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8

        14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tact Lens Educators(IACLE)가 실시하는 STE결과를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콘택트렌즈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IACLE에서 주관한 STE에 참여한 12개 대학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시험성적을 분석하여 대학 및 국가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 12개 대학의 평균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54.01점이었으며 평균 합격률은 62.75%였다. 문항을 주제별로 7개 부류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평균 점수는 각각 전안부 해부 및 생리 48.73점, 콘택트렌즈 디자인 및 관리 46.14점, 콘택트렌즈 피팅원리 49.08점, 환자 검사 및 콘택트렌즈 처방 73.37점, 콘택트렌즈 관리 및 유지 66.12점, 콘택트렌즈에 대한 안구 반응 55.45점,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 52.54점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간에 따라 2,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을 비교해 본 결과 2,3년제 대학의 평균 점수가 53.35점, 4년제 대학의 점수가 54.94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가간 비교에서는 중국, 인도, 프랑스, 독일에 비해 한국 학생들의 점수가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론: 평균점수와 합격률에 있어 학교 및 과목 사이에 편차가 확인 되었다.
        4,000원
        14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지역과 교육수준에 따른 굴절이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안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수정체안을 제외한 만 40세 이상의 성인 5,025명을 대상으로 도시와 농촌의 굴절이상 차이를 분석하였다. 안검진 데이터에서의 굴절이상도는 자동안 굴절계로 검사하였고, 통계분석을 위하여 등가구면 굴절력을 사용하였으며,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 중·고 졸 이하, 대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지역과 교육수준에 따른 굴절이상도는 t-test 및 χ2 검정하였고, 유의 수준은 0.05로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농촌지역(62.05±11.98)이 도시지역(56.62±11.74)보다 높았으며, 굴절이상도는 도시 지역의 굴절이상도(-0.38±2.01D)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초졸 이하의 굴절이상도는 -0.24± 1.90D이었고, 중·고졸 이하는 -0.27±1.99D, 대졸이상은 -0.40±2.18D로 교육수준과 굴절이상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든 교육수준에서 도시지역의 굴절이상도가 높았다. 우리나라 성인의 고도근시 발생률은 2.0%이었으며, 도시지역은 2.3%이었고, 농촌지역은 1.4%로 도시지역의 고도근 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population-based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도시와 농촌 지역의 굴절이상도의 차이 와 교육수준에 따른 굴절이상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굴절이상도(근시)는 농촌지역에 비해 도시지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더욱 증가하였으며, 고도근시는 도시지역에서 더 많은 유병률을 보였다.
        4,000원
        143.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韓國에서 漢文이 獨立敎科로 敎授되기 始作한 것은 1972年2學期以後中․ 高等學校에서이다. 그 以前에는, 初․中․高等學校共히 漢文이 國語敎育의 一部로서 部分的으로 敎授되거나 아예 敎授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1945年解放以後韓國의 公式的인 制度敎育內敎育課程의 制定은 美軍政廳에 依해서 이루어졌다. 漢字敎育과 關聯하여 美軍政廳이 最初로 시행한 조처는, 軍政廳學務局의 ‘暫定的國語敎育의 臨時措處’로부터라고 할 수 있다. 곧 이 조처는 初等學校國語敎科書에서 漢字와 國文의 混用또는 欄外倂記를 部分的으로 許容함으로써 初等學校에서 漢字敎育이 一定하게 施行되도록 하였 다. 한편 美軍政廳編修局이 1947년 9월 1일 제정 시행한 ‘敎授要目’은 中․高等學校에서 國語科의 補充敎材의 形式으로 漢文科目을 選擇할 수 있도록 하 였다. 이후 1951년에 문교부는 戰時학습방침을 수립하면서 漢字敎育과 관련하여 劃期的이라고 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한다. 곧 이 해 9월 漢字․漢文敎育史上 최초로 ‘常用一千字表’를 제정 공포한 것이 그것이다. 이 常用漢字1,000자는 이 후 1957년 11월에 제정한 ‘임시제한한자 1,300자’ 및 1972년 8월에 제정하고 2000 년 12월에 이를 다시 調整公布한 ‘중․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의 선구가 되는 것이다. 1955年8月1日告示된 第1次敎育課程에서는 初等學校의 境遇에 漢字敎育 에 對한 明示的規定을 별도로 두지 않았지만, 漢字敎育이 如前히 施行되고 있 었다. 