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ism is not a rejection of the mass culture but rather an effort to produce a mass culture, perhaps for the first time, to produce a culture distinctive to the twentieth century, which Le Bon called “the era of the crowds.’ The conservatives who followed him, developed a different idea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aristocracy that built culture and the masses. Yeats viewed the theatre as a potential means of mobilizing and nationalizing the masses, something he recognized any successful nationalism in the age of mass politics must do. His wish to nationalize the masses led him to cast the playwright and stage as magicians with the power to transform the audience as Cathleen transforms Michael in Cathleen Ni Houlihan. Le Bon’s vision is very similar to Pound’s and Yeats’s: they all defined the goal of social change and of their art as the producing of a deep wave from the unconscious. Pound’s “In a Station of the Metro” is about a crowd. A wet, black bough is a restored cultural center that will hold together the chaotic small waves now agitating society. Modernism was an effort to write based the unconscious mas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political aspects of Yeats's plays, and, for that purpose, four of his major plays are selected and analyzed: The Countess Cathleen, Cathleen ni Houlihan, The Dreaming of the Bones and Purgatory. In the introductory part, the present writer briefly surveys the ways how Yeats, finding in drama an effective means of achieving the unity of culture for Ireland, dedicated himself to the dramatic movement and related activities. The next and main part of the paper examines the selected plays, paying attention to the political themes and the other political elements specifically revealed in these plays. The early two plays, The Countess Cathleen and Cathleen ni Houlihan, show the rare and sublime cases of sacrifice and devotion directed toward the cause of Irish independence and wellbeing by creating two characters, an aristocratic lady who sacrifices her life and soul to save the starving peasants and a young man who rushes to the heroic death for Irish independence leaving behind his new bride and home. While The Dreaming of the Bones asks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two most important events in Irish history: the Diarmuid and Dervorgilla episode of the 12th century and the EasterRising of 1916, Purgatory deals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the destruction of an honored house caused by mesalliance. To the extent that both of these middle and late plays end in a tragic note of unforgiving bitterness and hatred, they can be regarded as the aesthetic expression of the real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s of Irish society at the time of their writing. What this paper is trying to say as a conclusion is that the four plays discussed here reveal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ositions of Yeats as they developed in his early, middle and late years of life. In other words, they reveal the specific ways in which Yeats as an Anglo-Irish poet and playwright tried to solve th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he faced in the changing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Ireland.
대형정치망에 있어서 등망을 중심으로하여 헛통으로부터 제1원통에 이르는 방어어군의 이동행동은 1992년 11월 9일부터 11월 13일까지 일본국 석천현 칠미시 연안에 있는 안단 정치망어장 3호망에서 스케닝 소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등망의 어획기능에 관해서 분석, 검토하였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방어어군의 출현은 헛통에서는 오전중, 제1원통에서는 오후에 가장 많이 볼 수 있었고, 망내에서의 체류시간은 길었다. 2. 등망을 통과하고 있는 어군의 규모는 헛통 및 제 1원통에 체류하는 어군보다 작았고, 이는 어군의 형상이 변하면서 등망을 통과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3. 등망으로 향한 어군중에서 제 1원통에 입망하는 어군의 비율은 24%이고, 제 1원통에 내등망으로 향한 어군중 헛통으로 도피하는 어군의 비율은 27%였다. 이는 외등망의 구조가 원통으로 유도하는 기능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내등망의 구조는 출망을 저지하는 효과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정치망의 어획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군의 입출망시각에 맞춘 양망작업이 필요하다. 조사기간중의 원통에 축적된 어군수로부터 그 다음날 아침의 양망은 시장유통과 노동력부족의 문제를 고려하여 적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The moving behaviour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schools in the main-net of a large scale set-net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catching function of the funnel-net by a scanning sonar. The investigation was took place in the Kishihata set-net fishing ground located in Nanao city Ishigawa prefecture, Japan from Nov. 9 to Nov. 13, 1992.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ish schools showed the greatest number at the playground in the morning and at the bag-net in the afternoon. The fish schools remained long time in the main-net. 2. The rate of fish school through the funnel-net was smaller than that of fish school which is though the playground and bag-net. Because the Yellowtail school changed the shape of school in passing the funnel-net. 3. The rate of entering the bag-net was 24%, among the fish school heading to the outer funnel-net. But, the rate of escaping to the playground was 27%, among the fish school heading to the inner funnel-net. It seems that the structure of the outer funnel-net was not enough to lead the fish to the bag-net.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inner funnel-net was very effective at preventing escape. 4. It is appropriate to haul the net in the morning in considering the number of accumulated fish in the bag-net during the survey.
