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02

        1741.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부호주 밀재배 지역의 Durokoppin 자연보호 구역내 흰개미(Drepanotemes tamminensis(Hill)) 집의 분포와 밀도에 있어서 토양형보다는 식물상이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D. tamminensis의 집은 Woodland (우점종-Eucalyptus Capillosa)와 Casuarina (우점종-Allocasuarina campestris) 식물군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비록 Booram 토양형에서 개미집 밀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개미집 분포에 있어서 토양형이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4,000원
        1742.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넓은 잎 벌로랑이의 이용에 있어서 초기생육 부진이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유식물 활력증진을 위한 육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종자가 작은 MO-20과 종자가 큰 302921 두 채통을 와 의 생육상에서 재배하여 유식물 활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산화탄소 교환솔(CER)은 적외선 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closed system으로 측정하였다. 암호흡솔은 Gilson 호흡계로 측정하였으며 일당 순탄소 축적솔과 유식물 생장분석도 조
        4,000원
        1743.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륜산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은 개서어가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 개서어나무와 붉가시나무가 경쟁적 관계에 있는 조사구군, 붉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으로 크게 대별되었다. 대부분의 상록수림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난 붉가시나무는 굴참나무, 졸참나무에서 개서어나무를 거쳐 천이된 수종으로 판단되며, 참식나무로 천이될 것으로 추정된다. 개서어나무와 졸참나무는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참식나무 및 후박나무와 경쟁적 관계에 있다고 판단되며, 동백나무와 붉가시나무 그리고 참식나무와 육박나무는 각각 동일한 생태적 적소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4,800원
        1744.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도지역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생구조와 천이계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49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과 DCA ordination기법을 적용한 결과 동백나무군집, 후박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상록활엽수혼효군집 등 6개 군집유형으로 분리되었다. 식생천이계열은 교목상층군에서는 소나무→구실잣밤나무→참식나무, 황칠나무, 센달나무, 붉가시나무, 후박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군에서는 광나무, 자금우, 사스레피나무. 다정클나무→마삭줄, 남오미자, 까마귀쪽나무, 동백나무→식나무, 말오줌때, 천선과나무로 추정되었다.
        4,900원
        1745.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살피고, 이러한 문제점의 제시와 함께, 최근 I. U. C. N. 의 S. S. C. 에서 시안을 작성 중인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한 새로운 분류안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본 시안에 의하면 멸종종, 자생지 멸종종. 멸종위기종, 위기종, 취약종, 민감종, 안전/저위험종, 자료 불충분종 및 미평가종 등 모두 9개 분류군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시안이 더욱 다듬어지고 공식화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얼마간의 기간이 소요되리라 판단되며, 이 같은 움직임을 염두에 두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의 작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아울러 새로이 도입된 몇 가지 용어의 우리말 번역에 대해서도 앞으로 충분한 검토를 거친 후에 통일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749.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e seeds of the Rutaceae family, Zanthoxylum piperitum, Z. schinifolium officinalis, Poncirus trifoliata, Citrus unshin,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ir antioxidative components. Finely powdered samples were extracted by hexane, followed by dichioromethane and then 70% methanol in a hot bath. Its unsaponifiables containing X-and Y-tocopherol with trace amount of β-and δ-tocopherol. also showed comparatively weak activity, although the hexane fraction itself had no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 on lard. Levels of total tocopherols in the samples averages 42. 24-154. 11 mg/lOOg total extractives. The dichloromethane-and 70% methanol extractives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from which antioxidative substances were purified with benzene-acetone(6:5, V/V) on a silica gel column, and with a solvent mixture of acetonitrile-methanol-H2O(40:40:20, V/V/V) on a Sep-Pak C18 hydrolyzed by 5% KOH-ethanol. The recovered unsaponifiables were, then, separated on a column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unsaponifiables produced by hydrolysis of the isolates from dichloromethane extractives has epi-catechin(40.0-57.1%) and (+)-catechin〈l9.1~24.4% to total phenolic substances, on area base) as major component, accompanied by chlorogenic acid, gallic acid(?), trans-p-coumaric acid and tralls-p-ferulic acid including some unknown components, and those derived from 70% methanol extractives also comprise (+)-catechin(31.3~39.6% to total components, on area base), epi-catechin(2O.2~36.4%), trans-p-cournaric acid(8.4-15.3%) and trans-p-ferulic acid(7.7~14.1%) as predominant component with some minor coponents, but the fraction supposed to be gallic acid(?) is not present.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phenolic components isolated in this work were in order of epi-catechin〉catechin〉chlorogenic acid〉trans-p-ferluic acid〉trans-p-coumaric acid.
        4,000원
        1750.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753.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754.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755.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의 알의 고추화 담배에서의 포장내 공간분포와 식물내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물체 1주를 표본단위로 할 때 고추포장에서의 알의 공간분포는 집중분포 유형 (a=1.3915,b=1.1648)을 보였으나 담배포장에서는 균일분포 유형(a=1.6.35, b=0.6880)을 보였다. 알의 고추 부위별 빈도는 잎(76.2%), 과실(16.8%), 줄기(6.5%), 꽃(0.45)의 순서로 대부분 잎에 위치를 하였다. 잎에서는 70.1%가 잎의 앞면, 25.2%가 잎의 뒷면에 위치하였다. 담배의 경우도 대부분 잎에 위치하였으나, 잎 앞면과 잎 뒷면이 각각 33.7%와 66.3%로 잎뒷면에 더 많이 위치하였다.