中學校의 境遇에는 國語科敎育課程아래에 ‘漢字및 漢字語學習’에 대한 규정을 별도로 두어 漢字․漢文敎育이 독립된 교과서를 갖는 하나의 과목으로 敎授될 근거를 마련해 놓았다. 高等學校의 境遇에는 역시 國語科敎育課程아래 에 ‘漢字및 漢文指導’ 규정을 두어 選擇敎科國語(2)의 한 領域으로 ‘漢文’ 과 목을 設定하였다. 1963年2月15日에 告示된 第2次敎育課程에서는 初等學校의 境遇에 國語科 4學年學年目標에 漢字關聯規定을 명시적으로 두어 한자 교육을 보다 강화하 였다. 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國語科敎育課程속에 관련 규정을 그대로 두되, 漢字․漢文敎育을 보다 강화하였다. 가령, 고등학교의 경우 ‘國語Ⅰ’에서의 漢字敎育以外에도, 人文系課程의 境遇國語 Ⅱ의 한 科目으로 18單位(文法⑷, 漢文⑹, 古典⑷, 作文⑷) 가운데 漢文6單位, 職業系課程의 境遇漢文6單位를 履修하게 하였다. 그러나 1969年9月4日改定되어 1970年1學期부터 施行된 敎育課程部分改定에서는 初等學校와 中學校의 國語및 高等學校의 國語Ⅰ의 敎育課程에서 漢字및 漢文關聯條項을 削除하여 漢字, 漢文敎育을 아예 廢止하고 말았다. 다만 人文系高等學校國語Ⅱ에 있는 漢文의 境遇에만 單位數를 6單位에서 8單位로 增加시켜 존속시켰을 뿐이다. 中․高等學校에서 漢文敎育이 復活한 것은 1972年2月28日告示되고 이 해 2學期부터 施行된 敎育法施行令에 依해서다. 이 施行令에 依하여 中․高等學校에 漢文敎科가 獨立新設되어, 이 해 2學期부터 漢文이 獨立敎科로서 公式的으로 敎授되기 始作하였다. 中․高等學校各900字씩 ‘漢文敎育用基礎漢字’ 1,800字를 制定하여 公布한 것도 바로 이 무렵인 1972年8月16日의 일이다. 1973年8月31日에 告示된 第3次敎育課程에서부터 第5次敎育課程에 이르 기까지는 中․高等學校에서 漢文이 獨立敎科로서 사실상 必修科目으로 施行 된 時期이다. 곧 中學校漢文은 1, 2, 3學年各其週當1時間씩 必修科目으로 敎授되었다. 高等學校의 境遇에는 漢文Ⅰ은 共通必修또는 必修選擇, 漢文Ⅱ는 人文系必修(但, 3, 4次敎育課程에서는 課程別必修, 5次敎育課程에서는 課程別選擇)로 亦是사실상 必修科目으로 敎授되었다. 1992年6月30日告示되고 1995年부터 施行된 第6次敎育課程以後漢文敎科는 中․高等學校共히 必須科目에서 選擇科目으로 轉落했다. 곧 第6次敎育課程에서는 中學校漢文이 選擇科目으로 되었고, 高等學校漢文Ⅰ, 漢文Ⅱ가 課程別必修科目으로 바뀌었다. 高等學校의 課程別必修科目 이란 市․道敎育廳이 選擇해야 該當敎育廳所屬學生들이 履修하는 選擇科目이다. 結局第6次敎育課程에서는 漢文敎科가 中․高等學校共히 選擇科目 으로 된 셈이다. 한편, 이 第6次敎育課程에서 特記할 事項은 初等學校漢字敎育과 關聯한 條項을 添附하였다는 것이다. 곧 初等學校에 ‘學校裁量時間’을 新設하면서, 이 時間에 活用할 수 있는 敎育活動으로 漢字를 몇몇 다른 科目들과 함께 例示함으로써 制限的이나마 漢字敎育이 可能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1997年12月30日告示되고 2001年부터 施行된 第7次敎育課程에서는 中學校漢文이 敎科裁量活動時間에 學習해야 할 選擇科目으로 되었고, 高等學校漢文이 2, 3學年選擇科目으로서, 一般選擇科目群에 漢文⑹, 深化選擇科目群 에 漢文古典⑹으로 開設되었다. 2007年改定敎育課程에서는 中學校漢文이 敎科裁量活動時間에 學習해 야 할 選擇科目으로 되었고, 高等學校漢文이 2, 3學年選擇科目으로서 普通敎科敎養科目群(漢文, 敎養科目群)에 漢文I⑹, 漢文Ⅱ⑹로 開設되었다. 그러나 2007年改定敎育課程은 얼마 施行해 보기도 전에 2009年改定敎育課程으로 다시 再改定되었는바, 이에 따르면 中學校漢文은 選擇科目群의 하나 로 되었고, 高等學校漢文은 普通敎科의 生活․敎養敎科群에 漢文I⑸, 漢文 Ⅱ⑸로 開設되어 있다. 한편 2009年改定敎育課程에서 特記할 事項은 初等學校漢字敎育과 關聯한 條項을 다시 添附하였다는 것이다. 곧 初等學校에서 漢字敎育을 關聯敎科(群)와 創意的體驗活動時間을 活用하여 指導할 수 있도록 하고, 또 學校級別共通事項으로 提示된 凡敎科學習主題中의 하나에 漢字敎育을 包含시켜서 敎育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9,300원
        144.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대 이전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글쓰기는 한문이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세계는 한자·한문 문명권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정치·외교·문화적인 소통을 위하여 당연 히 한문의 글쓰기가 필요했다. 그런데 19세기 후반 이후 이런 전통의 글쓰기와 인 식체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 표기체계의 획기적인 전환과 함께 문체의 구조적 문 제가 발생하였다. 한문을 보편적으로 구사해오던 동아시아 어문의 질서로부터 이 탈, 근대적인 국민어가 탄생하였다. 근대적인 전환·변혁이 하나의 구체적인 사회 적 현상이 되었기에 그에 대한 언어적인 표현으로 드러난 것이다. 동아시아의 근 대적인 전환과 변혁은 과거의 문물제도와는 다른 학술문화와 지식 체계의 전환을 의미했다. 그런데, 이 시기에 동아시아는 근대 문명의 새로운 언어로 ‘한자 어휘’를 대량산출한다. 그것은 당시 서구의 지식과 학문의 체계를 동아시아권의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다. 흥미로운 것은 그렇게도 부정하려고 하고 타자화하려 했던 한자·한문의 문화에서 비롯된 한자 어휘로 서구어를 번역했다는 사실이다. 즉 통사구조는 자국의 구어와 일치시키고, 문장의 내용을 구성하는 어휘는 ‘근대 한자 어휘’로 대체했다. 이는 서양을 수용하면서 언어에 있어서 자국어 운동을 전 개하며 문자표기와 문장을 언어와 일치시키려는 운동이다. 그러나 20세기의 중국을 제외한 동아시아 각국은 한자 어휘마저도 거부하는 어 문 정책을 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국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는 여전히 한자 교육을 배제하고, 중·고등학교의 한문 교육 도 이전에 비해 훨씬 축소되었다. 따라서 근대 형성된 동아시아의 한자 어휘 문화 권도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학술활동의 국제적인 연대가 필요하다.