제주도 연안 정치망어장에 다량 내유아여 어획되고 있는 전갱이,고등어, 오징어를 실험어로 하여 백열등에 의한 어군의 유집효과와 어군의 유도 효과에 관한 실험을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옥외 수조에서 실시한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백열등에 대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은 백열등에 잘 유집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백열등에 대해서 유집하는 적정조도와 반은행동은 어종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경향을 보였다. 2. 유도등을 한 등씩 순차적으로 점등후 소등하는 방법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3. 유도등 3개를 모두 점등한 후 1번 등부터 순차적으로 한 등씩 소등하는 방법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4. 백열등의 이동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우리 나라 남해안 연안에 부설된 소형정치망을 실험 수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그 의 1/50의 크기로 Tauti의 어구 비교법칙에 따라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유향 R(원통에서 헛통방향으로).L(헛통에서 원통방향으로)방향과 각각의 유속에 따라 그물 형상의 변화, 각 뜸의 침하량, 멍줄 장력의 변화 들을 측정,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형상의 변화는 유향 R의 경우 유속 0.2m/sec에서 헛통 끝그물이 조하쪽으로 20mm, 상방으로 10mm 이동어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였고, 유속 0.6m/sec에서는 원통에서 헛통 까지 거의 일직선을 이루었다. 유향 L의 경우는, 상방으로 18mm 이동하여 어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였고, 유속 0.5m/sec이상에서는 헛통에서 원통까지 거의 일직선을 이루었다. 2. 긱 뜸의 침하량은 유향 R의 경우 머리뜸은 유속 0.2m/sec부터 서서히 침하하시 시작하여, 유속 0.3m/sec에서는 20mm 정도 침하하고, 유속 0.6m/sec에서는 99mm 정도 침하하였다. 그러나, 끝뜸은 유속 0m/sec부터 0.6m/sce까지 침하하지 않고 약간의 요동만 일으켰다. 유향 L의 경우 끝뜸은 유속 0.1m/sec에서부터 서서히 침하하기 시작하여, 0.2m/sec에서는 5mm정도 침하하였고, 0.6m/sec에서는 108mm 정도 침하하였으며, 0.5m/sec에서 머리뜸만 남기고 어구전체가 수몰되기 시작하였다. 3. 멍줄 장력의 변화는 유향 R의 경우 머리뜸 멍줄에 작용한 장력은 유속 0.1m/sec에서 273.51g이며, 0.6m/sec에서는 1298.40g 정도로 증가하였다. 유향 L의 경우 한쪽 끝뜸줄에 걸리는 장력은 유속 0.1m/sec에서 137.08g이며, 0.6m/sec에서 646.00g 정도로 증가하였다. 멍중 장력의 분포는 유속의 증대와 함게 유향 RL 향 모두 조상측 멍줄에 집중하여 나타났으며, 다른 멍줄에는 현저한 장력의 증가는 관측되지 않았다.되지 않았다.
