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um hypering conditions are found for IIIa-J, IIIa-F, 103a-O, 103a-D, and IIa-O plates using hypersensitization machine in KAO. For every experimental plate we get speed gain, fog increment, signal to noise ratio and relative DQE according to hypering time and temperature. The hypersensitization method is baking with 8% hydrogen mixed gas. For IIIa-J, 103a-O, and 103a-D plates treated 65∘C 65∘C , 3 hours baking, the speed gains arc increased by about 10 times, 2 times, and 2 times compared to untreated plates, respectively. The fogs are increased by 0.08, 0.10, and 0.08, respectively. For IIIa-F, IIa-O plates treated 65∘C 65∘C , 2 hours baking, the speed gains are increased by about 4.7 times and 1.8 times compared to untreated plates, respectively. The fogs are increased by 0.15 and 0.04, respectively.
Astronomical plates have a very large density range (dynamical range). Many exposed astronomical photographic plates do not provide detailed structures for very high densities, and some include hidden images for very low densities. The former can be fixed through 'Unsharp Masking' technique and the latter through 'Image Amplification' technique. Besides, we can find intrinsic colors of celestial bodies through 'Tri Color Composition' technique. Images of several plates which were observed from Sobaek Observatory with 61cm telescope are reproduced by the three kinds of image reproducing techniques. As reproduced image examples, we display an Orion nebula and a waxing crescent moon images through unsharp masking technique and an M81 image through image amplification technique. An Orion nebula and a Dumbbell nebula images are also given as results of tri color composition technique.
The Automated Eichner Iris Photometer(AEIP) at the Korea Basic Science Center was tested for its function and the proper procedure for photographic photometry. The AEIP requires about three hours for reaching the electrical stability. When the iris is controlled automatically, the repeatability of density unit (DU) is accurate in the uncertainty of (0.0028∼0.0048 0.0028∼0.0048 )DU. The iris reading is found to be accurate within the mean error of 0.m05 0.m05 , which could be reduced to 0.m02 0.m02 by the manual control.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 AEIP. each two photographic plates for UBV colors which were taken by Dupuy and Zukauskas(l976) for the open cluster Byur 2, were measured by using the AEIP. and the photographic magnitudes and colors of the stars in Byur 2 were determined. discussing the previous results.
본 연구는 가시부 전영역에 감광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만들기 위하여 400nm부근에 흡수파장을 갖는 sunfast yellow와 700nm부근에 흡수파장을 갖는 α,β-copperphthalocyanine의 색소를 산화아연(ZnO)에 흡착분산시켰다. 각종 결합제(Binder)의 감도와 , 산화아연과 결합제와의 조성비에 따르는 변화실험의 결과 5.5:1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전자사진 감광체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전특성과 분광감도를 측정해 본 결과 sunfast yellow와 β-copper phthalocyanine을 혼합사용한 것이 가장 좋은 감도를 나타냈으며, 이 때 측정된 전자시진감도는 E1:2=1440 luxㆍsec이었다. 또한 분광감도 측정결과는 가시부전역에 걸쳐 감도를 감광체임을 확인하였다.
Paper I (김강민외. 1991) 에서 만든 초증감처리 장치를 보완하여 실용적으로 천체관측에 이용할 수 있도록 초증감처리 장치를 완성하였다. 초증감처리 장치의 주된 보완 내용으로는 진공처리조의 오븐 기능의 보완, 굽기통 (baking box) 사용, 농도쐐기마스크의 교체 및 현상의 균질도를 높이기 위한 자동현상기의 준비등이다. 8 % 수소 혼합가스를 채운 굽기처리에 의한 시험적인 초증감처리 결과, 일정한 초증감처리 시간에 대해 굽기온도를 높게 할수록 감도증가량은 커졌으며, IIIa-J 의 경우 4.8∼15.3 4.8∼15.3 배, 103a-0 의 경우 1.5∼2.1 1.5∼2.1 배의 감도증가를 보였다. 이 때의 안개농도는 0.1 이하의 낮은 값을 보였다.