        8,300원
        145.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解放以後,韓國漢文作為獨立科目在初中、高中開始教授是在1972年2學期以後。在這之前,小學、初中、高中將漢文作為國語教育的一部分部分教授或者完全不教授。1)解放以後~第一次教育課程之前1945年9月美軍政廳學務局的“暫定國語教育措置”,和1946年9月制定施行的美軍政廳編修局的‘敎授要目’,容許在小學國語教科書裡以漢字和國文混用或者部分並記的形式在小學施行一定的漢字教育。漢文科目以‘教授要目’或者在初中、高中以國語科目補充教材的形式可以選修。1951年2月制定發表的“戰時學習指導要領”另外提出了“漢字指導要綱”,選用日常生活中被認為重要的漢字1000字以小學4、5年級各300字,6年級400字的比例進行教學,這1000個漢字在初級中學也施行應用,以此在小學和初中展開漢字教育。2) 第1~2次敎育課程1955年8月1日公佈的第1次教育課程裡,初中,在國語科敎育課程裡將“漢字與漢字語學習”的條款包含了進去;在高中,在必修敎科國語(1)的敎育課程裡面不僅將“漢字與漢文指導”包含進去,而且將漢文設定為選擇敎科國語(2)的一個部分。在小學,雖然沒有做明確的規定,但從1957年11月文敎部制定的‘臨時制限漢字’ 1,300字中的1000字1958年4月重新作為小學常用漢字的這一點上我們可以看出,小學的漢字教育仍然在施行著。1963年2月15日公佈的第2次敎育課程裡,小學,國語科4年級的學年目標裡做了與漢字有關的規定; 在初中,將“漢字與漢文指導”包含進國語科敎育課程裡; 在高中,除了以國語Ⅰ敎育課程的漢字敎育部分以外,人文系課程裡作為國語Ⅱ的一個科目 18單位(文法⑷, 漢文⑹, 古典⑷, 作文⑷) 中漢文6單位,職業系課程裡漢文6單位履行實施。但是1969年9月4日改定,1970年1學期開始施行的敎育課程部分改定案,將漢字與漢文關聯條目從小學與初中的國語和高中的國語Ⅰ的敎育課程裡刪除,完全廢止了漢字, 漢文敎育。雖然人文系高中國語Ⅱ裡的漢文單位數를從6單位增加到了8單位,但也只是做保留延續而已。初、高中的漢文教育是依據1972年 2月 28日公佈同年第二學期施行的敎育法施行令而復活的。依據這一施行令初、高中獨立新設漢文教科目,從這一年第二學期起漢文正式作為獨立的教科目開始教授。各大學的漢文敎育科也是在這個時候開始開設的。初、高中各900字的“漢文敎育用基礎漢字”1,800字也是在這個時候即1972年8月16日制定公佈的。另一方面,在小學,雖做了漢字漢文敎科目在實驗學校裡進行,視其成果而後決定是否進行擴大實施的計畫,但這個計畫並沒得到實際施行,結果直到現在小學也沒有能將漢字, 漢文敎育作為正式科目施行。3) 第3~5次敎育課程從1973年8月31日公佈的“第3次敎育課程”到“第5次敎育課程”,這個時期在初、高中漢文作為獨立敎科目實際上以必修科目施行。即初中漢文作為必修科目1,2,3年級每週教授一小時,高中漢文Ⅰ是共通必修或是必修選擇,漢文Ⅱ是人文系的必修課(但, "3, 4次敎育課程"裡是按'課程別"必修, "5次敎育課程"裡按課程別選擇)實際上也是作為必修科目來教授的。4) 第6~7次敎育课程1992年6月30日公佈,從1995年開始施行的第6次敎育課程以後, 漢文敎科目從初高中共同的必須科目降格為選修科目。即第6次敎育課程中初中漢文變為選修科目。高中漢文Ⅰ, 漢文Ⅱ變成課程別必修科目。所謂高中的課程別必修科目即,市․道敎育廳必須選擇的,有關敎育廳所屬學生學習的選修科目. 結果第6次敎育課程中,漢文科成了初高中共同的選修科目. 另一方面,6次敎育課程中特別需要注意的是與小學漢字敎育有關的條項的添附。即在小學新設‘學校裁量時間’,這段時間中,作為可以自由發揮的教學活動,雖然要和某幾個其他科目一起進行,漢字教育還是可以利用這一時間進行教授。1997年12月30日公佈,從2001年開始施行的第7次敎育課程中,初中漢文成為“敎科裁量活動時間”中需要學習的選修科目,高中漢文以2,3學年的選修科目, 一般選擇科目群中漢文⑹, 深化選擇科目群中漢文古典⑹的形式開設。5) 2007年和2009年改定敎育課程2007年改定敎育課程中初中漢文是“敎科裁量活動時間”需要學習選修科目, 高中漢文以2, 3學年的選修科目,普通敎科敎養科目群(漢文, 敎養科目群)中漢文 I⑹, 漢文 Ⅱ⑹的形式開設。 但是 2007年改定敎育課程施行不久,2009 年改定敎育課程又做了調整, 根據2009年改定敎育課程,初中漢文作為選擇科目群中的一項, 高中漢文以普通敎科的生活․敎養敎科群中漢文 I⑸, 漢文 Ⅱ⑸ 的形式開設。另一方面,2009年改定敎育課程中特別需要提及的事項是與小學漢字敎育有 關的條項重新被添附了進去。也就是在小學,可以利用漢字敎育相關的敎科(群) 和創意體驗活動時間進行漢字教育, 還有漢字敎育被添入以“學校級別共通事 項”提出的"凡敎科"學習主題中的一項。