우리나라 남해안의 거제도 도장포와 남해군 미조면에 설치되어 있는 수심 20m해역의 중형 정치망어구를 대상으로 길그물 및 통그물의 어군수도기능과 원통그물의 어군체유효과 등을 현장 실험을 통해 검토, 분석하였다. 어류에 Tag를 부착하고 통그물의 각부와 길그물의 주변에 방류 시켜 다음 양망과정에서 재포하였으며,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의 헛통에서 방류하여 양쪽 원통 안으로 들어가 재포된 입망률은 소형 고등어가 20.3%, 소형 전갱이는 16.2%, 감성돔은 10.3%, 꼬치고기는 19.1%, 학공치는 16.3%, 전어는 20.0%였으며, 전체 방류미수 667마리 중에서 115마리로 17.2%였다. 2. 양쪽 원통에서 방류하여 다시 그 원통그물내에서 재포된 잔류율은 소형 고등어가 21.7%, 소형 전갱이는 21.5% 감성돔은 6.7%, 꼬치고기는 17.8% 학공치는 16.8% 전어는 19.1%를 나타냈으며, 전체 방류이수 1,513마리 중에서 284마리로 18.8%였다. 그리고 81.2%는 원통그물로부터 빠져나갔다. 3. 창문으로부터 25m거리의 길그물 양측 지점에서 방류하여 헛통으로 들어간 비율, 즉 길그물의 수도율은 소형 고등어가 58.9%, 소형 전갱이는 74.6%, 감성돔은 38.0%, 꼬치고기는 54.7% 학꽁치는 58.6%, 전어는 54.5%였으며, 총방류미수 1,086마리 중에서 627.4마리로 평균 57.8%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형 고등어, 소형 전갱이, 꼬치고기, 학공치 및 전어는 길그물의 차단수도교과가 크게 작용하는 어종으로 나타났다. 4. 꼬치고기, 학공치, 전어는 조상측의 원통그물에 많이 입망되었고, 소형 전갱이와 감성돔은 조하측 원통그물에서 많이 입망되었다. 5. 소형 고등어와 소형 전갱이는 조하측 원통그물에서 잔류율이 높았고, 감성돔, 꼬치고기 및 학공치는 조상측 원통그물에서 잔류율이 높았다.
대형정치망의 원통내에 있어서 멸치어군의 이동행동은 1992년 12월 1일부터 12월 4일까지 일본국 석천현 칠미시 연안에 있는 안단 정치망 어장 3호망에서 스케닝 소나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개의 원통시아에 어군의 이동행동은 주야간에 차이가 있었고, 밤보다는 낮에 더 많이 이동하였다. 2. 제2 원통에 멸치어군이 존재하였을 때, 제1원통에 있는 멸치어군이 제2 원통으로의 입망 비율은 78%였고, 제2 원통에 멸치어군의 존재는 제2원통에의 입망 비율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제2원통에 조밀하게 멸치어군이 존재하였을 때, 제 2원통에 입망한 어군의 체류시간은 매우 짧았고, 제2 원통에서 어군의 밀도 상승은 어군의 도피 비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멸치어군은 원통에 입망할 때, 대부분이 망의 중앙에서 먼바다 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이동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the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fishing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oceanographic observations on the fishing grounds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ofYosu Fisheries University from January, 1990 to September, 1992, and the data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catch data from the joint market ofYosu fisheries cooperative society from 1984 to 1993. The resuIte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range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 was 7.0 to 27℃.and 26.6 to 33.2‰, and water temperature in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decreased from September to February of following year. 2. Th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s was relatively high without significant changes from November to June of the following year. From July, however, the salinity decreased to continue a low value till September and then increased. Th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 was dominated mainly by the precipitation and its variation was large at the north entrance of set net fishing ground, influenced greatly by the land waters from the river of Somjin, but small in the offshore of the fishing grounds. 3. The fishes caught by the set nets were arranged in order of catch as follows; Spanish mackerel〉 Horse mackerel 〉 Sardine 〉 Anchovy 〉 Hair tail. The catches of Anchovy and Sardine were high in April to May and those of Hair tail in June to July, but Spanish mackerel and Horse mackerel were caught for whole period of fishing. Spanish mackerel was caught most in September and least in April and their means were largest in August and smallest in June. 4. The ranges of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fishing by the set nets was 13.5 to 25℃., and in the ranges the catch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ranges of optimum salinity for fishing varied between 25.0 and 32.0‰.