lighthouse, the southeastern part of Koje island, next near Nakdong estuaries. Especially styrofoam & plastics were observed in 77.4~87.2% of sampled area, next is wood items, 9.1~ 13.5%. And nylon netting & rope, 3.6%, was the third item of pollutant. Others are very small. 3. Compared with the East Coat of Korea, the quantities of all debus in theSoutheastern Sea are 6 times as large as the East Coast. The survey provides a basis for more detailed survey work in the South Sea. Further surveys are being investigated, and from this it is hoped that a much wider coverage can be achieved, perhaps on all sites of the Coast of Korea and contributed to the removal method, finding of sources, stationary area of debris.
본 연구는 2차원 순압모델을 사용하여 황해와 동중국해에서 조석잔차류와 춘 하 추 동 4계절의 해상풍에 의한 해수 순환과 이러한 순환에 의한 부유물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황해 해수 순환의 주요 외력은 조석과 바람이라고 생각되어, 조석은 M2 조석으로부터 조석잔차류를 계산하였고, 계절별 바람으로서 1월(겨울), 4월(봄), 7월(여름), 10월(가을)을 사용하였다. 조석잔차류는 한국 남 서해안과 제주도 부근과 중국 양자강 하구역 부근에서 크게 나타난다. 제주도 부근에서는 10 cm/s 이상의 최대 잔차류가 나타나며 시계방향의 순환을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남해안을 따라 동향류의 경향이 있다. 또한, 중국의 연운항에서 상하이 사이의 영역에서는 한국의 남해로 향하는 순환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바람에 의해 형성된 순환은 북풍의 성격을 띤 1월, 4월, 10월에는 해역에 시계 방향의 순환이, 남풍과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 7월에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이 우세했다. 이로 인하여, 한국연안에서는 7월을 제외하고는 남향류가 나타났다. 부유물은 조석 잔차류와 취송류에 의해 이동한다. 10일 동안의 이동에서는 수 십 cm/s에 달하는 취송류가 조석 잔차류보다 크게 작용했다. 그러나, 수 개월 이상의 이동에 있어서는 수 cm/s의 조석잔차류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Planktonic crustaceans were collected monthly around Hamduck,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from April 1989 to March 1990. Occurrence of mean individuals (244 rods. m^(-3)) from inner~ay stations was 2.4 times higher than that (102 rods. m^(-3)) in outer-bay stations. Mean biomass (wet weight, 18.6 mgm^(-3)) from inner-bay stations was 3.6 times higher than that(5.2 mgm^(-3)) in outer-bay ones. The estimated mean values (251.5 ㎍Cm^(-3)d^(-1)) of daily production from inner-bay, having 141.1 ㎍Cm^(-3)d^(-1) of annual mean, was 2.8 times higher than that (90 ㎍Cm^(-3)d^(-1)) in outer-bay. The ratio of daily production of biomass with average value 0.17 suggested a high turnover rate to maintain a temperate costal ecosystems, in spite of a low biomass around Cheju Island.
1987년 6월-1988년 4월까지 격월로 제주도 해안선주변 10개 정점에서 부유성 갑각류의 현존량과 생산량을 야간채집, 조사하였다. 계절별 평균개체수는 12월에 가장 낮고, 6월에 가장 높았는데, 이들 개체의 대부분(90% 이상)은 90μm 망목의 네트로 채집된 것으로 이뤄졌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의 범위는 6.6-55.0mgm^(-1)(평균 16mgm^(-3))이고, 여름에 높았다. 일일평균 생산량 역시 여름(369μgCm^(-3)d(-1))에 높고 겨울(112μgCm^(-1)d^(-1))에 낮았다. P/B의 비(평균 0.25)는, 수온이 높고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많은 계절에 높은 값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 in the Keum River Estuary. Water sampling was carried out regularly with response to the tidal cycle from September, 1986 to August, 1987. Analyzed or observed items were sea water temperature, salinity, TS, TDS, TSS, VSS, FSS. and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wind velocity, precipitation, tidal cycle and TSS were investigated. It is found that the sea water temperature is the lowest in January(2.5℃)and the highest in August(24.4℃), and increases toward upstream in summer and vice versa in winter. Salinity is the lowest in August (13.6‰) and the highest in December(20.3‰), and the annual mean value shows 13.6‰. TS and TDS are firmly related with the variation of salinity, thus, high in spring and low in summer. The annual mean values of TSS in 199.8(65.3∼454.5)㎎/ℓ, highest in March 308.2(67.5∼792. 3)㎎/ℓ and lowest in June 36.8(10.9∼200.0)㎎/ℓ. The annual mean values of VSS is 22.0㎎/ℓ, its variation tendency is similar to that of TSS. The annual mean value of VSS /TSS ratio is 13.9(6.8∼20.2)%, which are not high level compared with those of polluted sea areas. This ratio is high in summer(24.1%) and low in autumn(13.3%), and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direction. It is also revealed that TS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ind velocity(r=0.59), and a negative with the precipitation in the Keum River basin(r=-0.64). TSS concentration is primarily subjected to the tidal range and the freshwater discharge and also related to the resuspension of bottom sediments by the action of wind force or wind waves. The dilution rate is strongly subjected to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freshwater discharge, therefore, TSS concentration shows low in summer and high in winter. Under low discharge condition in spring, autumn and winter, TSS, VSS are high level in spring tide compared with those in neap tide : under high discharge condition in summer, these values are reversed that is, TSS is higher in neap tide than in spring tide.
To study the abundances of ichthyoplankt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ichthyoplankton were sampled with standard net at approximately one month intervals from February, 1987 to January, 1988.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study area showed large seasonal fluctuations due to the inflow of Nakdong River. Among 8 taxa of pelagic eggs occured in the study area, Sillago spp. occupied 37.3% of the total eggs; Coilia spp., 35.8%; Repomucenus spp., 13.7%; Engraulis japonica, 9.4%. These 4 taxa occupied 96.4% of the total eggs. Among 26 taxa of fish larvae, Engraulis japonica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and occupied 36.8% of the total larvae; Gobiidae, 15.3%; Repomucenus spp., 15.0%; Coilia spp., 14.0%; Hexagrammos otakii, 6.8%; Omobranchus elegans, 4.4%. These 6 taxa occupied 92.3% of the total larvae, The densities of pelagic eggs were more than 100 eggs/ 1,000m super(3) from May to October. The densities of larvae were 3.8~221.3 larvae/1,000m super(3). They were relatively high in May, July, and Aug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