        3,000원
        146.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Ⅰ. 序論 因尚未對韓國語言文字中仍然占據重要地位的漢字進行正式的規範化,從而導致漢字使用、漢字教育及漢字相關政策等存在諸多問題。因此筆者認為韓國切實有必要實施漢字規範化,同時特別強調需要對韓國漢字的形、音、義、量、序進行規範,本論中將主要論述關於韓國漢字字形規範化的相關問題。 對於韓國漢字字形存在的問題,在張豪晟, 金彥鍾, 許喆, 楊沅錫等的研究中均有所提及。但大都是提出漢字字形存在的問題,而沒有對這些問題提出相應的解決方案。另外在吸收中國漢字規範化研究成果時,沒有能夠針對韓國的實際情況進行進一步的適用性研究。 考慮到以上幾點問題,本論將在分析大陸和臺灣的漢字字形規範化現狀的同時,以韓國教育部制定的“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以下簡稱‘教育用漢字’)為對象提出字形規範化方案。 Ⅱ. 教育用漢字字形表記原則及字形規範化的必要性 韓國的教育用漢字初次制定於1972年,於2000年時,經過韓國漢文教育學會的研究,對44個字進行調整之後,從2001年起一直使用到現在。這些教育用漢字是根據什麼原則進行表記?在教育部的《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 調整白皮書》(2000)中提出的字形表記原則是“漢字字形原則上以本體字進行表記。但同時考慮那些以《康熙字典》的字形為根本且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裏提出“本體字表記的原則”的同時留下了“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的附則。因此提出了若俗字或異體字等也是廣泛通用的話,也將予以考慮這一點。根據這些規則,對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進行正確的定義相當困難。另外本體字的概念也是不明確的,在對於正字和本字的概念進行研究後,以此為基礎再次對在白皮書中本體字的概念進行相關的整理。正字是“同正體字,與異體字和俗字相對,由國家或社會規定的標准漢字字形。”異體字是“指讀音和意義完全相同,但形體構造不同的字,與正體字相對”,俗字是“與正體字相對,指流行民間,尚未被社會或政府所承認的字。”通過分析這些,正字可以說是在字的形態性側面上,國家或社會正式承認的標准字體。 本字是“與假借字相對,與通假字相對。指專為某個詞的本義所造的字,就是字形表現出所代表的詞的本義的字。”通假字是“與本字相對。指在漢語書面語中代替本字或通用字的那個字。”假借字“是本來沒有正字,一直借用某一個字。本來有一個正字,但是書寫的人一時寫了別字,或者由於地方習慣寫成另一個字。”即本字是在意思和運用層面上,可以說是同假借字和通假字相對而言的概念。 筆者認為應該將白皮書中提到的本體字定義為“不是異體字或俗字,同時從古至今都被認為是正字(正體字)的字體”。即教育用漢字字體必須使用正字。另外,根據白皮書中“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一條款,可能出現異體字或俗字被選為教育用漢字,但是筆者主張應該將這些字用正字予以替代。正字是“國家或社會承認和規定的”,但根據時代的要求這些規定也可能出現變化,因此可能出現正字和異體字、俗字區分模糊的情況。在這些情況時,將根據原義所造的字或字形承載原義的本字視為正字是比較恰當的。總而言之,筆者主張教育用漢字應該以使用正字為原則,在正字標准模糊時將本字視為正字。 若通過這些辦法,提出韓國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的話,能夠使各個漢字的筆畫和筆順規範化,也能夠使漢字書寫方案規範化。 Ⅲ. 大陸的字形規範化:《現代漢語通用字表》 《現代漢語通用字表》(1988年公佈)是在1965年公佈的《印刷通用漢字字形表》(6196字)無法滿足當時語言文字生活的實際需要的反省中嘗試推出的。它是以《印刷通用漢字字形表》為基礎進行製作的,包含《現代漢語常用字》的3500字,總共收錄7000字。它成為現在大陸使用的漢字字形和筆畫的標准。另外在1997年製作施行了使現代漢語通用字的筆順規範化的《現代漢語通用字表筆順規範》。 Ⅳ. 臺灣的字形規範化:《常用國字標准字體表》正字是“同正體字,與異體字和俗字相對,由國家或社會規定的標准漢字字形。”