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10 Badminton players with 10 common students on smash
motions. These smash motions were analyzed by a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and kinetic
variables were calculated by using a ground reaction force system to
문화콘텐츠는 기획에서 출발하여 창조산업으로 점차 고도화되고 글로벌화 되면서 사회커뮤니케이션 욕구를 충족시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 중 하나인 애니메이션산업이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으로써 동. 서양 사상과 문화적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미국과 한국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 설문하여 관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토대로 동. 서양 애니메이션의 특징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 애니메이션의 글로벌 마케팅을 위한 애니메이션 제작 및 개발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EnergyPlus is used for the analysis of energy demand at two rural house models. Photovoltaic (PV) system is installed to reduce the energy demand of annual building. The energy economic analysis is performed to provide quantitative data at choosing a suitable house model. Two types of PV system installations are considered as each building type. Among 4 different case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the best setup is provided for 12.3 years at recovering PV system installation cost.
The annual energy demand of the standard rural house models Nongrim-10-26 -ga was analyzed using the DesignBuilder. Size of window and type of window were selected as simulation parameters. As a result, heating energy demand was 8.3 times higher than cooling energy demand and reducing heating energy demand is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total building energy. When increasing window glazing size, internal heat gain and loss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outdoor weather conditions. Cooling energy demand increases in summer and heating energy demand increases in winter. When the type of window was changed, cooling energy demand was decreased as the SHGC value was decreased. However, heating energy demand was changed depending on both of the SHGC value and U-value of the selected window type.
본 연구는 숲에서의 체류시간에 따른 생리적 반응을 분석하여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는 전주시 건지산 일원의 편백나무 숲에서 평균 연령 53.33세의 여성 18명을 대상으로 숲 체류 5시간 동안의반응을 측정하였다. 생리적 반응으로 뇌파, 심박변이, 혈압, 맥박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숲에서 체류하는 동안 알파파 발생 빈도가 증가하여 생리적 안정이 이루어졌으며 숲에서 4시간 체류할 때 중추신경계의안정을 통해 스트레스 완화효과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율신경계 측면에서 이완 및 스트레스 완화를 설명하는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혈압 및 맥박의 감소 효과가 나타난 피험자 집단이 숲 체류 후 증가하였으며 최소 2시간부터4시간까지 효과가 나타난 피험자의 빈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생리적 반응분석에 의하면, 숲 체류에따른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있어서 숲에서 2-4시간 머무를 때 가장 많은 이용자가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얻을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the PEMFC performance was studied using three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The effect of GDL porosity and cathode inlet humidity on the cell polarization curve was analyzed. The GDL porosity of 0.3, 0.5, 0.7 and cathode inlet humidity of 20, 40, 60, 80, 100 percent were selected as simulation cases while the anode inlet humidity was maintained as 100 percent. For a constant cell voltage condition, the highest current density was obtained at GDL porosity of 0.7 and cathode inlet humidity of 20 percent. As GDL porosity increases, the amount of hydrogen diffusion to membrane from the anode increases and chemical reaction also increases. As cathode inlet humidity decreases, oxygen mass fraction of cathode gas channel increases and chemical reaction also increases.
This study was to use the 3D visual device and surface reaction device for 6 male middle school
gymnastics players and 6 plain students and analyze the factors to execute stable handspring and
provide a guideline to teach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o ex
메이크업 및 분장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메이크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일반 사용자들은 자신의 얼굴에 가상으로 다양한 화장품을 적용함으로써 자신에게 어울리는 화장품 및메이크업 스타일을 간편하게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다. 이러한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정확한 화장품의 컬러 표현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는 화장품 선택 시 사용자의 얼굴 피부색은 반영되지 않고 화장품의 컬러만 덧씌우는 형태로 자연스럽지 못한결과를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상에서 피부색을 반영하여 자연스럽게 화장품의컬러를 나타내는 실감 컬러 재현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에 대한 측색을 통하여 화장품의 종류에따른 색상분포를 분석하였고, 실제 피부색에 대하여 화장품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스펙트럼 측정을 통하여 피부색에 화장품이 적용된 후 컬러 변화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정확한 혼합 결과를 모델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모델링한 결과와 실제 화장품 혼합 결과를 스펙트럼 측정 후 비교한 결과, 오차값이 ΔEab6이하로 실제 컬러와 유사한 컬러를 모델링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Of many approaches to reduce motion analysis errors, the compensation method of anatomical landmarks estimates the position of anatomical landmarks during motion. The method models the position of anatomical landmarks with joint angle or skin marker displacement using the data of the so-called dynamic calibration in which anatomical landmark positions are calibrated in ad hoc motions. Then the anatomical landmark positions are calibrated in target motions using the model. This study applies the compensation methods with joint angle and skin marker displacement to three lower extremity motions (walking, sit-to-stand/ stand-to-sit, and step up/down) in ten healthy males and compares their performance.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s, two sets of kinematic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different two marker clusters, and the difference was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nsation method with skin marker displacement had less differences by 30~60% compared to without compensation. And, it had significantly less difference in some kinematic variables (7 of 18) by 25~40% compared to the compensa- tion method with joint angle. This study supports that compensation with skin marker displacement reduced the motion analysis STA errors more reliably than with joint angle in lower extremity motion analysi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한민국 주변도의 제작에 가장 적절한 투영법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과제를 설정한다. 첫째, 기제작된 지도와 투영법 선정의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몇 개의 후보 투영법을 선정한다. 둘째, 왜곡도 분석 기법에 대한 상세한 리뷰를 통해 투영 왜곡 분석을 위한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셋째, GIS-기반 투영 왜곡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의 투영법을 선정한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람베르트 정형원추도법, 알베르스 정적원추도법, 람베르트 정적방위도법, 그리고 정거방위도법이 일차적인 후보 투영법으로 선정되었다. 둘째, 극소 스케일의 국지적 왜곡도 지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며, 국지적 왜곡도의 값이 실질적으로 산출되어 공간적 분포의 시각화나 통계량 계산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이 인식되었다. 셋째, 투영 왜곡 분석을 위한 플랫폼으로 PDAT(Projection Distortion Analysis Tool)가 선정되었는데, 이것은 국지적 왜곡도 지수에 기반하고 있으며, GIS 상에서 투영 왜곡 분석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PDAT를 통해 투영 왜곡 분석이 실시되었고, 그 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 결과 람베르트 정적방위도법이 최종적인 투영법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전도에 대한 적절한 투영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본 시험은 한국 고추 육종에 이용되는 교배친의 고추맛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유전가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고추맛과 원예적 특성이 상이한 ‘#1803’(P1)과 ‘#1532’(P2) 두 교배친을 교배하여 이들의 F1, F2 세대를 본 시험의 공시 재료로 이용하였다. Partitioning method에 따라 고추맛은 A-a와 B-b 두 유효 유전자에 의하여 지배되는데 F1 세대는 우수 교배친 P1보다 더 우수한 초우성 현상과 F2 세대는 초월 분리가 일부 나타났다. 고추맛의 유효 유전자 효과는 A-a 유전자에 의해 0.36, B-b 유전자에 의해 0.64가 증가하였다. 한국 고추맛은 유효 유전자간에서 0.94의 간섭효과와 최대 2.86의 제 2효과가 관여하여 복합적인 유전양식을 나타내었다.
