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1

        221.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SMF)내 보-기둥 접합부의 비탄성 회전능력에 대한 연구결과를 조사한 것이다. 모든 실험체들은 ACI 318-02에 정의된 설계 및 세부지침에 따라 특수모멘트골조로 분류되었다. AISC(2002)기준에서 모멘트골조의 접합부에 대한 내진성능의 만족 기준을 이용하여 보-기둥 접합부를 평가하였다. 총 39개의 실험체들에 대해 자세하게 조사되었다. 특수모멘트골조에 대한 내진설계기준을 만족하는 대부분의 접합부들은 3%의 소성회전까지 휨강도의 심각한 감소 없이 연성이 유지되었다. 이는 특수모멘트골조 접합부들에 대한 엄격한 콘크리트 내진설계 규정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접합부내의 횡방향 보의 존재는 보-기둥 접합부의 구속력과 전단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조사되었다 접합부 전단응력에 대한 ACI 328-02 제한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특수모멘트골조의 접합부들은 요구되는 내진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2.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유닛 모듈러를 구성하는 주구조체인 각형강관 기둥과 냉간성형 LEB C-형강 보로 볼트 접합된 접합부의 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접합부에서 기둥과 LEB C-형강 보를 접합하기 위한 브라켓의 두께변화, LEB C-형강 보와 브라켓 접합부 볼트 개수 등의 주요변수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기둥-보 접합부의 내력증대와 변형성상 및 파괴모드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접합부의 보강형상과 관계없이 또한 접합부의 파괴 없이 LEB C-형강 보의 국부좌굴강도가 지배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브라켓 두께 크기에 따라 내력과 강성이 조금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합부에 사용된 볼트 수량에 관계없이 강성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LEB C-형강과 브라켓을 볼트접합으로 반강접합의 역학적 거동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223.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action bonded silicon carbide (RBSiC) is an important engineering ceramic because of its high strength and stability at elevated temperatures, and it is currently fabricated using reasonably cheap manufacturing processes, some of which have been used since the 1960s. However, forming complicated shapes from these materials is difficult because of their poor workability.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join the reaction-bonded SiC parts using a preceramic polymer as joint material.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material in the system Si-O-C from preceramic silicon containing polymers such as polysiloxanes has attained particular interest. The mixtures of preceramic polymer and filler materials, such as SiC, Si and MoSi, were used as a paste for the joining of reaction sintered SiC parts. The joining process during the annealing in Ar atmosphere at were described. The maximum strength of the joints was 63 MPa for the specimen joined with 10 vol.% of and 30 vol.% of SiC as filler materials. Fracture occurred in the joining layer. This indicates that the joining strength is limited by the strength of the joint materials.
        4,000원
        224.
        2008.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cro-structural changes,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micro-fractural behaviors at the joint interface between a Sn-4.0wt%Ag-0.5wt%Cu solder ball and UBM treated by isothermal aging are reported. From the reflow process for the joint interface, a small amount of intermetallic compound was formed. With an increase in the isothermal aging time, the type and amount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 changed. The interface without an isothermal treatment showed a ductile fracture. However,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time, a brittle fracture occurred on the interface due mainly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s and voids. As a result, a drastic degradation in the shear strength was observed. From a microshear test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generation of micro-cracks was initiated from the voids at the joint interface. They propagated along the same interface, resulting in coalescence with neighboring cracks into larger cracks.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time, the generation of the micro-structural cracks was enhanced and the degree of propagation also accelerated.
        4,000원
        22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접합장치인 자동체결장치(Self-Locking Connectors)를 사용한 강재보-PC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C기둥(또는 합성기둥)과 강재보로 이루어진 합성모멘트골조는 각각의 재료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이용한 합리적인 구조형식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두 재료 사이의 접합에 따른 어려움으로 인해 접합부의 상세가 복잡해지고 제작비가 상승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자동체결장치는 쐐기의 원리를 이용한 접합장치로서 시공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체결장치를 사용한 접합부는 용접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접합부에 비해 내진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체결장치를 사용한 강재보-PC기둥(또는 합성기둥) 접합부에 대한 내진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자동체결장치를 사용한 보-기둥 접합부는 우수한 내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공간구조에서 접합부의 신뢰도는 매우 중요하다. 접합부에 사용되는 고력볼트의 나사부 유효단면적은 축부단면적보다 작고 볼트 축부에 락핀용 구멍이 있기 때문에 볼트 나사부 또는 락핀용 구멍에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여 취성 파단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특히 접합부는 직렬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접합부에서의 극한상황시 파괴유형은 필히 취성파괴를 피해야 하며 연성파손으로 유도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볼 조인트 접합부의 소성변형능력을 향상시키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볼트의 나사부나 핀부의 취성파단 없이 소성변형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에너지흡수형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소성변형능력이 향상된 스페이스 프레임의 접합상세를 제안하였다.