異體字是“指讀音和意義完全相同,但形體構造不同的字,與正體字相對”,俗字是“與正體字相對,指流行民間,尚未被社會或政府所承認的字。”通過分析這些,正字可以說是在字的形態性側面上,國家或社會正式承認的標准字體。 本字是“與假借字相對,與通假字相對。指專為某個詞的本義所造的字,就是字形表現出所代表的詞的本義的字。”通假字是“與本字相對。指在漢語書面語中代替本字或通用字的那個字。”假借字“是本來沒有正字,一直借用某一個字。本來有一個正字,但是書寫的人一時寫了別字,或者由於地方習慣寫成另一個字。”即本字是在意思和運用層面上,可以說是同假借字和通假字相對而言的概念。 筆者認為應該將白皮書中提到的本體字定義為“不是異體字或俗字,同時從古至今都被認為是正字(正體字)的字體”。即教育用漢字字體必須使用正字。另外,根據白皮書中“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一條款,可能出現異體字或俗字被選為教育用漢字,但是筆者主張應該將這些字用正字予以替代。正字是“國家或社會承認和規定的”,但根據時代的要求這些規定也可能出現變化,因此可能出現正字和異體字、俗字區分模糊的情況。在這些情況時,將根據原義所造的字或字形承載原義的本字視為正字是比較恰當的。總而言之,筆者主張教育用漢字應該以使用正字為原則,在正字標准模糊時將本字視為正字。 若通過這些辦法,提出韓國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的話,能夠使各個漢字的筆畫和筆順規範化,也能夠使漢字書寫方案規範化。 Ⅲ. 大陸的字形規範化:《現代漢語通用字表》 《現代漢語通用字表》(1988年公佈)是在1965年公佈的《印刷通用漢字字形表》(6196字)無法滿足當時語言文字生活的實際需要的反省中嘗試推出的。它是以《印刷通用漢字字形表》為基礎進行製作的,包含《現代漢語常用字》的3500字,總共收錄7000字。它成為現在大陸使用的漢字字形和筆畫的標准。另外在1997年製作施行了使現代漢語通用字的筆順規範化的《現代漢語通用字表筆順規範》。 Ⅳ. 臺灣的字形規範化:《常用國字標准字體表》
        3,000원
        147.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文主要考察作為詞彙教育範圍中的韓語漢字詞,並在此基礎上探討其在語言生活與學術領域中的地位及意義,進而探索開闊語言教育視野的模式。本文中所提到的漢字詞教育與現有的漢字教育之間存在著一定的差異。若說漢字教育是單字教育優先或者以單字為中心的教育,而漢字詞教育則是從實際運用的角度來對文本進行考察的教育。 韓國語的詞彙可分為固有詞、漢字詞、外來詞與外語詞。其中的漢字詞從其來源看,保留了許多與漢語相近或相同的元素,而從語用學的角度來看,亦具有同化於韓國語的一面。學術界對漢字詞概念的定義並不一致,可大體上將其定義為:“韓國語中能夠用漢字標記的單詞”或“不管其來源於中國、日本還是韓國,凡是能夠用漢字標記且能夠用韓國漢字音發音的詞,皆可歸屬於韓國漢字詞”。 漢字詞一般被認為是指‘詞’,但這裡的‘單詞’並不僅僅是指完全獨立的單詞。除了像以‘分明’、‘新鮮’、‘賢明’等詞來作詞根的詞彙以外,還有像‘不~’、‘非~’、‘生~’、‘洋~’等的詞頭,再有像‘~的’、‘~性’、‘~化’、‘~者’等的詞尾。就單詞的嚴格定義而言,這些都不屬於單詞範圍,但我們仍將它們歸屬於漢字詞的範圍中。除此之外,成語與簡單的漢文短句也時而在文本中扮演類似於漢字詞的角色。在韓語詞匯教育的方面,漢字詞具有如下特點:第一,漢字詞的指示意義精確分明。第二,漢字詞在表達抽象概念方面顯得非常有效。第三,漢字詞不僅蘊涵著豐富的語言文化背景,還反映、體現其獨有的社會文化的特性。第四,漢字詞在用語言表達高水準思維的這一方面擁有強大造詞生產能力的符號體系。我們應該如何鎖定‘國文’的範圍?對於這一問題,從語言學、認識論角度的思維方式一直支配著1945年光復以來語文政策及國語教育的方向。光復以後樹立的語文政策方向就是專用韓字的文字政策。該政策確立以後,語文政策的基本方針不斷朝著專用韓字的方向展開。其政策方向則出於國文即韓字的意識。但有些人仍堅持國文應包括漢字的立場,與現行的文字政策形成鮮明對比。他們的理據就是:因世宗創制“訓民正音”之前的國文,還有其後幾百年間的國文,大多是用漢字寫的,故應將漢字加入到國文的範圍中。隨著時代的變遷,兩方的勢力經歷了盛衰浮沉,漢字教育也受其影響在教育現場中反復進入和退出。儘管教育現場經歷著種種混亂,但教育的基本方向是專用韓字的標記。 專用韓字的文字標記政策不僅僅意味著標記的一元化,還闡明“能念字就能理解文章”的立場。