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describes the analysis results of coupling beams using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comparison with measure behaviors. Analysis is performe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Vector 2. The results show possibility that relieve complex detail of diagonally reinforced coupling beam.
복합소재는 가벼운 중량과 높은 비강성 및 비강도의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방재를 위하여 층간 분리 손상을 갖는 복합소재 구조에 대한 유한 요소 모델링을 엄밀한 고차항 판 이론에 근간하여 수행하였다. 3차원의 층간분리 현상을 절점당 7개의 자유도를 갖는 2차원 유한요소로 정식화하여 층간분리영역 경계에서의 변위를 일치시키기 위한 변환기법을 적용하였다. 유한요소 정식화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의 세가지 타입의 요소를 적용하였다. (1) 층간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영역 (2) 층간분리가 일어난 영역에서의 요소 (3) 층간분리가 시작되는 경계 영역에서의 요소. 층간분리 영역은 동일한 위치에서 층간분리의 윗부분 요소와 아랫 부분 요소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자갈궤도의 강도증진 및 유지보수비 절감을 위한 급속경화궤도는 자갈궤도에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시공되며 양생되는 과정에서 온도변화에 의한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콘크리트층의 인장응력은 주변 온도변화에 의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온도응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교통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이 짧은 시간동안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허용휨인장응력은 콘크리트의 피로강도로 산정해야한다. 현재 콘크리트포장 및 매스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온도응력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급속경화궤도 시공과정 및 특이성을 고려한 온도응력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급속경화궤도 충진층-지면 사이의 마찰력과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온도응력간의 경향을 파악하고, 급속경화궤도 충진층의 허용휨인장응력을 산정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This paper addresses analysis using vector2 program of steel fiber coupling beams containing steel fiber. It shows that steel fiber of coupling beams efficiently controlled increase of crack width by bridge action.
Generally, bolted connection was used in stainless steel structural basic design for stainless steel bolted connection is similar to that of carbon steel connection. However, stainless steel with high ductility can be more beneficial if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re well used. Experimental and analysis studies had conducted. Curling was observed in some specimens with a relatively long end distance and affected strength reduction of bolted connection. Besides, finite element model had developed and its validation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est results. In this paper, para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ven FE model. Key variables are the end distance and plate thickness of bolted connection. Ultimate strength and curling effect were also investigated.
On this study, the laboratory model test is a soil tanker to be contained with clay and grid form improved soil, the test model is conducted in total 9case with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improved soil and replacement ratio of improved soil. Numerical analysis for variation of stress distribution ratio with depth is performed in the same conditions which are the laboratory model test. As a result, stress distribution ratios in mid and high replacement ratio are increasing and settlement is decreasing, except low replacement ratio.
This study is presented for form effect ratio and settlement reduction factor with change of structure form, it is able to be helpful in further research and reference for change of structural forms at composite ground.
In this study, we model the pillars was actually performed finite element analysis while changing the amount of reinforcement in the top and bottom of the column the FRP sheet. Th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reinforced by examining the optimal amount of FRP reinforcement decided.
For coupled shear walls, coupling beams are the first line of dissipation under earthquakes. So coupling beams are important energy dissipation component. When coupling beams have little depth-to-span ratio, routine coupling beams have less capacity of energy dissipation.There are less design methods for coupling beams with depth-to-span less than 2. In this paper a specimen with steel plate reinforcement coupling beam was designed and analyzed by means of FEM software ABAQ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steel. For this study, the hysteretic behavior and deformation shape of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s with SM570TMC was investigated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NSYS. The displacement analysis of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alifying procedures of current korean building code(KBC2009).
Experimental studies on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 with various types of innovative web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prestress efficiency and composite action. These researches observed that the efficiency of prestress introduced into the flanges of composite beams with corrugated webs or discontinuous webs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accordion effect. In this study,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local behavior of specimens that are very difficult or sometimes impossible to observe. A suitable modeling method for PS composite beam has been developed, which can consider the loading stages along construction sequences and the interfac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materials such as concrete and steel. The analysis results have been compared to test results for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appropriate cross-section of the block as a drawback of hollow concrete block field work. Formed Concrete Block was evaluated by FEM Method in a variety of stress conditions in order to find the optimum cross-section. As a result, the block has higher vertical resistance than horizontal and the strength of it depends on the thickness of web.
In this study, the uniqu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were introduced to extend the application of the compression field models to evaluations of shear capacity and behavior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SFRC) members. To achieve this purpose, nonlinear finite element program is developed using secant stiffness-based formulations, and the proposed numerical model was verified using basic experimental results of SFRC shear panels.
Transverse joints on upper flange of modular T-shaped girder bridge are composed of lapped splice and in-situ high strength concrete. Optimal shape induc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through the shape parameters.