        4,000원
        227.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람의 타액선 종양 중 선양닝성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 과 기저세포선암종(basal cell adenocarcinoma)‘ 기저세포선종(basa l cell adenoma) 은 발생학적 기원과 조직학적 소견 등 비슷한 점이 많으나 선양낭성암종은 5년 이후의 생존율이 매우 낮으며 기저세포신 암종은 저 등급의 악성도를 보이는 둥 임상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조직병리학적으로 비 슷한 소견을 보이는 이 들 타액선 종OJ을 대상으로 이 형접합성 소실 (Loss of Heterozygosity. LOH) 을 분석하여 종양의 발생학적 기전을 파악하고자 히 였다 띤 구 방법으로는 기저세포선 종 4 예 기저세포선암종 5 예 선양낭성암종 30예에서 종양 상피세포의 유전자 변이 분석을 위해 레이저 포획 미세 절제법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을 이용하여 조직에서 각각 종양 상피세포를 채취하였다 이 조직에서 각각 DNA를 추출한 후 11 쌍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표지 자(Mi crosatellite instability marker) 를 사용하여 PCR 반응을 시행하였고 이 산물을 8% p이 y acrylamide gel 애 1시간 30분간 전기 영동하여 종양 상피세포의 이형접합성상실의 양상을 판독한 후 SPSS 1400을 사용하여 통계학적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조직에서 종양 상피 세포의 LOH가 나타났으며 11개 표지자 중 LOH가 말현되지 않은 표지자는 없었 다 기저세포선종, 기저세포선암종‘ 선양낭성암종의 LOH 발생 빈도는 기저세포선종과 기저세포신암종과 비교하여 선양낭성암종에서 통 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21번 염색체와 8번 염색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D21S1922와 D9S171 표지자에서 특히 높은 빈도 차 이 를 보였다. 기저세포선종과 기저세포선암종을 비교하였 을 때 전체 표지자에서 LOH 빈도 차이는 없었으나 21번 염색체와 9 번 염색체에 서 기저세포선암종의 LOH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3종류의 티액선 종양에서 선양냥성암종에서 D9S168의 발생 빈도가 가장 많았다 D9S168은 기저세포선종에서 는 LOH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저세포선암종 선양낭성암종의 경우 발현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 가하여 종양 발생 과정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228.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구강면평 세포의 종양화는 여러 단계의 발생 순서를 거치는 다단계 발생과정 (multistep carcinogenesis) 으로 이루어지며 구강백 반증 (Ol'al leukoplakia)은 구강암 진행단계에서 악성암종으로 이행하기 전단계의 전암병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힌 구강백빈 증이 악성 암종으 로 진행하는 빈도는 상피 이형성의 여부에 따라 6 6~36%로 니타나는데 이렇게 정상 상피 세 포가 암세포로 변환히는 과정에서는 종양 유전.7-}. 종양 억제 유전자.ONA 수복 유전지- 등 여러 유전자에 대한 지속적인 변이의 축적 이 나타난다 본 연구애서는 구강암의 전암벙 소인 구강백반증 조직 에서 싱피와 섬유모세포의 유전자 변이 분석을 위해 레이저 포획 미 세절제법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을 이 용하여 16여| 의 겁체 에서 상피세포와 성유모세포를 각각 채취하고 구강암과 구강백반증에서 유전자 변이 분석에 사용된 26쌍의 mlCI'Osatellite( MSl) 표지자를 선정하여 각각의 이 형접합성상실 (Loss of Hetel"Ozygosity‘ LOH) 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 stability. MSI)을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 백반증 조직의 상피와 섬유모세포 모두에 LOH/MSI 가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구강백반증 전체 조직에 서 LOH가 많이 나타나는 유전자의 위치는 염색체 21qll.l-21.1. 9p21-22. 3pI4-25. 17p12-14였고. MSI는 17p12-14‘ 5q21-23, 10q22-23 부위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LOH는 섬유모세포 보다 상피세포에서. MSI는 상피세포 보다 섬유모세포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현하였다 상피이형 성이 있는 구강백반증을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06S264 표지자에서만 특이적으로 상피이형성이 있는 검체에서 LOH가 니티 났으며 나머지 표지자에서는 상피이형성괴 LOH 딸현 사이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229.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모멘트 골조의 보-기둥 접합부에 대한 비탄성 회전 능력의 성능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하고 있다. 총 91개의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에 대해 상세히 조사되었으며, 그 중 28개의 실험체는 ACI 318-02의 상세 요구에 기초하여 특수 모멘트 골조 접합부로서 분류되었다. AISC-97 내진 기준에서 철골 모멘트 골조 접합부를 위해 정의된 허용기준이 분류된 철근콘크리트 모멘트 골조의 접합부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특수 모멘트 골조 접합부에 대한 설계 상세를 만족하는 28개의 실험체 중 27개의 특수 모멘트 골조 접합부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급격한 강도 감소 없이 0.03 rad.의 소성 회전에 대해 연성 거동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접합부의 전단 강도, 기둥과 보에 대한 휨 강도 비율, 접합부내에서의 횡방향 철근비 등에 대한 제한이 보-기둥 접합부의 만족스런 내진 성능을 보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4,000원