其政策的前提就是單靠韓字標記既可實現圓滿的語言生活,又可進行學術與教育活動。但現在的問題就出現在各種讀物(包括學術性專書)通常處理為用韓字標記的漢字詞上。鑒於學術用語、專門用語等高級詞彙的大部分是漢字詞,專用韓字的文字標記不易於對這些漢字詞的正確、深入瞭解。 若我們將用韓字標記漢字詞的方式看作是一種語言文化現象,我們可以從兩個方向解釋其韓字標記的語言符號。一是“a=b”式、辭典式、文脈式解釋;二是對其原漢字詞的意義解釋。第一種解釋是國語教育在解釋詞彙時所採取的方式,而第二種解釋則是漢字教育所要求的方式。 歷史、科學等課程在課堂上所進行的新詞彙教育大部分採用第一種解釋方式,即採取介紹新概念詞後引進與該詞相應的解釋方式。這種學習模式會使得“a”與“b”之間的關係疏遠,以至於容易失去能夠理解該概念詞的端緒。不僅如此,其方式在鑽研兩者關係後才能獲得的創新思維的培養、創造能力的提高這一方面避免不了存在缺陷。 現在的漢字詞教育傾向於通過採用如上兩種方式進行解釋。但難以確保課時的漢字、漢文課程並沒有將其意義解釋方式的有效性證明給學生看的機會。從詞彙教育的本質方面來看,這兩種方式需要互相補充。如今只靠第一種方式進行的漢字詞教育,讓學習者能夠明白教育者的傳達意義並充分吸收、深入理 解其中含義的高效教學,確實是難以實現的。 我們不僅需要以理解其原意及其形成過程作為基礎,還需要考慮其在語脈中所具有的意義。其在語脈中的意義大致通過結合上下文的脈絡、在同一文中與其他詞彙之間的關係以及背景知識來可得知一二。但對於漢字詞本身形成其意義的過程,若沒有對個別漢字的學習以及造詞特點的理解,就難以全面理 解。在回顧整個教育環境時,由於國文系毫不關注漢字知識的有效性,而漢文系對漢字詞的關注程度日益下降,韓國的漢字詞教育處於教育死角地帶。教育界對此問題的漠不關心,近來造成了私立教育的繁榮。其中具有代表性的就是漢字能力水準考試的出現。該類考試既為突出漢字學習的有效性做出了一定的貢獻,又在激發學生的學習動機方面起到積極作用。可是,從語言教育這一宏觀角度及本質層面來看,其考試題型側重於片面性的,故沒有將運用於實際生活中的文章脈絡積極考慮進去,以致於釀成隻看重結果不看重過程的弊端。 與漢文課程在教育現場所占地位相反,漢字教育本身是成為不斷被關注的對象。從有關漢字教育在語言生活方面的意義和價值的研究,到有關有效教學、學習方法的研究,其研究範圍越來越廣泛了。雖然我們不能說探討漢字詞教育的重要性的研究一點兒都沒有,但大部分研究主要以‘漢字’作為討論的中心。其中也許存在著一絲能通漢字就能通漢字詞與漢文的期待。現在,我們不該看重漢字而該看重漢字詞,並需要考慮如何運用以漢字詞為中心的多種教育方法。而有關方面的研究,尤其是有關以漢字詞為核心的教育模式方面的基礎調查遠遠不足。因此,今後我們應以廣泛調查運用在實際日常生活中的詞彙作為基礎課題。 我們學習語言就是為了實際運用,因此我們需要考慮所學習的物件所反映的語脈與背景。就這一點而言,漢字詞教育不應只停留於片面的詞彙學習層面上。將漢字詞放在其所在的文本範圍裡進行教育,才使漢字詞具備其真正意義。學習者經過聯想漢字詞在其所在的整個語脈並判斷其在文中運用的合理性等過程,培養他們的理解與表達能力。漢字詞教育應幫助學生培養以適當詞彙來表達自己思維和正確理解文中所用詞彙的能力,並由此培養實際場合中溝通交流的能力。不僅如此,越是專業的文本,使用頻率較低的專業詞的出現就越多。漢字詞教育應在專業知識的圓滿傳達及再生產方面扮演一定的角色。 漢字詞教育還應關注漢字詞所具有的多方位連貫性。漢字詞不僅起著作為溝通和交流工具的作用,還反映著社會制約和文化習慣。漢字詞教育通過培養正確選擇、使用符合於社會規範、價值、文化傳統、情緒的漢字詞的能力,為有品位的語言生活做出貢獻。文本結合詞彙與詞彙以外多種因素產生出特定意義或情感。此時,作為詞彙的漢字詞的作用不僅比任何因素還要強大,而且還是決定性的。對漢字詞字體的全面瞭解可啟動有關語源方面的知識,且開闊與本義有關的背景知識。此會使學習者展望存在於“意義”之外的其他東西。這樣的能力注重組成漢字詞的成分以及圍繞漢字詞的關係網,來提高語言思維能力,並增強語言意識。與此同時,漢字詞教育幫助學習者培養接受人文學資產的素質及文學素質,且有助於古典漢文的習得。人在五歲已基本完成在形態學、句法學方面的語言習得。其後語言能力質的不同水準在於詞彙能力上。學齡期以後詞彙量的劇增與兒童形態學方面的知識增加關係密切。所謂的形態學方面的知識是指以組成詞彙的形態結構資訊作為端緒來推理出其意義的。漢字詞本來是結合具有獨立意義的漢字而成的。因此隨著形態學方面知識的增加、形態學方面的直觀能力的提高,亦可推理出未曾學過的詞彙的意義。 學習漢字詞的過程即是積累形態學方面資訊的過程。已積累的資訊有助於習得新詞彙,而到了一定的階段甚至發展到詞彙量的劇增。詞彙量的增加不僅僅具有數量上的意義。