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프로그램은 직접수신비율이 높지 않은 반면, 방송산업에서 시청자의 선호도는 가장 높은 킬러콘텐츠이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이하 ‘SO’라 한다)의 출범이후, 지상파방송사는 SO가 지상파방송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재송신할 수 있게 하였고, 이를 통해 지상파방송사는 광고 수 익을 극대화 시켜왔다. 그러나 지난 2009년 이후 지상파방송사와 SO간 재송신 행위가 난시청 해소를 위한 수신보조 행위인가에 대하여 분쟁이 있어왔고, 법원이 수신보조행위를 넘어 SO의 독자적인 방송사업에 해당 한다는 판결을 내림으로서 이들 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지 상파방송사의 저작권이 인정된 만큼, SO의 전송 선로설비 사용에 대해 서도 합리적인 사용료를 지급하여야 한다는 논의가 있으며, 이러한 대가 산정의 공정성을 위해서는 지상파 동시재송신의 대상이 되는 ‘방송프로그 램’에 ‘방송광고’가 포함되는지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재송신대 상에 지상파광고가 포함되는지에 대한 검토가 중요한 이유로는 첫째, 광 고수익을 주 수익원으로 하고 있는 지상파방송사업이 송출과정에서 있어 서는 시청자의 직접 수신 비율이 매우 낮다는 점, 둘째, 이러한 지상파방 송 수신 과정에 있어 국민대다수가 유료방송플랫폼의 전송 선로설비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 그러나 지상파 동시재송신 대상이 되는 ‘방송프로그 램’에 ‘방송광고’가 포함되는 지 여부가 법률상 불명확 하다는 점 등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지상파 동시재송신 대상이 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지상파광고’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토 하였다. 우선 “방송광고”를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시키지 않고 각각 분리하여 다루는 것이 업계 관행이며 기존 연구들의 전제된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지상파 재송신 제도의 취지 자체가 보편적 서비스 구현의 보장이 전제되어 있으나, ‘광 고’의 재송신은 시청자의 보편적 시청권 보장을 내용으로 하는 공공성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볼 수 없다. 또한 지상파방송사와 SO의 관계가 경쟁 체계로 변화하였고 양자 간의 공정경쟁 측면에서 볼 때 합리적 이유 없 이 방송프로그램에 방송광고가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지상파방송사 일방에게만 유리한 법적 해석으로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지상파 동시재 송신의 대상이 되는 ‘방송프로그램’에 ‘방송광고’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이러한 해석의 모호함으 로 야기되는 혼란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안은 법률의 개정 을 통해 지상파 동시재송신 대상인 ‘방송프로그램’에 ‘방송광고’가 포함되 지 않음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구강방어를 동반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게 구강감각자극 가정 프로그램을 적용하 여 양치질의 변화, 양치질 수행도 및 보호자의 만족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로 진단받은 3명의 아동이었고 연구 설계는 개별 실험 연구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각각 4회, 8회, 3회기로 총 15회 기로 진행되었다. 가정 프로그램은 중재기간 동안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매일 2회 이상 시행하도록 하였 다. 양치질의 활동 변화는 조작적 정의를 통해 거부행동과 허용시간을 측정하였다. 구강감각처리 수준은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으며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을 이용하여 양치질에 대한 수행도와 보호자의 만족도 변화를 알아보았다.결과 :구강감각자극 가정 프로그램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양치질 거부행동 감소, 허용시간 증가를 가 져왔다. 둘째, 모든 대상자의 양치질 수행도 및 구강감각처리수준, 보호자의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셋째, 모든 대상자의 향상된 양치질은 중재가 종료된 지 1개월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구강감각자극 가정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양치질 수행도 향상에 효과 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연계된 중재 프로토콜 연구가 더욱 활 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김해시 농업 기술센터에서 실시한 학교 텃밭조성 사업에 참여한 김해시 관내 초등학교와 유치원을 대상으로 텃밭교육의 현황 조사표와 인터뷰, 사진촬영, 교육프로그램 자료 등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학교 텃밭 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지는 학교 텃밭 조성 활성화에 참여한 15개교 중, 초등학교 5개교와 유치원 10개교 이다. 예비조사로 텃밭 관련 자료는 2015년 3월~11월까지 기술지원과를 방문하여 담당자와 인터뷰하여 예비조사 대상지의 현황자료를 수집하였고, 본 조사는 1차 현장조사와 2차 현장조사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1차 현장조사는 2015년 4월~7월, 2차 현장조사는 2016년 4월~7월 실행하였다. 그 내용은 텃밭 조성면적과 작물현황, 편의 및 보조시설, 관리현황, 연간 작업계획, 교육시간,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각 학교별 텃밭 조성면적은 60~693㎡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1인당 사용하는 텃밭면적은 0.3~3.3㎡ 범위에 있었다. 작물현황은 2015년도는 어린이 자연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학교는 열매채소 5종류(26%), 잎줄기채소 7종류(37%), 뿌리채소 3종류(16%), 화훼 4종류(21%)를 재배하였다. 2016년도는 각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텃밭을 운영하여 열매채소 4~7종류(27~47%), 잎줄기채소 0~5종류(0~33%), 뿌리채소 0~3종류(0~20%)를 재배하였다. 편의시설은 안내판, 퍼골러, 관수시설 등이 구비 되어 있었다. 일부학교에서는 텃밭관리를 물주는 방법과 곁순따기, 지주대세우기, 천연 농약 만들기 등은 전문적인 강사가 지도하고 있었다.