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의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1985~1989 연간 총 11통의 표본어장의 어획자료로부터 연도별, 월별, 지역별, 어종별, CPUE(1양망당 어획량), 어종조성 및 각 어장별 주요어종의 출현시기 및 해황 특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PUE 변동은 연도별로 보면, 변동폭이 매우 크고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고, 지역별로는 죽변 지역이 높고 나머지 지역은 낮았다. 월별로 보면, 전체적으로는 8~11월이 높게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주변, 강구는 8~11월, 축산, 감포는 9~11월, 후포는 8~12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CPUE 변동은 연도별로는 쥐치, 고등어, 참다랭이, 조피볼락, 방어는 감소 추세에 있고, 정어리, 전갱이, 청어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오징어는 안정을 유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갑오징어는 1987년 이후 낮은 수준에서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월별로는 고등어, 전갱이, 참다랭이, 방어, 조피볼락은 9~10월, 쥐치와 오징어는 11~1월, 정어리는 4~5월, 청어는 3월, 갑오징어는 4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로 출현하는 주요어종의 어군크기는 1985년~1989년 전체적으로 볼 때 쥐치, 정어리,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방어의 순 이였고, 연도별로는 1985년 쥐치, 1986년 정어리, 1987년에는 전갱이, 1988년에는 쥐치, 1989년에는 정어리가, 월별로는 1~7월까지는 정어리가, 8~10월에는 정어리, 고등어가, 그리고 11~12월에는 쥐치가 수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어종별 출현시기를 감포와 죽변 지역을 비교해 볼 때, 쥐치,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갑오징어는 죽변 지역이 다소 빠르게 나타나고, 고등어와 방어는 감포 지역이 빠르게 나타났다. 특히 정어리의 경우는 출현시기가 약 3개월 차이를 보인 반면, 전갱이와 삼치는 동일한 시기에 출현하였다. 또한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에서는 평년에 비해 난류세력이 강하고 수온전선이 연안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형성되는 해에 해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어군탐지기를 시험제작하여 정치망의 원통, 비탈그물 및 헛통에 원격어군탐지기와 기록식어군탐지기를 각각 설치하고, 1994년 10월 26~27일에 걸쳐 정치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입망상태, 어군의 행동 및 정치망 어구의 변화를 조사하여, 원격어군탐지기의 실용성에 대해서 평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내의 해상이 동국에서 탐지한 어군탐지기의 기록과 그것을 원격으로 전송한 육상고정국의 어군기록은 잘 일치하였다. 2. 비탈그물과 원통의 밑판그물은 불규칙적인 변동을 하였으며, 그 지속시간은 원통그물쪽이 더 길었고, 그 변동폭은 각각 약 3.6m와 6.0m였다. 3. 헛통입구와 비탈그물에서 어군의 주간에 약 5~7m 수층으로 입망하였고, 야간에는 전수층으로 분산되어 입망하였으며, 주간보다 야간에 더 많이 입망하였으나 새벽에는 입망어군이 매우 적었다. 4. 원통에서의 어군은 주간에는 그물의 아래쪽 수심 약 8m 수층에 분포하였으며, 야간에는 부상하여 전수층에 분산하여 분포하였고, 새벽에는 밀집된 군을 형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조사 당시 정치망에 어획된 어종은 약 20종으로서, 총어획량은 약 500kg이었는 데, 그 중에서 멸치의 어획이 가장 많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시험제작한 원격어군탐지기는 정치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행동이나 분포특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1990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채집해서 분석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량과 여수수협 위판장으로부터 구한 어획량 자료등을 이용하여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인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량과 어획량 변동과의 관계를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성 플랑크톤의 출현량은 춘계와 추계보다 하계에 최대가 되고, 특히 육수의 유입이 많은 여수만 중 돌산연안 수역 분포량이 많고, 소리도와 세존도부근의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량은 내만수의 확장 경향을 추정하는데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2) 여수 연안 정치망에 어획되는 주요 어종의 어획량은 삼치, 갈치, 고등어, 정어리, 멸치, 전갱이 및 방어의 순이고, 어획되는 시기는 정어리와 멸치가 4~6월, 전갱이, 갈치 및 고등어는 6~10월이 였으며, 삼치는 전 어기에 걸쳐 어획되었다. 3)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어획량은 식물성 플랑크톤 출현량과 상관 관계가 있고, 이들 식물성 플랑크톤량은 하계 육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내만수에 최대의 출현량을 보인다. 또, 이 어장의 어획량은 하계에 많으므로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은 육수의 유입에 의해 풍부한 영양염류를 공급받는 내만수내의 이료생물의 생산력이 어획량을 좌우하는 어장의 중요한 환경요인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