掌握豐富的詞彙量是既流暢又富有創意的語言能力的核心因素。在影響閱讀能力的諸多變因中,詞彙量是作為單一變因顯示出關係最密切的數值。值得注意的是:詞彙在人的腦子裡不是以獨立的形式存在。語言的意義在龐大的知識或概念體系的網路中纏繞在一起,我們稱這樣的知識體系為“背景知識(schema)”。可以說:在此體系中,詞彙量越多,相關知識也越豐富。運用形態學方面的資訊不斷習得漢字詞,由此我們可以自由地摸索擴大“背景知識”。 因漢字詞教育處於教育死角地帶,故很難設計出與特定領域有關的明確的教育方針。雖然我們承認教育界存在著如此難點,但仍然認為我們有必要探索能成為多種活動或多種“教學-學習”方法之標準的“有關教育內容的基本原則”。應考慮學習的連續性。個別漢字詞應在學習的連續性方面具備一定的秩序。 第二,要重視學習的階段性。過去的漢字教育將筆劃簡單並容易與具體事物對應的漢字安排在初級階段。但本文認為因為我們需要從語言教育的角度去對待漢字詞教育,故要立足於語言發育階段來分清層次階段。在分清層次時,我們可以將從日常生活詞到專業詞,從高頻率到低頻率,從小學、初中、高中到大學等問題考慮進去。除此以外,還需要注重的因素之一就是對詞彙理解的透明度問題。作為語言教育的漢字詞教育需要積累有關方面的研究成果,並需要具備運用該成果的基礎條件。首先,需要關注在詞彙教育過程中所出現的多種錯誤事例。過去,這些錯誤主要從診斷、修改的觀點來處理。但現在,把它看作是有關語言發育過程的可提供、參考的資訊。因此我們需要搜集、分析錯誤事例,把它作為分清學習者所知和所不知的部分的重要資訊之一。其次,有必要研究以漢字詞為基礎的獨到的語言文化傳統、社會文化上的含義以及有關素質等方面。在語言教育裡,實際的運用性比任何因素都重要,因此我們需要對特定情況或場合下使用率較高的漢字詞和成語進行整理。除此之外,還有必要研究一直傳承下來的漢字詞的文化根基與蘊涵,在這些詞被用為表達思維或判斷價值的工具之時,為其正確有效的使用提供一定條件。最後,需要對韓、中、日三國的漢字詞進行比較。不僅要考察三國個別漢字詞的歷史背景以及它們之間的相關關係,還要關注它們的用法。這些調查應按照同形異義、異形同義等類別來進行整理、分析、歸納。本文著眼於漢字詞教育的意義與作用,以試圖摸索了開闊語言教育視野的模式。在漢字詞教育方面,相關制度的確立尤為緊迫。但在其無法立即得以改善的情況下,我們需要轉換視角去面對部分、個別的漢字詞。我們可以通過認識與個別漢字詞連接在一起的豐富意蘊與可能性來付其意義於教育現場,哪怕是在有限的範圍之內。
        4,000원
        148.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language immersion education for FLE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and CLE (Coréen Langue Étrangère). Foreign Language teachers’ role has been recently concerned as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a learner in language immersion education. The success of language immersion education depends on the learners’ attitudes and motivation. The learners’ motivation can be enhanced through the electronic sources online made by the nonnative language teachers or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anguage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must perceive learners’ first language and culture to accomplish a successful interaction. Second, the foreign language policy should favor not only English, but also other various languages as well. Third, the feedback through the self-evaluation should be followed by its purposes and types.