학교 텃밭 작업계획에는 밭준비와 파종, 정식, 이식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열매채소와 뿌리채소는 모종을 심고, 잎줄기 채소류는 모종을 심는 방법과 씨앗을 파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텃밭교육시간은 안전교육, 텃밭관리내용, 작물 성장관찰, 풀 뽑기, 물주기, 느낌 나누기 등에 관한 교육을 충실히 수행하려면 90분 정도 필요했다. 학교 텃밭의 작물선택은 교과목과 연계하여 학생들과 함께 선정하면 관심과 흥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텃밭활동과 텃밭 관리를 교과내용과 연계하여 이론과 실습을 병행할 수 있다. 텃밭에서 작물이 자라는 과정을 통한 텃밭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교육적, 정서적, 심미적, 힐링적 효과 등 감성을 자극하는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오감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 마다 유휴 공간을 텃밭으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 해본다.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도입 반영 되어 학교라는 장소에서 텃밭이라는 자연에서 미래의 꿈을 키울 수 있는 장 을 만들 수 있도록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assessments by comparing major discussions on textbooks before and after the reform of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To draw implications for analyses, thirty-three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against the basic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KIIP.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items requiring reexamination and improvement had been properly applied to the revised versions of textbooks and assess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beginning stage, the discussions on the KIIP appeared to have focused mainly on the policy until the reform in 2013. In addition, the item, ‘topic and culture’, presented the highest reflection rate compared to that of the pre-revised textbooks. However, the ‘topic and culture’ item in the five stage assessment, including a pre-program level test and the Korean Language Culture Test, showed that only the level 2 test had the proper contents for its objective, adequate subject coverage and cultural knowledge. Furthermore, the text seemed biased in terms of the type, failing to take into account the realities of immigrants. The results indicate potential for improvement in the linkage between textbooks and assessments to achieve a true ‘social integration’ through ‘language education’, and reconfirm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in this area.
목적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 과와 원 직무복귀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경상남도 소재의 C병원에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산재근로자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은 1일 1회 3시간 이상 주 5회, 총 4~8 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측정하였다. 산재요양기간 종료 후 2개월 뒤 추적관찰을 통해 원 직무복귀 그룹과 원 직무복귀 실패 그룹을 나누어서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산재 요양기간 종결 2개월 뒤 원 직무복귀 여부에 따라 두 집단 간 차이를 확인했을 때 자기효능감의 변화량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 여주었고, 자기효능감이 원 직무복귀 성패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최근 아동학대 등 인성 부재로 인한 사회문제가 대두되면서 인성교육이 사회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그 문제의 해법을 제도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연구적인 차원에서 찾고자 노력 하고 있다. 연구적인 차원에서는 주로 인성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 반면, 코칭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인성을 함양시키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인성교육의 실천을 돕기 위해 인성코칭 학습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학습에 적용해 봄으로써 인성을 함양하여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인성교육의 분석과 인성코칭의 이해, 그리고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와 사회복지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 한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인성코칭 학습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이 모형은 범주, 영역, 구성요인, 하위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범주는 크게 ‘개인적 인성코칭-관계적 인성코 칭-공동체적 인성코칭’ 세 가지 핵심코칭으로, 영역은 ‘나-너-우리-세계’로 구성되었다. 이 네 가지 영역은 14개의 구성요인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세분화하여 하위내용으로 정리하 였다.
이 연구에서는 생계부양자로만 여겨졌던 남성의 돌봄 참여가 요구되는 사회적 현실에서 육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주목하여 남성의 자녀 돌봄의 재현방식과 그 사회 문화적 함의를 검토하였다. 서사분석 결과 첫째, 돌봄은 여성의 본분이라는 통념에 근거해 인물 관계가 묘사되었고, 남성의 돌봄은 주로 상업화된 체험교육 시설이나 서비스, 외식업체를 이용한 소비활동으로 대체되고 있었다. 둘째, 이야기구조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성역할 규범을 모색하기보 다 성별분업에 기초한 정상가족제도를 강화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와 관찰 을 통해 돌봄의 어려움이 가시화되고, 남성의 돌봄 참여가 가져온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텍스트의 최종의미를 고정하는 내래이션은 기혼여성의 시점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돌 봄에 미숙하다는 통념을 강화하고 있었다. 결국 여성의 돌봄 책무를 경감하기보다 오락적이고, 소비주의적인 남성의 돌봄을 규범화하여 부모되기의 책무를 강화하고 있었다.
