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China put forwar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2013, China has actively worked with the Initiative to revitalize relevant regional resources and encourage developing countries to participate in global social governance from a global macro strategic perspecti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itiative has promoted connectivity and exchanges among countries by promoting borde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his strategic direction is in line with Indonesia’s “global marine fulcrum” plan. Moreover,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 Indonesia lags behind. These factors have provided more opportunities and development space for Th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Indonesia in the field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is getting closer and deeper. This paper, based on the relevant data collected in Indonesia from 2003 to 2018, verifies the impact of China’s direct investment on Indonesia’s economic growth by using the method of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and explores the impact of specific approaches.The results show that China’s direct investment in Indonesia can promote loc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promote Indonesia’s economic growth. The two countries proposed future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electricity, Internet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본 논문에서는 2000년-2020년까지 중국의 연구개발비 투자와 기술비지니스 창업보육센터가 R&D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R&D는 한 나라 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자본과 노동의 추가 투입에 의한 경제성장이 점차 한계에 접어드는 경제구조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올해 3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3.9%로 예상을 뛰어넘기는 했지만 여전히 4% 미만으로 이전의 고성장 국면으로 반등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무역이 경제성장의 절대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중국이 세계 경제성장의 1/3 이상을 담당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중국의 R&D 투자를 살펴보고 R&D 활동을 통한 산출물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은 논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score on information asymmetry from the perspective of investors, who are important stakeholders of the company. For KOSPI-listed companies from 2017 to 2020, the effect of ESG overall score and each item score (E, S, G) on the bid-ask spread, which is a proxy for information asymmetry, was confi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in corporate CSR activities resulted in lowering information asymmetry of investor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SG score, an indicator of CSR activity, the lower the bid-ask spread, which is a proxy variable for information asymmetry.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ESG scores for each section, information asymmetry decreased as companies with higher scores in the environmental (E) and social (S) aspects, while the governance (G) scor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 analysis confirmed that corporate CSR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market efficiency by resolving information asymmetry of investors and convergence of the stock market into a state of equilibrium. This means that the company's CSR activities are reflected in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which suggests that the company should consider the investor as a stakeholder in decision-making related to CSR activities.
본 연구는 강소성 해외직접투자가 지역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한 결과 해외직접투자가 모국의 기술혁신에 대한 촉진효과를 나타내고 모국의 기술력상승이 해외직접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입증하였다. 벡터오차수정(VEC)모형을 통한 분석결과는 양자가 장기적인 정(+)의 관계의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기적으로 보면 전년도 기술력상승은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촉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강소성의 해외직접투자 활성화 방안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illover effect of R & D investment focusing on agriculture sector. Therefore, the Korean industry is divided into 18 industries and the data period including 1970 ~ 2014 is analyzed. In addition, the method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duction function, the growth contribution of the production factor, and the spillover effect of other industries that affect the agricultural outp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 & D inves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Korean agriculture. Second, the impact of high tech industry R & D investment on Korean agriculture is positive. Third, the R & D investment in the public secto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R & D investment in the private sector. In the R & D stage, the R & D investment of the first level technolog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roduction of agricul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governments should consider the above mentioned research results to determine resource priorities based on limited resources in relation to R & D investments that contribute to production and economic growth.