In recent year, a reduction of the damage to nonstructural components such as piping, ceil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equipments or an improvement on the performance of nonstructural components has emerged as a key area of research. Therefo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understand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complex piping system such as a T-joint connection. Furthermore, it was targeted on evaluating the Finite Element (FE) Model of the T-joint connection based on moment-rotation 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tests. The results of FE analysis by OpenSees were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test result till the failure point in both models.
This study presents numerical analysis of elastic waves for detecting damage in epoxy adhesive zone. Fo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 finite element program ANSYS LS-Dyna is used. The result signals of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analyzed by using pitch-catch method. It is shown that the received time signals successfully show the existence of defects
고르지 않은 바닥을 지나는 천수 흐름을 해석하기 위해 천수방정식의 흐름률 경사항과 바닥 경사 생성항에 대해 HLLL 기법과 DFB (Divergence Form for Bed slope source term) 기법을 각각 적용하여 유한체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PSC (Partially Submerged Cell)의 고려를 위해 VFR (Volume/Free-surface Relationship)도 이용하였다. MUSCL에서 WSDGM(Weighted Surface-Depth Gradient Method)을 보다 단순하게 고쳐도 원래의 방법과 정확도가 동등함을 1차원 정상 흐름에 대해 확인하였다. 1차원 PSC에 대한 VFR를 통해 흐름률 경사항과 바닥 경사 생성항의 선평형성이 정확하게 충족됨을 입증하였다. 2차원 PSC에서 DFB 기법으로는 지배방정식의 선평형성이 충족되지 않은 문제를 삼각형 격자에 대한 VFR를 이용하여 해소하였다. 삼각형 턱과 둥근 융기를 지나는 2차원 댐 붕괴 흐름에 대한 모의에서 실험실 실험 결과와 잘 부합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분 댐 붕괴 흐름에 대한 모형의 적용에서 경사면은 물론 불규칙 바닥에서도 요철의 잠김이 성공적으로 모의되었다. 따라서 고르지 않은 실제 하천 지형에 대한 이 모형의 적용성이 기대된다.
횡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장지간 PSC 바닥판의 정적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구성하고, 해석결과를 선행연구에 의한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유한요소해석에 의하여 서로 다른 콘크리트 강도와 프리스트레스 크기를 변수로 갖는 각각의 실험체에 대한 하중-처짐 관계 곡선을 비교적 근접하게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변형률 분포와 변수에 따른 극한강도 변화로부터 펀칭전단에 의한 파괴형태와 손상범위 등을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유한요소해석 모델은 펀칭전단파괴에 의한 펀칭콘의 분리를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며, 실험연구를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서 정적거동예측과 실험결과의 보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지반 조건의 공간적 분포와 관련된 부지효과는 지진 시 지반운동의 증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즉, 지표부근 지질지반의 층상구조와 물성뿐만 아니라 지표면 지형 및 분지 형상이 부지효과의 영향 요인이다. 이러한 부지효과 관련 영향 요소들 중에서 단지 지표부근 지질지반 조건에 따른 증폭 정도만이 미국 서부지역 기준을 근간으로 하는 국내 현행 내진설계 지침에 반영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의 전 세계 지진 발생 사례들로부터 지표지형 변화에 따른 광범위하고 심각한 피해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각적 해석이 가능한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인공 절성토 지반을 모사하여 일차원과 이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원 해석 결과는 지형효과의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으므로 일차원과 이차원 수치 모델 해석 결과의 지표면 최대가속도 분포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변수가 지형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궁극적으로 국내 내진설계기준에 지형효과에 대한 고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단경간비에 따른 합성지하벽의 거동을 실험적으로 연구하고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DINA를 활용 하여 합성지하벽 (Composite Basement Wall, CBW)의 비선형 거동의 예측이다. 특히 각 층 바닥 부근과 같이 콘크리트가 압축응력상태일 때의 합성벽의 거동을 연구하였다. 특히 강재와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의 모델링 방법에 따른 해석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 벽체부분이 압축응력상태에 있는 합성지하벽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합성지하벽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고 ADI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의 편의를 위하여, 철근은 별도의 독립 요소로 모델링하지 않고, 콘크리트에 등분포되어 콘크리트와 함께 거동하는 것으로 하고 모든 요소는 소성거동을 표현하기 위하여 이선형 모델로 하였다.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촉면과 관련해서는 접촉면의 연결조건에 따라, AGO, SEGO-T 그리고 SEGO-NT로 모델링하여 해석을 실시한 뒤 각 조건에 따른 응력흐름과 집중정도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합성지하벽은 전단경간비가 비록 1에 가깝더라도, 강재의 소성변형에 의해 충분히 연성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거동을 묘사하기 위하여 ADI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강재 및 스터드볼트의 비선형특성을 고려하고 접촉면 요소로서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면을 모델링하여 해석한 결과 접촉면연결과 모든 절점공유 옵션을 사용한 모델을 적용할 경우, 실험결과와 근사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