취업난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으며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육역량강화 사업을 실시하여 취업을 지원하는 대학 및 지자체 평생교육 원과 같은 기관을 통하여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 수혜자들의 요구가 직접적으로 반영되어지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 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직접적인 교육 수혜자들의 요구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취업지원 교육에 있어 강화 되어야할 부분들을 모색하고자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는 취업지원교육에 참여하여 구직 활동 및 취업역량강화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코칭기반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코칭 질문을 바탕으로 하는 인터뷰를 통하여 대상자의 요구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연구하고자 인터뷰내용을 중심으로 다빈도 용어도출을 통한 질적 연구형식에 부합하도록 구 성하여 전개하였다.
취업지원 교육에 있어 코칭에 기반을 둔 요구도 조사를 양적연구 및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 성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및 직무능력,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기간은 2016년 4월 4일부터 6월 24일까지로 하였고, 연구 대상은 G광역시 E복지관을 이용 하는 성인 지적장애인 4명으로 하였다. 연구 설계는 개별대상연구 중 행동간 복수간헐 기초선으로 하였 다. 중재는 대상자들이 선택한 직무에 따라 기초능력, 직무능력, 일반화 과정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시행 하였고, 12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다. 매 회기의 과정이 끝날 때마다 기초능력에서는 파악력, 기민성, 양손조작력을 직무능력에서는 스트링 조립 완성 개수와 정확도를 일반화에서는 팔찌 만들기 완성 개수 와 시간,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과제지향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직무에 필요한 기초능력으로 손 기능을 증진시켰고, 직 무분석을 통한 과제를 반복 훈련함으로써 직업을 획득하고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직무능력과 일반화를 향상시켰다. 결론 :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직무에 영향을 미치는 손 기능 및 직무능력, 일반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기 에 직업재활 프로그램으로서의 사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based on narrative therapy. Its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arrative therapy program, and the way adolescents change from the application of the narrative therapy counseling technique.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90minute 8sessions, and it consisted of 11 participants separated into a test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s were performed o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olerance, in th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and in withdrawal on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Thus, narrative therapy enabled positive changes in adolescents
PURPO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special roundabouts using simulated programs. METHODS: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comparing the delays and traffic flow disturbances occurring at special roundabouts.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450 scenarios (5 roundabout types × traffic volumes × directional ratios × measur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elays and traffic flow disturbances using VISSIM and SSAM.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amburger roundabouts are determined to yield the least common-type delays, 2) the amount of delays at Turbo and Flower roundabouts with respect to relatively increased right-turn-type delays,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delays at the Left-turn slip-lane roundabout with respect to relatively increased left-turn-type delays, are found to be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mmon-type delays. Lastly, common- and increased right-turn-type traffic flow disturbances at the Turbo roundabout and increased left-turntype traffic flow disturbances at the Left-turn slip-lane roundabout are determined to be the most infrequent. CONCLUSION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five roundabout types: standard, Flower, Turbo, Hamburger, and Left-turn slip-lane. The effectiveness of roundabouts can increase according to given traffic volume, directional ratio, and measure of effectiveness.
FEM 수치해석을 위한 사면체격자 생성을 위해서는 물체의 볼륨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Boundary Representation (B-Rep) 모델이 필요하다. 공학분야에서는 파라메트릭 솔리드 모델링(Parametric Solid Modeling) 방법을 사용하여 BRep 모델을 정의한다. 반면 지질모델링은 메쉬 기반의 불연속(discrete)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지질솔리드모델 (Sealed Geological Model)이라 부르며 지층, 단층, 관입암, 모델 경계면과 같은 지질학적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해 지질 도메인을 정의한다. 공학분야의 파라메트릭 모델링과 불연속 모델링 방식의 자료구조의 차이로 인해 불연속 B-Rep 모 델은 공학분야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오픈소스, 상용 메쉬제작 소프트웨어와 쉽게 호환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공학 용 메쉬 제작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을 가지도록 지질솔리드모델을 대표적인 오픈소스인 Gmsh와 상용 FEM 해석 소 프트웨어인 COMSOL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지질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작한 복잡한 지질구조모델 을 사용자 편의성을 갖춘 다수의 상용 소프트웨어서 쉽게 활용할 수 있어 지열, 암석역학 등 다양한 지구과학 시뮬레 이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developed a vegetable preference increase program that can be applied at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M) for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and kindergarten and the train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192 5-year old children. Teachers considered ‘disliked food’ (3.23±0.85/out of 5) as the most serious nutritional problem and typical disliked food was ‘vegetables’ (54.2%). Based on this finding, to increase the preference for vegetables, a fivephas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this program, each phase was composed of activities to increase children's interest in vegetables by using each sense out of the five senses. Center dieticians had visited and conducted the program in 12 facilities. By using an illustration assessment tool, the train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children's knowledge level and their preference changes in vegetables. Consequently, as examined by 10 questions on the knowledge of vegetables, trained children's (in total 192) knowledge of vegetables had considerably increased (p<0.01, p<0.001), and their preference for 15 out of the 16 vegetables, except for carrots, also showed a considerable preference increase after the training (p<0.01, p<0.001). Therefore, this program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reducing disliked vegetable eating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