2013년 중국(상해)자유무역시범구의 출범에 따라 중국 최초의 네거티브 리스트가 공표되었다. 네거티브 리스트 패러다임은 자유무역시범구에서의 시범적 운영을 거쳐 전국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거쳤다. 외자 진입 네거티브 리스트 패러다임의 도입은 내국민대우원칙을 운영단계로부터 진입단계로 확장시켜 투자자유화 수준을 제고시키고 중국에서 외자관리체제의 근본적인 혁신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을 바탕으로 중국 자유무역시범구에서 실시된 네거티브 리스트 패러다임의 도입한 배경, 추진과정, 주요내용과 특징 등을 살펴보고 의미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의 개선방안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최근 중국 내 경영환경 급변으로 인한 새로운 환경 하에서 한국기업의 중국시장에 진출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대중국 직접투자 건수로 종속변수를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시장규모, 환율, 임금수준, 물가의 4개 주요요인을 사용하였다. 통계패키지는 SPSS20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시장규모, 환율의 변수들이 주로 예상된 부호를 가지고 해외직접투자에 정(+)의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유의성이 있는 변수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규모, 환율이 클 수 록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증가하게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가, 임금은 예상대로 부(-)의 부호를 나타냈으며 물가와 임금수준의 낮을 수록 한국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증가해 보 였다는 결론이 나타냈다.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전체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해 미래에 필요한 유지보수 예산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현 재 국내에서는 전체 대규모 시설물에 적용할 수 있는 유지보수비용 예측 기법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용한 자 료와 적용 가능한 예측모델을 토대로 우리나라 전체 향후 SOC 시설물에 대한 향후 유지보수 투자 규모를 예측하였다. 실제 지출비용과 비교하 여 가장 적합한 예측모델을 선정하고 관리주체에서 과거에 지출한 유지보수비용 자료를 이용하여 일부 모델은 개발하여 교량, 터널, 포장, 항 만, 댐, 공항, 상수도, 하천, 항만 등의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최적의 미래 유지보수 비용을 산출하였다. 앞으로 10년간 총 비용예측결과, 8종의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하여 약 23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시설물은 도로포장, 도로교량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한국 해외직접투자 정책의 발전과정, 한국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특징을 살펴본 결과, 한국중소기업 해외직접투자의 특성도 세계경제 환경의 변화에 맞춰 많이 변해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투자업종의 중심이 과거의 제조업에서 금융, 보험, 부동산업을 비롯한 서비스업으로 전환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투자목적도 과거의 저임활용과 수출촉진에서 현지시장 진출으로 전환하고 있고 이에 맞춰 투자지역도 생산요소가 저렴한 아시아지역에 대한 편중에서 소비 시장규모가 큰 북미, 유럽 등 지역으로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태분석을 통해 나타난 한국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독점적 우위요소의 부재, 투자지 역 편중, 전문인력 부족, 투자준비 부족, 기업경영의 현지화 부족 등 문제점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우위 요소 확보, 투자지역의 다양화, 조사연구 및 정보체제 강화, 현지화 추진, 투자방법의 다양화 등 투자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foundation of LDA-based model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cost evaluation. The LDA-based model enables to evaluate not only overall maintenance cost, but also various combination of each cell of risk matrix.
중국 2014년 전체 해외직접투자액이 1231.1 억 달러로 미국과 홍콩에 이어서 세계 3위를 기록하였 다. 앞으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장기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해외자본스톡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중국의 국제무역에 미치는 효과도 함께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해외직접투자가 중국 무역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해외 직접투자는 수출과 수입을 모두 증대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금액이 1% 증 가할 때 수출은 0.085%, 수입은 0.02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 기업들은 현지시장 진 출을 목적으로 현지국에 투자할 때 국내에서 중간재나 부품을 조달하여 현지에서 완제품을 생산하므 로 국내 수출이 해외투자와 보완관계에 있지만 생산 이후 현지시장에 판매하므로 국내로의 역수입에 대한 영향이도 존재하는데 이 수입효과가 수출효과보다 크지 않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체적으 로 보면 중국 해외직접투자가 무역수지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지역별 분석결과 를 살펴보면 동부와 중서부지역에서도 무역개선효과가 존재하는데 동부지역의 수출/수입에 보완효과 가 중서부보다 비교적 현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가의 신 성장 동력 연구 개발 지원을 위한 벤처캐피탈과 벤처관련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 뿐 만 아니라 L자형경제성장으로 들어선 중국에서까지 활발히 논의 되고 있는 금융 투자 분야이다. 2000 년대 미국 발 벤처투자 붐을 시작으로 한국과 중국의 학계와 금융업계에서 널리 논의 되고 타국과의 비교와 자국 모델수립 및 운영과 회수방법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2014년부터 중국 벤처투자 시장의 가시적인 성장이 눈부시다. 2014년 시진핑 주석의 하남성 방문에서 발표한 신창타이체제 아래서 정부주도하의 새로운 경제성 장동력을 찾기 노력의 하나이다. 벤처투자업종에 있어서 하이테크 위주의 투자는 한국의 벤처투자와 비슷해 보이지만, 관리체계에서 LP보다는 GP투자를 확산을 통해 단기적인 벤처투자가 아닌 장기적인 포지션을 유지한다는데서 의미가 있다. 일류기술과 이류경영보다는 이류기술이지만 일류경영이 벤처 투자에 더 성공을 가져다 준다고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GP투자는 무작정 벤처업체에 자금을 투자 하기 보다는 효율적인 경영과 관리감독에 더욱 신경을 쓰는 것으로 정부와 사회의 장기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분야이다. 무섭게 성장하는 중국벤처산업이 침체되어 가는 중국경제발전의 한 줄기 희 망으로 작용 할 것이다.