        4,000원
        1756.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화 해충인 노린재류의 종류 및 그 우점종인 애긴노린재(Nysius plebeius Distant)의 기주범위 및 방제에 대하여 진주와 마산 지역에서 수행되었다.국화 가해노린재류의 종류는 4과 5종이 조사되었고, 그중 애긴노린재가 80.6%로 우점종이었다. 궁화재배포장 주위에 분포한 애긴노린재의 기주식물의 종류는 20종이었고 이중 우점기주는 구화류, 이타리안라이그라스, 실망초 및 양딸기 등이었다. 노지지배 국화 품종별 애긴노린재의 발생 및 피해범위는 고시된 37개 품종 모두가 피해를 입었으며 그 피해시기는 주로 8월에서 10월 사이였다. 애긴노린재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적기는 8월초순부터 10일간격으로 3~4회 방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4,000원
        1757.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인 적상산성 일대의 삼림을 대상으로 25개 조사구(20m×25m)의 식생자료를 토대로 상대우점치, 흉고 직경급 분포, 종 다양도지수, DCA 및 TWINSPAN분석을 실시하였다. 25개 조사구에서의 우점수종으로 출현한 수종은 신갈나무, 까치박달, 졸참나무, 층층나무이었고, 전체적으로는 신갈나무가 우점수종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적상산성의 식생은 4개의 식물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에서 까치박달로 천이되고 있는 천이도중상의 식생구조를 나타내었다. 무주양수발전소의 댐 건설로 인한 기상변화로 적상산성의 삼림식생은 습윤지성 음수계열의 수종으로 식생천이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1758.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덕유산 국립공원 설천지구내에 건설되고 있는 무주리조트 골프장예정지의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환경영향평가서의 식물생태계부분 재평가를 위해 실시하였다. 현존식생은 소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군집이 33.2%, 참나무류군집이 27.3%, 소나무군집이 20.7%, 고산습지가 4.9%이었으며 본 조사지 삼림은 독특한 환경조건을 이루고 있었다. 녹지 자연도는 등급 8, 9가 전체의 93%를 차지하는 안정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환경영향평가서상의 녹지자연도등급 산정과 본 조사결과와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54개 조사구에 대한 DCA 분석에서 분리된 군집은 6개로써 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들메나무-물박달나무군집, 신갈나무-졸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군집, 버드나무-물박달나무군집이었고 소나무군집을 제외한 기타의 군집은 소나무→참나무류로의 생태적 천이단계에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5,100원
        1759.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답사하여 그 생육상황을 조사하였으며, 복수초 군락 등 16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는 분류결과와 최근에 작성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기준에 따라 재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조사에서 검토된 식물 종은 복수초 군락,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왕괴불나무, 금강애기나리, 누른종덩굴, 백작약, 개불알꽃,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한라부추, 솔나리 및 감자난 등 모두 16종류였다. 이들을 I.U.C.N.의 S.S.C.에서 마련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재평가한 바 Endangered (E)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백작약,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솔나리 및 감자난 등 10종이, Critical (C)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왕괴불나무, 누른종덩굴, 개불알꽃, 한라부추 등 4종이, Vulnerable (V)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복수초와 금강애기나리 등 2종이었다. 상기의 구분은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알려져 있는 구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식물종들의 관리보전계획을 위해 앞으로 더욱 검토, 보완되어야 하리라 판단된다. 덕유산 국립공원내에 생육하고 있는 보전대상 특정식물은 주로 등산로변이나 개발계획지 등지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서 앞으로 더욱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760.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내에 생육하고 있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나아가 식물구계학적 논의와 자원식물의 생태학적 보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1993년 4월부터 7월까지 3회에 걸쳐 9개 조사구역별로 야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관속식물의 수는 97과 297속 541종류로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19종류는 인공식재된 수종이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2종류, 희귀식물은 16종류로 나타났다. 덕유산 국립공원내 식물의 구계학적 위치는 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대팻집나무, 비목, 감태나무, 복분자딸기, 주목, 개비자나무 및 구상나무 등의 한국구 대표인자와 온대남부의 공통요소들이 자생하고 있는 전형적인 한국구남부에 속하였다.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을 대표하는 식물요소로는 복수초 군락, 주목 군락, 사스래나무 군락, 원추리류 군락, 흰참꽃나무 군락, 철쭉 군락, 금강애기나리 군락, 뻐꾹나리 군락, 구상나무의 분포사실 및 두문산 일대의 습지군락의 분포와 향적봉 일대의 고산초원 발달 등을 들 수가 있었다. 식물자원적 가치가 높아 과도한 이용압력을 받고 있는 종으로는 천마 외 15종의 약용식물, 복수초 외 7종의 관상식물 및 곰취 외 13종의 식용식물로 나타났는데 앞으로 현지주민의 소득자원으로서 지속가능한 이용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밀한 생태분류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그 결과에 따라 보전대책이 수립되야 하겠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