        4,900원
        149.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obal perspective of Korea has been continuously enhanced,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and try to study Korean language are increasing, too. In addition, recently the purpose of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is deepening from just getting employment or college preparation to interest about Korea and its culture.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should be developed for correct understanding and use in social & cultural context based on the language education for communication. One way of satisfying thes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target is to utilize literary works.But, even with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utilizing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ttempts to utilize literary works is insufficient in actual education fields and in teaching material. Also, the utilizing material are in limited state.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of literature education status, activity and attempt to utilize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quite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distinctive standard in selecting the works. In addition, most education is performed at above middle level, and it consists of passive literature utilizing methods such as vocabulary, grammar, expressional study, comprehension, etc. Also, it is difficult to give lessons because included literature's genre are skewed to poems for modern literature and fairy tales for classical literature, and because the study about teachers' manual or teaching instruction are insufficient.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include various literary works based on the students' requirement survey results, to present integrated utilizing method and subject activities so that all language education functions such as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can be studied, and to actively utilize auxiliary textbooks. Also primaril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tandard to select adequate literary works, and to enable the use of literary works by grade from the selected list of works based on the standard.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provide class with the goal of understanding the literary work itself as well as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text.
        6,000원
        150.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teaching 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semantic analysis of synonyms. In this paper, I discuss learning methods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that effectively learn the differences between synonyms. It is not only for teachers, but also for learners. In vocabulary education, it is very hard to explain differences between synonyms especially to L2 learners. So it is needed that various and clear study of synonym's meaning and teaching methods.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ddresses the concept of synonym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In this study, the substitution is the most important judgement condition of synonym pairs. In the next chapter, this paper analyses meaning differences between synonyms, 'Gwangaek 관객 : Gwanjung 관중 : Gwallamgaek 관람객', 'Gap 값 : Gagyeok 가격'. In the last chapter, this paper present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case of the first pairs, we can use diagram for showing the usage meaning area. In the other synonym pairs, we can use practical sentences with the context. It needs further consideration about various synonym pairs classes.
        6,000원
        15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전통적인 해기국가인 한국과 필리핀에 있어서 해기교육 중 해상운송교육에 대해서 조사하여 상호 비교한다. 두 국가의 교육기관인 목포해양대학과 필리핀해양대학을 대상으로 하여 검토하였다. 양 교육기관의 교과과정과 교육훈련프로그램 및 STCW의 교육훈련과 당직기준의 요구사항을 포함한 교과과정과 교육체계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 검토한다. 해기교육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 교육기관에서 살행되어야 할 바람직한 해기교육프로그램, 해사관련업계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안한다.
        4,000원
        157.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불과 40여 년 전 최빈국이었던 국가가 경이적인 경제성장과 발전을 통해 성공을 이루어 낸 모범사례로 공인되고 있고, 경제규모 확대와더불어 최근 부상하고 있는 공여국(Emerging donor)으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새 정부 출범이후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교육서비스 산업의 일자리 창출과 민간 경쟁력 활용을 통한 교육수출이 요구되고 있으며, 공적개발원조를통한 해외진출확대를 위한 창구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정보화 분야 공적개발원조사업 추진현황을 해외 양자및 다자간 공적개발원조사업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동 분야의 해외진출 발전전략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우리 교육정보화 강점분야의 공적개발원조 사업 연계방안및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도미니카공화국, 라오스, 스리랑카,몽골 등 6개국에 대해 한국정부가 실시한 교육정보화 분야 공적개발원조성 사업에대한 평가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원조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사업추진에 필수적인 사업계획 단계(Predesign)에서부터 충분한 검토와 분석, 이에 따른 사업절차의 확립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정보화관련 정책 인프라, 법제 정비 등 시스템 구축 분야에 관한 새로운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지원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원국의 현재 기술수준과 미래 전망을 고려한 물자 및 기자재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정보화 지원 사업에 대한 표준화된 지원 모델(Standard model)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체계적인 사후관리시스템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업수행 형태의 과학화가 필요하다.무엇보다 교육정보화 분야에서 한국형 개발협력 모델은 국제 원조 규범을 존중하면서 선진국들의 전통 원조 방식과는 차별성을 지니는 비교우위 분야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8,100원
        15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5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6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I discuss how to organize the syllabus of 'Practice in teaching Korean' course, which is one of the obligatory courses for the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tudents. Among other courses, 'Practice in teaching Korean' is a practical class in which the students visit the real class and also practice the real teaching skill. This course includes forming syllabus program, visiting an actual class, teaching exercise and lecture simulation. Currently, the demand for the professional Korean teachers is increasing gradually. At this point, it would be a meaningful work to look closely into teaching plans of the same course in many other Korean Departments, and to point out some critical issu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n this paper we strongly propose that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excercise should not be neglected. Also, I will design syllabus of 'Practice in teaching Korean'and suggest a phase OJT(on-the-job training) program.
        7,000원