여러가지 초증감 처리법 중에서 굽기(baking), 쐬기(soaking)과 진공처리(evacuation)를 할 수 있는 초증감처리장치를 설계 제작하고 초증감 처리 결과 시험에 이용되는 표준감광기 (sensitometer)와 농도쐐기 (step wedge)를 제작하였다. 이를 천체사진용 건판인 103a-O와 IIIa-J에 시험적으로 사용하여 감도와 신호대 잡음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A new technique of photographic observations i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time of minimum light of eclipsing binary. An instrumental system to accomplish the observation is described. With this instrument the atmospheric extinction coefficients in Seoul are observed, and four times of minimum light for Algol and W UMa are determined.
본 연구는 2019년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전시와 멧 갈라에서 제안한 대표 키워드인 수잔 손택의 ‘캠프’의 관점에서 현대 패션의 유행 현상을 포토그래퍼 팀 워커의 패션사진을 통해서 그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잔 손택의 캠프와 팀 워커의 패션사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방법론을 모색한다. 둘째, 패션에 있어 캠프의 주요 의미를 규정하고, 그에 따라 팀 워커의 패션사진을 유형화한다. 셋째, 캠프의 관점에서 팀 워커 패션사진의 특성을 도출한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첫째, 수잔 손택의 캠프는 동시대 패션의 유행 현상을 이해하는 연구 관점이자 방법론으로의 적용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워커의 패션사진은 캠프의 인공적인, 중성적인, 유머러스한으로 유형화 될 수 있었다. 셋째, 수잔 손택의 캠프 관점에서 팀 워커의 패션사진은 초현실적인 스토리텔링, 뉴트럴, 가벼움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다양한 유행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관점으로 수잔 손택의 캠프와 패션의 표현 매체로서 패션사진의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론은 인공적인-초현실적 스토리텔링, 중성적인-뉴트럴, 유머러스한-가벼움으로 관련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change of rural landscape and to consider problems followed by development restrictions lifted for Neobiul Village in Ansan City, Korea. Physical landscape changes were comprehended by a field study and interview with local residents, and the residents’ perception regarding the landscape changes were analyzed with the REP investigation metho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due to the lift of development restrictions and the deregulation of land use, the number of factories and warehouses for rent increased, which became a new source of income for the village. Second, the residents’ complaint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d traffic volume and waste from a sudden influx of factories and warehouses, which could not be handled by a small farming village. Third, a mix of landscape combining both city and farming village was formed due to the influx of external capital and the need of rental income, although the residents rather wanted Neobiul Village to become a residential village than a factory location. Furthermore, even in the farmlands near the village where development restrictions have not been lifted,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farming industry has decreased as a consequence of the increase in farmland rent and weekend farms.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change of rural landscape followed by lifted development restrictions affects the everyday life of residents living in Neobiul Village.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suggests a case showing the effects of national policies such as lifting development restrictions for rural villages in suburban areas.
본 연구는 통합적 경험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다채로운 숲 공간에서의 숲 사진 활동을 통해, 미적 요소에 기반을 둔 심미적 경험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 의미와 교육적 가치를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숲 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24주간 24회에 걸쳐 유아의 숲 사진 활동을 진행 하였다. 모든 유아는 숲 사진 활동에서 각 2회씩 사진을 찍고 찍은 사진을 통해 사진감상과 함께 이야기 나누기에 참여 하였으며, 활동순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법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는 ‘준비하기’를 거친 후 ‘관심가지기’, ‘사진 찍기’, ‘이야기나누기’, ‘확장 활동’ 순으로 진행하였다. 참여관찰과, 교사 및 유아 심층면 담, 비디오 녹화자료, 연구자 일지 등의 자료를 질적 연구의 주제범주에 따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숲 사진 활동을 통한 유아의 심미적 경험은 ‘아름다움을 발견(탐색)하는 유아’,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유아’, ‘관계를 만들어가는 유아’로 유목화 되었고, 이러한 심미적 경험은 유아들에게 배려성, 타자성, 사회성, 공동체성 등을 포함한 조화로운 인성교육이 실현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사진에서 나타난 유아의 은유적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유아가 유치원과 가정에서 찍은 사진을 활용하여 이야기 나누기를 하는 동안 새로운 사고가 표출되었으며 다양한 은유적 표현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유아의 은유는, 자신의 경험에 기반을 둔 은유적 표현, 유아의 적극적인 사진 읽기와 은유적 표현, 함께 나누며 더해지는 은유적 표현으로 유목화하였다.