1980년대 이후 한국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급속히 증가해 왔고 이는 한국 산업구조 조정, 기 업자체의 경쟁력 등의 원인도 있지만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무시할 수 없다. 한국기업의 해외 투자 역량제고와 관련된 정부지원제도의 내용은 크게 정보, 상담 및 컨설팅의 제공, 해외투자관련 전 문인력의 양성, 금융 및 세제 등의 지원 등 세 가지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체계적이고 효율 적인 지원제도는 중국정부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제도의 수립에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foundation of LDA-based model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cost evaluation. The LDA-based model enables to evaluate not only overall maintenance cost, but also various combination of each cell of risk matrix.
개혁개방 이후에 특히 중국 WTO 가입한 후에 강소성의 해외직접투자는 급속히 성장해 왔으나 장기 적인 투자 계획성 부족, 해외경영 경험 부족, 전문 인력 부족, 정보력 부족, 정부의 지원체계 미비 등 문제점도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소성 해외직접투자 활성화 방안으로는 기업차원에서의 경쟁력 확보, 체계적인 전략의 수립, 투자방식의 다양화과 정부차원에서의 금융지원, 투자 정보제공, 전문 인력 양성, 중개역화 강화 등 지원정책확대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주 제
한국의 대 중국 투자는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으로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대 중국 투자가 매우 활발한 편이다. 한국 기업들의 대 중국 업종별 직접투자를 살펴보면 노동집 약적인 업종에 집중되었다는 점이다. 노동집약적 업종에 집중된 원인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한국 기업들의 대 중국 투자진출이 대부분 생산효율추구 요인 즉, 중국의 값 싸고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하여 생산한 뒤 제3국 혹은 한국으로 수출하려는 목적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이며, 두 번째로는 그 동안 중국정부가 비제조업 부문, 특히 서비스 부 문과 같은 3차 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를 제한한 정책 또한 이러한 현상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가 시간이 흐를수록 제조업의 투자 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3차 산업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결과는 두 산업에 대한 투자의 결정요인은 차이점이 있다. 시장규모의 변수는 제조업 투자와 기대한 계수의 부호와 같이 정(+)의 관계가 나타나지만 서비스업에 대한 투자는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낸다. DIR는 제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이하지 않지만 제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환율의 변수를 보면 제조업에서 통 계적으로 정(+)의 관계가 나타나지만 서비스업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에서 부(-)의 관계 가 나타났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은 기존의 한국 자본금융관련법률이 가지는 대내적, 대외적 한계를 극복하여, 당시의 국제경제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즉, 당시 한국내의 금융체계가 간접금융상품에 편중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기업들이 국내자본시장을 통하여 원활한 자본조달에 한계를 가졌고, 통일화 되지 못한 법체계로 인하여 금융업계 역시 그 운영과 성장에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투자자들에 대한 보호 역시 부족하여 자본금융시장에 대한 위험인식이 높은 상황에서, 전세계의 개방화 추세를 따르기에 역부족이었다.
이에 포괄주의 규율체제로 전환, 기능별 규율체제로의 전환, 금융업무범위의 확대, 투자자 보호제도 선진화를 골간으로 기존의 관련법률들을 정리하고 통합하여 현재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