        23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롭게 개발한 대기-해양 접합모형(CGCM)에서 모사한 열대 태평양 해수면 온도(SST)의 경년 변동성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모형은 SST의 경년변동과 평균분포, 계절변동, 강수량, 그리고 해양 내부 구조를 관측과 유사하게 모사하였다. 모델은 서태평양 경계 부근에서 관측에 비해 큰 SST 경년변동을 보였는데 이 원인으로 적도 태평양의 SST 동서 변화율을 제시하였다. 즉 관측에 비해 강한 SST 경도는 zonal advection feedback을 강화시켜 SST 아노말리의 서진(westward propagation)과 서태평양의 경년 변동성 증가를 가져왔다. 간단한 two-strip 모델을 이용한 민감도 실험 결과는 이를 뒷받침하였다. 동서 평균한 수온약층의 깊이와 NINO3 SST 인덱스의 분석 결과는 모델의 경년 변동이 충전-방전 진동자에 의한 것임을 나타냈다. 그리고 지연 회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엘니뇨가 발달하기 전에 barrier layer thickness(BLT) 증가에 의한 열 축적 과정이 서태평양에서 먼저 일어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4,600원
        232.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내진설계에서 반응수정계수는 탄성 밑면전단력을 저감하여 설계하중 수준을 정의하기 위한 주요 계수로 사용되고 있다. 이제까지 반응수정계수는 공학자들의 경험적인 합의에 의하여 정성적으로 설계기준에 반영하고 있다. 구조시스템에서 반응수정계수와 접합부의 가용 회전능력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접합부의 회전능력과 비선형 푸쉬오버 해석에 기초하여 반응수정계수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IBC 2000에 따라 설계된 R3S 골조를 대상으로 제안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지진파에 대한 비선형 시간이력 해석을 병행하여 가용 회전능력에 의거하여 산정된 반응수정계수의 타당성을 평가한 결과, 본 제안방법에 따라 정의된 반응수정계수가 충분히 보수적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236.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조립식 프킥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각의 접합부에 관한 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RCAHEST이다. 재료적 비선형성에 대해서는 균열콘크리트에 대한 인장, 압축, 전단모델과 콘크리트 속에 있는 철근모델을 조합하여 고려하였다. 사용된 비부착 텐던요소는 유한요소법에 근거하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콘크리트와 텐던의 상호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개발된 접합요소는 세그먼트 접합부의 비탄성거동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조립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각의 접합부에 관한 해석기법을 신뢰성 있는 연구자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4,000원
        238.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지진하중을 받는 내부 및 외부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강도 및 연성능력을 평가하였다. 접합부에 인접한 보에 소성힌지가 발생한 이후 접합부가 파괴할 경우 접합부 내력은 보의 소성힌지의 영향을 받아 감소하게 된다. 보에 소성힌지가 발생하면 보의 부재축방향 변형률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며, 증가된 부재축방향 변형률은 접합부의 변형에 영향을 주어 접합부의 강도를 저감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보에 소성힌지가 발생하기 이전에 파괴하는 접합부의 내력과 보에 소성힌지가 발생한 이후에 파괴하는 접합부의 연성능력을 접합부의 변형능력 및 스트럿의 강도저감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제시한 평가법은 52개의 접합부 실험체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4,000원
        239.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고력볼트의 축부절삭 가공방법을 이용한 신형상 메카니컬패스너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신형상 메카니컬패스너를 엔드플레이트 형식의 보-기둥 접합부에 적용하여 변형능력 및 강도특성에 대한 재하실험 및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4,000원
        240.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철골 각형강관단면(RHS) 기둥-보 접합부에서 웨브의 모멘트 전달효율을 평가하였다. 먼저, 5개의 철골보접합부에 대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접합부 상세가 다르게 설계되었고, 따라서 휨저항 성능이 각기 다르다. 해석결과 RHS 기둥을 가진 모델은 기둥 플랜지의 면외변형 때문에 WF(Wide Flange) 기둥을 가진 모델에 비해 모멘트 전달효율이 저하함을 보였다. 스캘럽(WAH)과 얇은 강관기둥 두께도 모멘트 전달효율의 저하를 가져오는 원인으로서, 결과적으로 보-기둥 접합부의 파단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해석과 이전의 실험결과를 기초로 하면, 응력집중은 모멘트 전달효율과 반비례하고, 접합부의 변형능력은 모멘트 전달효율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바닥슬래브가 있는 합성보 접합부에 대한 유한요소해석결과는 중립축이 상부플랜지 방향으로 상승함으로써 모멘트 전달효율이 저하했고, 이러한 영향은 접합부의 조기 취성파단을 초래하는 것을 보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