우리나라의 토석류 위험지 관리는 산림청의 산사태 위험지 관리제도와 구 소방방재청의 급경사지 관리 제도를 준용하고 있으나, 토석류 위험지를 구체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토석류 발생지의 대부분이 황폐산지의 반복되는 토석류 발생지가 아니라,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토석류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위험지 관리 대책을 수립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는 지형 및 입지특성에 근거한 기준점 설정을 통해 토석류 위험구역 구획방안을 제시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 7월 토석류 피해지역인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일원의 퇴적토사량과 토석류의 도달거리를 산정하여 위험구역을 구획하였다. 실제 피해 대상지인 2개의 유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산정된 침식가능토사량(지질·계류 차수별 원단위 기준 산정법)과 운반가능토사량(총수량·용적토사농도 이용 산정법)을 현지 측량에 의해 얻어진 퇴적토사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침식가능토사량은 실측에 의해 얻어진 토사량과 유사한 범위에 있었고 운반가능 토사량은 과대치가 산정되었다. 토석류의 도달거리는 경험식에 지질·계류 차수별 원단위 기준 산정법으로 계산된 침식가능토사량으로 산정하였다. 경험식으로 산정된 도달거리는 수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의 판독으로 산정한 도달거리와 비교한 결과 유사 범위에 위치하였다. 수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을 판독하여 구획된 토석류의 퇴적범위는 구획된 토석류 위험구역 내에 위치하여 이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haptic interaction system that physically represents the underlying geometry of objects displayed in a 2D picture, i.e., a digital image. To obtain the object’s geometry displayed in the picture, we estimate the physical transformation between the object plane and the image plane based on homographic information. We then calculate the rotated surface normal vector of the object’s face and place it on the corresponding part in the 2D image. The purpose of this setup is to create a force that can be rendered along with the image without distorting the visual information. We evaluated the proposed haptic rendering system using a set of pictures of objects with different orienta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reliably identified the geometric configuration by touching the object in the picture. We conclude this paper with a set of applications.
Photogrammetry technique was applied to estimate the amount of recyclable waste paper from an apartment complex. Photos were taken to calculate pile volume of waste paper, and at the same time the weight of separated recyclable waste paper was measured. Volume of waste paper was calculated by PhotoModeler 2012, which is commercial photogrammetry software. At least three photos were required to calculate the volume of waste paper pile. After 4 times of field measurement and volume calculation, we obtained standard density of recyclable waste paper pile. The weight of waste paper pile was estimated by multiplying the density of waste paper pile by the estimated volume of waste paper pile. As results, the density of recyclable waste paper pile from an apartment complex was 32.6 kg/m3 (standard deviation was 10.1 kg/m3), and 70.2% of man·hour was saved by using photogrammetry technique. The amount of average recyclable waste paper generation from apartment complex was 91.8 g/capita/day,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12.4 g/capita/day.
본 연구에서는 사진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D시의 2개 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 유아 20명에게 하위 집단별로 8주 동안 주 2회씩 총 16회 사진을 활용한 언어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휘력과 언어표현에 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사후 검사 점수에서 사전 검사 점수를 뺀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사진을 활용한 언어활동은 유아의 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표현력의 하위 영역인 단어 수, 문장 수, 내용의 일치도, 내용의 연계성, 창의적 표현을 포함하여 언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used to the satellite photograph and drew up a flood inundation map. To past used digital map and showed reflect the inundation map and change of the city was difficult. The acquisition of the satellite photograph is easy from internet Site of Korea and is updated quickly. So, used the satellite photograph from flood inundation drawing up of existing and reflected the change of the city. Drawing up method of the inundation map in compliance with the research which sees the reflection of the land use which is actual is possible. Results of HEC-RAS with depth and an inundation location to be show easily. But there is to a combination method of the satellite photographs and GIS data and more objective and the subject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which has reached fixed quantity must be researched continuously jud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