국내야생종인 새머루로부터 내병성 포도품종 육성에 필요한 육종소재와 유용정보를 획득하고자, 포도 새눈무늬병균과 줄기혹병균에 감염된 새머루에서 식물 방어관련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Thaumatin (TLP),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S-transferase (GST), chalcone synthesis (CHS), protein kinase regulator (14-3-3) 및 β-glucanase (Glu) 등의 방어관련유전자, leucine reach-repeat (LRR)와 lipoxygenase (LOX) 등의 신호전달관련유전자,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과 같은 세포벽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포도 새눈무늬병균 접종에 의해 유도되었다. 포도새눈무늬병균의 포자접종 및 배양여액처리에 의해 WRKYtranscription factor 10 (WRKY), fatty acid elongase (FAE)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proline-rich protein (PRP) 유전자의발현은 억제되었다. 발현이 증가한 15개 유전자 중에서 LRR, LOX, TLP, GST 등은 포도새눈무늬병균 포자현탁액 접종에 의해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CHS와 tonoplast intrinsicprotein (TIP)는 배양여액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포도 줄기혹병균의 접종에 의해 LRR, CLP, LOX, TLP, GPX, 14-3-3,GST, PGIP, FAE, TIP, Glu, WRKY 등은 발현이 증가하였고, CHS와 PRPs는 발현이 억제되었다. 포도 줄기혹병균 접종에 의해 활성산소의 축적 및 분해와 관련된 GPX와 GST는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다.
딜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항산화 물질 및 항암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은 자원의 보존, 관리 및 새로운 품종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제공한다. 본 연구는 Dill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위한 마커 선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1. 유전적 다양성 평가를 위하여 Operon사의 OPA, OPB 그리고 OPC 3 set, 60개 RAPD 마커에 대해서 1차 선발 후, 재현성이 있는 마커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RAPD 마커의 다형성 분석을 위하여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중인 dill 자원 16점을 사용하였다.
2. PCR 산물의 크기가 200 bp에서 3,000 bp 사이에 있는band들을 분석한 결과, 마커 당 평균 7 ~ 14개의 단편들을 나타내었다. 총 band 수는 119개였으며, 그 중 109개가 다형성을보였다. 총 12개의 마커 중 7개의 마커는 모든 band가 다형성을 보였고, 나머지 5개 마커는 70%~ 91%가 다형성 band였다. 각각의 마커에 대한 Nei’s gene diversity(H) 지수는 0.13 ~ 0.28였으며, 평균은 0.214이다. Shannon’s information index(I) 지수는 0.23 ~ 0.44이며, 평균은 0.353이다.
3. UPGMA tree에서는 그루지아 원산 1점을 제외한 15점이 3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 I은 2점, 군집 II는 11점이 포함되었으며, 군집 III에서는 2점이 포함되었다. 본 실험으로 선발된 RAPD marker들은 dill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 스케일의 내부 구조를 갖는 3차원 인공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개발된 제조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해 x-y축 정밀 스테이지 시스템으로 조립되었을 때의 해상도 및 정확도를 측정 하였으며, z축 정밀 스테이지를 분리하여 다양한 물리적 오차를 제거하였다. 기존의 x-y-z축 정밀 스테이 지 시스템을 x-y축으로 분리하고 각 축의 이동거리를 4종류(±0.25μm, ±0.5μm, ±25μm, ±50μm)로 설정하여 각 위치마다의 변위를 레이저 측정기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가장 작은 이동거리(±0.25μm)에서의 진동이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y축 스테이지 위에 x축 스테이지를 조립하였기 때문에 x축 스테이지 자중에 의한 모멘텀으로 인하여 y축 스테이지 구동변위 값이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z축 스테이지는 기존 시스템과 달리 별로도 분리하여 구동 오차를 줄였으며, 일체화된 광학시스템을 적용하여 광학오차를 감 소시켰다. 따라서 새로운 시스템에서는 500μW, 140mm/min의 가공조건에서도 마이크로 스케일의 3차원 인 공지지체 형상의 구조물을 성공적으로 제작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