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6

        1921.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으로 전기의 발생, 전기의 흐름, 전기의 이용의 3단계 과제를 개발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중학교 전기에너지 교육의 목표와 내용, 전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교육 프로그램의 양호도에 대한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전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 전기에너지 교육 담당 교사와 학생들이 전기에너지 교수-학습에 있어 전기의 발생에서 흐름, 이용에 이르기까지의 과정과 이를 토대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중심 수업에 도움을 주는 수업자료이며 준비단계, 개발단계, 개선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발된 전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전기의 발생, 전기의 흐름, 전기의 이용의 3단계로 구성하여 20-23시간에 걸쳐 학습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으며, 각 영역은 기본학습과 체험활동으로 구분하여 교사용 자료와 학생용 자료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전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정규수업, 발명교실, 계발활동, 특기적성활동, 재량활동, 방과 후 학교, 방학 중 과제 등 전기에너지 교육에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다양한 체험활동 과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1922.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시대에 발행된 직지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이다. 인쇄기술은 기술학에서 통신기술 영역에 해당한다. 현행의 초중등 교과서 7권에 직지의 내용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한 이 프로그램으로 2009년부터 교사를 대상으로 직지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직지 관련 선행 연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고, 둘째, 국가교육과정과 초․중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직지연수의 요구도를 분석하였으며, 넷째,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다섯째, 개발한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예비연수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직지연수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랐다.
        192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에서 다양한 활동기법이라고 할 수 있는 화훼작품을 이용한 원예전시회를 통해 작품들을 선보이고 각각의 작품들이 갖는 미적가치와 작품을 제작하고픈 성취욕에 대한 일반인들의 참여의식을 고취하여 원예치료를 홍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전시회는 2007년 4월 13일부터 4월 15일 까지 3일 동안 실시하였고, 전시된 작품들은 모두 11가지 작품들로 허브, 난, 코사지, 부케, 조화, 꽃바구니, 꽃꽂이, 압화, 자연프린팅, 사탕부케, 미니정원 등이다. 전시된 원예치료 작품을 방문객들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적으로 폐품을 재활용한 미니정원(바구니)과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연프린팅 작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원예활동 흥미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예치료를 적용하면 효과적인 대상에 대한 결과로 스트레스를 받는 모든 사람들이라고 응답하였다.
        1926.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이나 흥미도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었고 대부분이 캠프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한 학생의 반 이상이 대학에서 진행되는 수업에 기대가 높았고 캠프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 또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학캠프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며 캠프에 참가하지 않은 친구들에게 추천 할 의사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과학 캠프의 모든 프로그램을 마친 후 과학에 대한 흥미도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캠프에서의 학습 내용 또한 학교에서 과학 수업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캠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과학실험을 접하게 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27.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기간이 짧아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저 소득층 결손가정의 아동에게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방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아동에게 흥미와 오감을 자극하는 창작활동에 몰두시켜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고 본다. 따라서 특수한 환경에 있는 저 소득층 결손가정 아동의 건강한 인성발달을 위하여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1935.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기간이 짧아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저 소득층 결손가정의 아동에게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방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아동에게 흥미와 오감을 자극하는 창작활동에 몰두시켜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고 본다. 따라서 특수한 환경에 있는 저 소득층 결손가정 아동의 건강한 인성발달을 위하여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1940.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공예 활동이 28.9%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별로는 지적장애(고등학교)이 28.6%로 가장 많았다. 자격등급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시기별 또한 전기 후기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배활동에서는 일반재배가 45.1%로 가장 많았으며, 공예활동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화훼장식품이 22.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실용품(18.9%), 장식품(18.6%), 공예재배(14.0%), 공예재료제작(1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별로는 지적장애(고등학교)가 31.5%로 가장 많았다. 실용품을 살펴보면 포푸리 주머니가 36.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카드 만들기(17.4%), 열쇠고리와 책갈피 만들기(10.4%), 이름표(9.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별로 지적장애(고등학교)가 41.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지적장애(중학교)와 정서장애가 16.7% 이며 1급과 2급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1급보다 2급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별로는 지적장애(고등학교)가 27.9%로 가장 많았으며 1급과 2급을 비교한 결과 지적장애(중학교)의 경우 2급보다 1급이 증가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공예재배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잔디인형이 68.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토피어리 29.5%, 감자인형 1.6% 순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고등학교)가 27.9%로 가장 많았다. 원예치료의 프로그램은 각각의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적용될 때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응용, 변형, 개발함으로 다양하고 흥미롭게 활동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